건축설비기술자

요약
하는일건축구조물의 설비를 구성하기 위한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설계도를 작성한다.
되는길건축설비기술자가 되기 위해서는 건축설비, 기계설비, 전기설비, 환경설비 계통의 대학이나 특성화고등학교, 직업훈련기관 등에서 위생설비, 공기조화설비, 소방 및 전기설비, 건축설비관계법규 등에 대한 이론과 실기(설계, 시공)를 배운 후, 관련 회사로 취업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국가기술자격으로 건축설비기사, 건축설비산업기사가 있다. 『전기공사업법』에 의거하여 전기공사의 규모별 전기기술자의 시공관리 구분을 규정함으로써 전기기술자 이외의 자가 전기공사업무를 수행할 수 없도록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관련 자격증을 취득하면 취업에 유리하다.
전공건축·설비공학과
건축학과
자격건설기계기술사(국가기술)
건설기계산업기사, 기사, 기술사(국가기술)
건설안전산업기사, 기사, 기술사(국가기술)
건설재료시험기능사, 산업기사, 기사(국가기술)
건축설비산업기사,기사(국가기술)
산림토목기술자(국가전문)
임금조사년도:2021년, 임금 하위(25%) 3613만원, 평균(50%) 4403만원, 상위(25%) 5284만원
만족도69.9
일자리전망증가(20%) 현상유지(40%) 감소(40%)
업무수행능력장비 선정(95)/기술 설계(92)/장비의 유지(90)/설치(90)/조직체계의 분석 및 평가(90)
지식건축 및 설계(100)/공학과 기술(97)/안전과 보안(96)/물리(94)/산수와 수학(93)
업무환경전화 대화하기(86)/앉아서 근무(79)/결과에 대한 책임(77)/사물, 도구, 조종 장치를 다루기 위해 손사용(76)/반복적인 신체행동, 정신적 활동(72)
성격독립성(66)/분석적 사고(61)/적응성/융통성(60)/자기통제(57)/리더십(57)
흥미관습형(Conventional)(95)/현실형(Realistic)(69)
직업가치관성취(76)/인정(65)/신체활동(59)/애국(59)/타인에 대한 영향(58)
업무활동 중요도장치, 부품, 장비의 도면 작성, 배치, 지정(98)/장비, 건축물, 자재 검사(97)/업무 계획, 우선순위 결정(95)/전자장비 유지 보수(95)/제품, 사건, 정보의 수치 추정(92)
업무활동 수준장치, 부품, 장비의 도면 작성, 배치, 지정(99)/제품, 사건, 정보의 수치 추정(96)/장비, 건축물, 자재 검사(96)/사람들의 업무와 활동을 조직, 편성(94)/정보 작성, 기록(94)
관련직업건축가(건축설계사)
건축구조기술자
건축감리기술자
건축안전·환경·품질·에너지관리기술자
건축시공기술자 및 견적원
토목구조설계기술자
토목감리기술자
토목안전·환경·품질기술자
토목시공기술자 및 견적원
조경기술자
도시계획·설계가
교통계획·설계가
교통영향평가원
지적 및 측량기술자
지리정보시스템전문가
건설자재시험원
직무개요
  • 건축구조물의 설비를 구성하기 위한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설계도를 작성한다.
수행직무
  • 건축구조물의 설비설계에 필요한 기후조건, 건물주의 요구사항 등 기초적인 자료를 조사·검토한다.
  • 설비·설계에 대한 개략적인 시스템을 구상하고, 주요 기기의 용량을 산정하여 기본계획을 수립한다.
  • 기계설비의 상세설계를 위한 부하와 기기용량을 분석하고, 수치로 산출하여 배관·수송관의 평면도·단면도·상세도 및 공사시방서를 작성한다.
  • 시공 전후에 걸쳐 기계설비에 대해 감독하고 감리한다.
임금
행정부고위공무원 임금 정보
하위(25%) 중위 상위(25%)

3613만원

4403만원

5284 만원

직업만족도
  • 건축설비기술자에 대한 직업 만족도는 69.9% (백점 기준)입니다.
※ 직업만족도는 해당 직업의 일자리 증가 가능성, 발전가능성 및 고용안정에 대해 재직자가 느끼는 생각을 종합하여 100점 만점으로 환산한 값입니다.
전문가가 분석한 일자리전망
  • 향후 5년간 건축설비기술자의 고용은 다소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건축설비기술자의 일자리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국내 건설경기 전망이다. 장기적으로 가구 수 증가율 감소, 100%가 넘은 주택보급률, 저출산·고령화 등의 요인으로 인해 신규주택 건축시장이 위축될 것이다. 민간 건축시장의 위축은 가계부채 증가세 억제를 위한 신규 분양물량 조절, 대출금리 상승 압박이 커지는 국내외 경제환경 변화 등의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다만, 수도권과 지방 간에 온도 차이는 있을 것으로 보인다. 반면에 국내 건설 산업이 2020년을 전후하여 본격적인 성숙 단계에 진입함에 따라 재건축 및 리모델링 공사, 유지관리 업무가 증가할 것이고, 침체된 도심을 되살리는 도시재생 사업도 본격화할 것이다. 그 외에 친환경 및 에너지효율 건축에 대한 수요 증가, 정보통신기능이나 실내환경 자동제어시스템을 도입하는 인텔리전트빌딩(intelligent building)에 대한 수요가 증가할 것이다. 이상과 같이 건축설비기술자의 고용에 대한 긍정적 요인과 부정적 요인이 공존하지만, 가장 영향력이 큰 신규주택 시장 성장률 감소함에 따른 부정적 전망이 더 크다고 할 수 있다.
※ 자료 출처 : 한국고용정보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