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험관리원

요약
하는일각 산업현장에 배속되어 유해 및 위험방지에 관한 사항, 사고사례분석 및 개선에 관한 사항, 근로자의 안전교육 및 훈련에 관한 업무를 수행한다.
되는길위험관리원이 되려면 보통 전문대학이나 대학교에서 기계, 전기·전자, 건축·토목, 화학공학, 소방 및 산업안전공학 등을 전공하고 해당 자격증취득 시 취업에 유리하다. 직업훈련기관이나 기술학원에도 산업안전기사 등의 자격취득을 위한 산업안전과정 등이 개설되어 있다.
전공(안경)광학과
기계공학과
메카트로닉스(기전)공학과
방사선학과
보건관리학과
산업공학과
소방방재학과
에너지공학과
전기공학과
항공학과
해양공학과
화학공학과
화학과
환경공학과
자격위험물기능사, 산업기사, 기능장(국가기술)
위험물기능사[1,2,3,4,5,6류], 산업기사, 기능장(국가기술)
임금조사년도:2021년, 임금 하위(25%) 3409만원, 평균(50%) 3738.924만원, 상위(25%) 4477만원
만족도69.3
일자리전망증가(37%) 현상유지(43%) 감소(20%)
업무수행능력작동 점검(89)/고장의 발견.수리(82)/조작 및 통제(73)/장비의 유지(72)/움직임 통제(71)
지식안전과 보안(99)/화학(92)/기계(90)/법(84)/운송(80)
업무환경위험한 상태 노출(100)/오염물질 노출(98)/매우 춥거나 더운 기온(95)/걷거나 뛰기(92)/비좁은 업무 공간(89)
성격정직성(75)/독립성(74)/분석적 사고(71)/신뢰성(70)/협조(69)
흥미관습형(Conventional)(38)/사회형(Social)(36)
직업가치관심신의 안녕(82)/고용안정(77)/경제적 보상(72)/지적 추구(71)/타인에 대한 영향(69)
업무활동 중요도장비, 건축물, 자재 검사(94)/기계장치 제어(88)/차량, 기계, 장비 작동(87)/절차, 자료, 주변환경 관찰(85)/물건 조종, 운반(80)
업무활동 수준장비, 건축물, 자재 검사(95)/기계장치 제어(89)/차량, 기계, 장비 작동(87)/절차, 자료, 주변환경 관찰(85)/기계장비 유지 보수(84)
관련직업소방공학기술자 및 연구원
산업안전원
비파괴검사원
직무개요
  • 각 산업현장에 배속되어 유해 및 위험방지에 관한 사항, 사고사례분석 및 개선에 관한 사항, 근로자의 안전교육 및 훈련에 관한 업무를 수행한다.
수행직무
  • [가스관로안전관리원] 가스관로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관로순찰자의 활동을 감독하고 관로를 관리하는 제반업무를 수행한다.
  • [방사선안전관리원] 방사선 노출지역에서 근무하는 작업자의 안전을 위하여 작업허가서 검토, 방사선계측기의 관리, 방사선관리구역내의 작업감독 및 작업조건개선 등 방사선 안전관리에 관련된 업무를 수행한다.
  • [소수력발전전기설비안전관리원] 소수력발전 전기설비의 유지 및 운용과 전기수용설비 및 비상용 예비발전 설비의 안전관리를 실시한다.
  • [위험물취급원] 위험물이 들어있는 컨테이너를 안전하게 하역하고 보관하기 위한 안전관리를 실시한다.
임금
행정부고위공무원 임금 정보
하위(25%) 중위 상위(25%)

만원

만원

만원

직업만족도
  • 위험관리원에 대한 직업 만족도는 69.3% (백점 기준)입니다.
※ 직업만족도는 해당 직업의 일자리 증가 가능성, 발전가능성 및 고용안정에 대해 재직자가 느끼는 생각을 종합하여 100점 만점으로 환산한 값입니다.
전문가가 분석한 일자리전망
  • 향후 5년간 위험관리원의 고용은 다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경제가 발전하고 국민소득이 높아질수록 생명과 건강한 삶에 대한 관심이 증가한다. 가스, 석유, 화학물질 등의 위험물은 대형사고를 일으켜 국민의 생명과 재산에 대한 위협이 될 수 있어 갈수록 규제가 강화될 것으로 보인다. 2015년 7월 「연구실 안전환경 조성에 관한 법률」 개정안이 시행됨에 따라 앞으로 대학이나 연구기관 등의 체계적인 안전관리를 위해 관련 업무를 수행할 안전전문가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각종 화학사고 등으로 사회적 논란이 일자 정부에서는 2015년 「화학물질관리법」을 개정하고 국가자격을 신설하여 인력을 육성할 계획이다. 이외에도 위험물 시설을 허가를 받지 않고 설치하거나 허가 받은 장소 외에서 위험물을 저장 취급하는 행위를 근절하기 위해 관련 법을 강화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변화 속에 기업도 적극적으로 대처할 것으로 보인다. 기업은 기존의 산업재해 처리 및 사고수습단계에서 벗어나 산업재해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자율적인 안전보건체제를 구축하여 체계적인 안전관리활동을 수행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위험안전 대상인 제조업체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국내 생산시설의 해외 이전, 그리고 생산시설의 로봇화, 자동화 등으로 사람 중심 업무가 감소하는 등 향후 안전에 관한 수요가 감소할 수 있어 고용 감소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또한 산업안전관리원이 위험관리원의 업무를 병행할 수 있고 여전히 기업에서는 위험물관리를 비용으로 간주하고 있어 큰 폭의 일자리 증가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 자료 출처 : 한국고용정보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