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공학기술자
요약
하는일 | 각종 차량의 차체, 엔진, 제동장치, 차대 및 기타 구성품에 관하여 연구 및 설계하며 개발 및 제조를 계획·감독한다. |
---|---|
되는길 | 자동차공학기술자 및 연구원은 자동차의 설비, 기능 및 성능에 관한 해박한 지식이 필수이므로, 대학에서 자동차공학, 기계공학 및 전기‧전자공학 등을 전공하고 관련 업체나 연구소에 취업해야 연구·개발 및 설계·생산 업무를 수행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기계계열 관련학과에서 이수하는 유체역학, 열역학, 고체역학, 동역학 등의 공학적 원리와 적용에 대한 이론적 지식이 요구되며, 자동차 제조에 관련된 특수공정분야의 지식도 습득해야 한다. 또한 전기․전자 관련학과에서는 전장시스템 및 회로로직 등에 관한 수업을 이수한 후 자동차의 전장설계, 엔진 및 주행․제동 제어 등에 대한 응용적인 지식을 습득해야 한다. 전문대학을 졸업한 경우에는 현장 실무경력을 통해 자동차공학기술자가 될 수도 있지만, 추가적인 교육을 통해 전문지식을 쌓을 필요가 있다. 연구·개발 업무를 하는 경우에는 석사 이상의 학위와 그에 걸맞은 전문지식이 필요하다. |
전공 | 기계공학과 메카트로닉스(기전)공학과 자동차공학과 재료·금속공학과 제어계측공학과 |
자격 | 차량기술사(국가기술) |
임금 | 조사년도:2021년, 임금 하위(25%) 4250만원, 평균(50%) 4986.4만원, 상위(25%) 5800만원 |
만족도 | 77.7 |
일자리전망 | 증가(50%) 현상유지(50%) 감소(0%) |
업무수행능력 | 조직체계의 분석 및 평가(99)/기술 설계(99)/품질관리분석(98)/재정 관리(97)/기술 분석(96) |
지식 | 공학과 기술(100)/물리(100)/산수와 수학(99)/기계(98)/상품 제조 및 공정(98) |
업무환경 | 갈등 상황(94)/이메일 이용하기(89)/움직이는 기계(84)/전화 대화하기(83)/공문, 문서 주고받기(82) |
성격 | 분석적 사고(93)/협조(92)/신뢰성(91)/정직성(90)/리더십(88) |
흥미 | 현실형(Realistic)(74)/탐구형(Investigative)(62) |
직업가치관 | 개인지향(97)/애국(93)/성취(91)/지적 추구(88)/경제적 보상(88) |
업무활동 중요도 | 전자장비 유지 보수(100)/장치, 부품, 장비의 도면 작성, 배치, 지정(100)/차량, 기계, 장비 작동(99)/새로운 지식의 습득, 활용(98)/사람들의 능력 개발, 지도(98) |
업무활동 수준 | 전자장비 유지 보수(100)/창조적 생각(99)/장치, 부품, 장비의 도면 작성, 배치, 지정(98)/기계장비 유지 보수(98)/새로운 지식의 습득, 활용(98) |
관련직업 | 건설기계공학기술자 및 연구원 플랜트기계공학기술자 항공공학기술자 조선·해양공학기술자 로봇공학기술자 기계‧로봇공학시험원 |
직무개요
- 각종 차량의 차체, 엔진, 제동장치, 차대 및 기타 구성품에 관하여 연구 및 설계하며 개발 및 제조를 계획·감독한다.
수행직무
- 새로운 자동차를 개발하기 위하여 관련 자료를 검토·분석한다.
- 각종 부품 및 전체 디자인을 설계한다.
- 부품의 형상과 재료 및 배치를 결정한다.
- 엔진, 변속기 등 주요 부품을 시험·평가하여 개선점을 도출하고, 이를 설계에 반영한다.
- 자동차의 전체적인 성능을 시험·평가하고 개선점을 도출하여 설계에 반영한다.
-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시험, 설계비용을 절감한다.
- 차량의 제조공정이 공학기술상의 설계와 일치하는지 확인한다.
- 특수한 기능적, 조작적 성능을 구현하기 위해 설계를 수정한다.
- 구성부품 제조 및 차량제조공정의 품질을 관리하고 기술을 지원한다.
임금
하위(25%) | 평균(50%) | 상위(25%) |
---|---|---|
만원 |
만원 |
만원 |
직업만족도
- 자동차공학기술자에 대한 직업 만족도는 77.7% (백점 기준)입니다.
※ 직업만족도는 해당 직업의 일자리 증가 가능성, 발전가능성 및 고용안정에 대해 재직자가 느끼는 생각을 종합하여 100점 만점으로 환산한 값입니다.
일자리 전망에 대한 재직자 및 전문가의 견해
- 향후 5년간 자동차공학기술자 및 연구원의 고용은 현 상태를 유지할 전망이다.
- 가장 큰 시장인 중국의 자동차 산업이 포화되어 생산이 수요보다 많아짐에 따라 향후 몇 년간 중국을 중심으로 자동차 업계가 재편될 가능성이 높다.
- 또한 기존의 충돌안전, 차체설계 및 내연기관에 대한 기계공학 관련 자동차기술자보다 무인자동차, 연료전지자동차 등 친환경 자동차의 개발 등 미래 첨단기술에 대한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전기전자 관련 자동차공학기술자에 대한 인력을 중심으로 수요가 늘어날 전망이다.
- 하지만 전기전자 분야를 제외하고는 자동차산업의 급격한 성장을 점치기 어려워 자동차공학기술자 및 연구원의 수요는 현 상태를 유지하면서 산업구조 재편에 따른 영향을 받을 전망이다.
일자리 전망률
- 증가
3%
※ 자료 출처 : 고용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