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공교통관제사

요약
하는일항공기의 운항을 통제하고 이·착륙 순서를 배정하여 안전한 이·착륙을 유도한다.
되는길항공교통관제사가 되기 위해서는 세 가지 방법을 통해서 교육받거나 훈련을 받은 후 자격증을 취득해야 한다. 먼저, 국토교통부 지정 전문교육기관(한국공항공사 항공기술훈련원, 공군교육사령부 항공교통관제사전문교육원, 한국항공대학교 항공교통관제교육원, 한서대학교 항공교통관제교육원)에서 항공교통관제에 필요한 교육과정을 이수하면 자격시험에 응시할 수 있다. 또 항공교통관제사 자격증이 있는 사람의 지휘·감독하에 9개월 이상의 관제실무 경력을 쌓거나, 민간항공에 사용되는 군(軍)의 관제시설에 9개월 이상 관제업무를 수행한 경력이 있으면 응시가 가능하다. 마지막으로 항공교통관제사 학과 시험과목을 교육받고 6개월 이상 실제로 관제업무를 하면 자격시험에 응시가 가능하다. 이 외에도 외국정부가 발행한 항공교통관제사 자격을 소지한 경우에도 응시할 수 있다. 항공교통관제를 하기 위해서는 무선통신능력 뿐 아니라 영어구사능력을 갖출 것을 국제표준으로 정하고 있다.
전공항공학과
자격항공교통관제사(국가전문)
임금조사년도:2021년, 임금 하위(25%) 4662만원, 평균(50%) 5387.2만원, 상위(25%) 6258만원
만족도78.7
일자리전망증가(36%) 현상유지(46%) 감소(16%)
업무수행능력시력(100)/공간지각력(99)/모니터링(Monitoring)(99)/선택적 집중력(98)/청력(98)
지식운송(100)/지리(100)/영어(100)/통신(99)/법(99)
업무환경실수의 심각성(99)/이미지/평판/재정에 미치는 영향력(99)/갈등 상황(98)/다른 사람과의 상호작용(96)/자동화 정도(96)
성격스트레스 감내성(99)/협조(97)/자기통제(95)/책임과 진취성(88)/꼼꼼함(79)
흥미관습형(Conventional)(95)/현실형(Realistic)(93)
직업가치관고용안정(98)/애국(95)/신체활동(91)/이타(85)/인정(83)
업무활동 중요도상사, 동료, 부하직원과 소통(100)/제품, 사건, 정보의 수치 추정(100)/사물, 행동, 사건 파악(99)/부하 직원들에게 업무 안내, 지시, 동기부여(99)/절차, 자료, 주변환경 관찰(99)
업무활동 수준제품, 사건, 정보의 수치 추정(100)/상사, 동료, 부하직원과 소통(100)/사물, 행동, 사건 파악(100)/절차, 자료, 주변환경 관찰(99)/부하 직원들에게 업무 안내, 지시, 동기부여(99)
관련직업항공기조종사
헬리콥터조종사
선장 및 항해사
선박기관사
철도·전동차기관사
선박교통관제사
철도교통관제사
신호원 및 수송원
직무개요
  • 항공기의 운항을 통제하고 이·착륙 순서를 배정하여 안전한 이·착륙을 유도한다.
수행직무
  • 관제탑에서 항공기의 이륙 및 착륙신고서를 확인하고 활주로 및 공항 주변의 기상상태를 점검한다.
  • 해당 항공기의 이·착륙 활주로, 예정시간, 순서 등을 배정하여 유도하고 이·착륙을 허가한다.
  • 관련 기관과 협조하여 관제할 항공기의 정보를 수집한다.
임금
행정부고위공무원 임금 정보
하위(25%) 중위 상위(25%)

만원

만원

만원

직업만족도
  • 항공교통관제사에 대한 직업 만족도는 78.7% (백점 기준)입니다.
※ 직업만족도는 해당 직업의 일자리 증가 가능성, 발전가능성 및 고용안정에 대해 재직자가 느끼는 생각을 종합하여 100점 만점으로 환산한 값입니다.
전문가가 분석한 일자리전망
  • 향후 5년간 항공교통관제사의 고용은 다소 증가할 전망이다. 세계화 및 운송 산업의 발전 등으로 항공 부분의 수요는 증가하고 있다. 경제성장 및 여가활동 증가로 해외여행객과 항공물류가 증가하였으며, 관제탑 관제량은 2011년 약 60만 건에서 2015년 81만 건으로 매년 약 5만건 가량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현재 인천공항에 있는 항공교통센터(항공로관제센터, ATC)의 뒤를 이어 2017년 대구 항공교통센터(제2 항공로 관제센터, 제2 ATC)를 설립할 예정이다. 또한 사전에 교통량을 예측·분산하여 교통혼잡과 지연운항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항공흐름관리시스템(ATFM)을 구축하고 있다. 이와 같은 기관들이 신설되면서 전문 인력에 대한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항공사업체 설립, 개인 레저항공사업 추진 등 항공 산업에 대한 규제가 완화되면서 향후 항공교통량이 증가될 것으로 예상된다.
※ 자료 출처 : 한국고용정보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