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랜트기계공학기술자
요약
하는일 | 정유공장이나 화학공장, 발전소, 소각처리장 등과 같은 대규모 설비나 공장을 설계·시공· 감리하는 일을 한다. |
---|---|
되는길 | 우리생활에 필요한 제품을 생산하기 위해 필요한 설비나 공장을 플랜트라 하는데 이러한 플랜트를 필요로 하는 곳은 석유정제, 제지생산, 폐기물 감축, 상하수도 생산, 해수 담수화 등 다양하다. 플랜트 기계공학자가 되려면 대학의 공학계열에서 기계, 전기, 건축, 토목 등을 전공한 후에 플랜트를 구축하는 기업에 입사를 할 때 플랜트 분야를 지원하면 플랜트기계공학자가 될 수 있다. 해외프로젝트가 많아 외국어 능력이 필요하며 자료를 수집해서 분석하고 이러한 것들을 정밀히 배열하기 위해서는 꼼꼼함이 필요하다. |
전공 | 기계공학과 메카트로닉스(기전)공학과 에너지공학과 해양공학과 화학공학과 |
자격 | 해당 데이터가 없습니다. |
임금 | 조사년도:2021년, 임금 하위(25%) 4144만원, 평균(50%) 4867.128만원, 상위(25%) 6156만원 |
만족도 | 74 |
일자리전망 | 증가(17%) 현상유지(50%) 감소(33%) |
업무수행능력 | 기술 설계(100)/기술 분석(99)/장비 선정(99)/공간지각력(99)/범주화(98) |
지식 | 화학(99)/물리(99)/공학과 기술(98)/산수와 수학(98)/건축 및 설계(97) |
업무환경 | 갈등 상황(94)/이메일 이용하기(92)/공문, 문서 주고받기(88)/앉아서 근무(87)/반복적인 신체행동, 정신적 활동(80) |
성격 | 신뢰성(76)/리더십(74)/분석적 사고(71)/협조(69)/사회성(56) |
흥미 | 관습형(Conventional)(63)/탐구형(Investigative)(62) |
직업가치관 | 경제적 보상(84)/지적 추구(83)/고용안정(74)/인정(72)/애국(71) |
업무활동 중요도 | 새로운 지식의 습득, 활용(98)/제품, 사건, 정보의 수치 추정(97)/사물, 행동, 사건 파악(97)/절차, 자료, 주변환경 관찰(97)/전자장비 유지 보수(97) |
업무활동 수준 | 절차, 자료, 주변환경 관찰(98)/제품, 사건, 정보의 수치 추정(98)/새로운 지식의 습득, 활용(98)/전자장비 유지 보수(97)/장치, 부품, 장비의 도면 작성, 배치, 지정(96) |
관련직업 | 건설기계공학기술자 및 연구원 항공공학기술자 자동차공학기술자 조선·해양공학기술자 로봇공학기술자 기계‧로봇공학시험원 |
직무개요
- 정유공장이나 화학공장, 발전소, 소각처리장 등과 같은 대규모 설비나 공장을 설계·시공· 감리하는 일을 한다.
수행직무
- 대규모 설비나 공장시스템 구축 용역 수주를 위한 기술영업을 한다.
- 관련 자료를 조사하고 설계 기본 목표와 방향을 수립하여 생산설비에 대한 시스템을 구성하는 등 제조공장 설비의 개념설계를 담당한다.
- 현장조사, 관계법령, 기준 및 설계지침, 공장규모, 사업비, 인허가 절차 검토를 통해 최적의 설비 시스템을 작성한다.
- 프로세스를 설정하고 실행하여 최적화된 공정을 표준화한다.
- 사업장 규모, 법규 준수를 통한 타당성 분석으로 토목설계, 건축설계, 기기 기초설계를 작성한다.
- 생산작업환경 분석을 통해 배치도와 설계도면을 작성한다.
- 현장조사와 관계법령, 기준 및 설계지침을 파악하고 사업타당성 분석을 통해 최적의 배관설계를 담당한다.
- 사회적 환경, 법규 준수에 따른 종합계획수립을 통해 기본 설계, 실시설계를 작성한다.
- 환경계획, 보건계획, 안전계획 등을 수립한다.
- 유사설계분석, 실시설계작성, 설계도 검토 등을 통하여 최적의 설비 시스템을 분석하고 제조공정설계서를 작성한다.
- 계약서류를 작성하고 산업건설이나 유지관리에 대한 제안서를 평가한다.
- 기술자 및 다른 엔지니어를 감독하고 설계, 계산 및 비용 견적서를 검토하고 승인한다.
임금
하위(25%) | 평균(50%) | 상위(25%) |
---|---|---|
만원 |
만원 |
만원 |
직업만족도
- 플랜트기계공학기술자에 대한 직업 만족도는 74% (백점 기준)입니다.
※ 직업만족도는 해당 직업의 일자리 증가 가능성, 발전가능성 및 고용안정에 대해 재직자가 느끼는 생각을 종합하여 100점 만점으로 환산한 값입니다.
일자리 전망에 대한 재직자 및 전문가의 견해
- 향후 5년간 플랜트기계공학기술자 및 연구원의 고용은 다소 감소할 전망이다.
- 전체 기계공학기술자의 고용 전망은 기계산업의 성장에 영향을 받는다.
- 기계공학 분야는 세계 경제상황에 영향을 크게 받는 구조라 할 수 있는데, 전세계적인 경기침체로 여전한 어려움이 예상된다.
- 플랜트산업은 제조업과 서비스업을 포괄하는 대표적인 산업으로서 부가가치를 제고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향후 부상할 요인이 존재한다.
- 정부의 중소기업 지원 증가도 플랜트기계공학기술자의 고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 또한 우리나라가 기술력을 인정받고 있어 해외에서도 지속적으로 수주를 할 가능성이 높으며 플랜트설비를 통해 상당한 고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으므로 역량 있는 플랜트기계공학기술자의 수요는 밝다.
- 하지만 전반적인 플랜트기계산업의 침체로 지속적인 일자리 증가를 기대하기는 어려운 상황이다.
일자리 전망률
- 증가
0%
※ 자료 출처 : 고용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