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전자공학시험원

요약
하는일전자기기에 대하여 성능 시험을 실시하여 기존 제품의 성능을 개선하고 새로운 제품 및 장비의 개발을 지원한다.
되는길전기·전자시험원이 되기 위해서는 전자계측을 할 수 있고 전기시험의 결과를 기록할 수 있어야 하기에 최소한 2~3년제 대학의 전기 혹은 전자 관련학과에서 관련 전공을 해야 한다.
전공전기공학과
전자공학과
자격전기산업기사, 기능사, 기사, 기능장(국가기술)
전자기기 기능사
전자산업기사
전자산업기사, 기사(국가기술)
임금조사년도:2021년, 임금 하위(25%) 3419만원, 평균(50%) 4050만원, 상위(25%) 4681만원
만족도72.2
일자리전망증가(63%) 현상유지(30%) 감소(6%)
업무수행능력품질관리분석(98)/조작 및 통제(95)/장비의 유지(92)/작동 점검(91)/장비 선정(87)
지식공학과 기술(87)/컴퓨터와 전자공학(77)/물리(74)/기계(69)/영어(58)
업무환경위험한 상태 노출(100)/극단적으로 밝거나 부적절한 조명(100)/오염물질 노출(96)/위험한 장비 노출(96)/정확성, 정밀성 유지(95)
성격분석적 사고(75)/꼼꼼함(74)/스트레스 감내성(61)/자기통제(54)/혁신(53)
흥미현실형(Realistic)(93)/탐구형(Investigative)(79)
직업가치관지적 추구(87)/경제적 보상(80)/심신의 안녕(74)/애국(67)/고용안정(61)
업무활동 중요도전자장비 유지 보수(99)/기계장비 유지 보수(95)/컴퓨터 업무(91)/장치, 부품, 장비의 도면 작성, 배치, 지정(91)/정보 작성, 기록(90)
업무활동 수준전자장비 유지 보수(98)/기계장비 유지 보수(95)/장치, 부품, 장비의 도면 작성, 배치, 지정(94)/컴퓨터 업무(91)/기계장치 제어(91)
관련직업전기기기·제품개발기술자 및 연구원
전기계측제어기술자
발전설비기술자
송·배전설비기술자
전기감리기술자
전기안전기술자
전자제품 및 부품 개발기술자
반도체공학기술자 및 연구원
전자계측제어기술자
디스플레이연구 및 개발자
직무개요
  • 전자기기에 대하여 성능 시험을 실시하여 기존 제품의 성능을 개선하고 새로운 제품 및 장비의 개발을 지원한다.

수행직무
  • 작업표준 및 검사기준에 따라 공정관리기록표와 관련도면을 준비하고 점검한다.
  • 전기·전자 공학기술자 및 연구원의 지휘·감독하에 기술적 업무를 수행한다
  • 전압측정계측기기, 내전압절연저항기 등과 같은 검사기기로 외관상태, 전압, 부하, 출력 ,소음 등의 검사를 실시한다.
  • 전기·전자기기에 대하여 성능 시험을 실시한다.
  • 기존 제품의 선능을 개선하고 새로운 제품 및 장비의 개발을 지원한다.
  • 전기 및 전자 관련 연구소에서 전기 및 전자와 관련한 시험업무를 수행한다.
  • 검사 후 문제점이 있을시 원인을 분석한다.
  • 전기안전기준에 따라 제품의 불량 여부를 판정하고 불량 부분을 기록하여 보고한다.
  • 검사결과의 품질관리리스트를 작성한다.
  • 불량제품을 표기하여 분리하고 재가공 부서로 이송한다.
  • 이상이 없는 제품에 검사필증을 부착하고 시험성적표 등을 첨부한다.
  • 검사장비 및 검사설비장치를 정돈하고 주위를 정리한다.
임금
임금 정보
하위(25%) 평균(50%) 상위(25%)

3419만원

4050만원

4681 만원

직업만족도
  • 전기·전자공학시험원에 대한 직업 만족도는 72.2% (백점 기준)입니다.
※ 직업만족도는 해당 직업의 일자리 증가 가능성, 발전가능성 및 고용안정에 대해 재직자가 느끼는 생각을 종합하여 100점 만점으로 환산한 값입니다.

일자리 전망에 대한 재직자 및 전문가의 견해
  • 향후 5년간 전기전자시험원의 고용은 다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 전기전자 산업은 세계 및 국내의 경기변동에 영향을 크게 받는 산업 분야로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주력 업종이다.
  • 따라서 전기전자 기술을 활용한 제품 개발, 기술 개발 등이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다.
  • 일반 전자제품, 반도체, LED, 전자 계측 등의 산업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분야이기 때문에 기본적인 수요가 항상 존재를 하며, 산업과 기술이 변화하고 발전하면 이에 따른 시험평가 부문이 중요하고 수요도 증가하게 될 것이다.
  • 또한 기술의 고도화 및 새로운 제품 개발로 인한 연구활동의 증가, 전기전자 기기에 대한 객관적인 시험검증을 요구하는 시장 추세로 인해 시험원의 인력 수요는 꾸준할 것으로 전망된다.
  • 전기시험, 전자계측과 같은 분야는 산업분야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것이기에 기본적 수요가 꾸준히 존재하며 국가나 정부에서 에너지원으로 사용하기 위한 전기사업을 추진하기 때문에 시험원의 인력은 다소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일자리 전망률
  • 증가 0%
    다소 증가 63%
    유지 30%
    다소 감소 3%
    감소 3%
※ 자료 출처 : 고용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