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기기·제품개발기술자 및 연구원

요약
하는일전기제품 및 부품, 장비 등을 설계개발하고, 기술적으로 검증하여 양산용 도면을 작성한다.
되는길전기, 전자 계통의 4년제 대학, 2~3년제 대학 혹은 특성화고등학교에서 관련 교과목을 교육받은 후 각 회사에 취업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교육기관에서는 전력계통, 에너지, 고전압, 제어 및 시스템, 전기 전자재료 분야 등 다양한 전기응용분야와 전자관련 학문을 배운다.
그밖에도 서울정수기능대학 외 22개 기능대학을 통해서도 교육받을 수 있다.
관련자격증은 『전기공사업법』에 의거 전기공사의 규모별 전기기 술자의 시공관리구분을 규정함으로써 전기기술자 이외의 자가 전기공사업무를 수행할 수 없도록 규정하고 있는데 자격증을 취득하면 취업에 유리할 수 있다.
전공반도체·세라믹공학과
전기공학과
자격기계설계산업기사, 기사, 기술사(국가기술)
산업계측제어기술사(국가기술)
전기산업기사, 기사(국가기술)
전기응용기술사(국가기술)
전자계산기기능사, 기사, 기술사(국가기술)
전자응용기술사(국가기술)
임금조사년도:2021년, 임금 하위(25%) 3750만원, 평균(50%) 4350만원, 상위(25%) 5180만원
만족도69.9
일자리전망증가(53%) 현상유지(33%) 감소(13%)
업무수행능력기술 설계(95)/설치(92)/기술 분석(90)/품질관리분석(87)/조작 및 통제(86)
지식공학과 기술(100)/물리(98)/컴퓨터와 전자공학(98)/상품 제조 및 공정(98)/산수와 수학(97)
업무환경앉아서 근무(80)/연설, 발표, 회의하기(73)/이메일 이용하기(71)/실내 근무(69)/공문, 문서 주고받기(65)
성격분석적 사고(90)/혁신(88)/꼼꼼함(71)/독립성(68)/성취/노력(66)
흥미현실형(Realistic)(79)/탐구형(Investigative)(71)
직업가치관지적 추구(75)/다양성(72)/신체활동(69)/심신의 안녕(67)/애국(56)
업무활동 중요도전자장비 유지 보수(95)/장치, 부품, 장비의 도면 작성, 배치, 지정(93)/창조적 생각(84)/기계장비 유지 보수(79)/기계장치 제어(78)
업무활동 수준전자장비 유지 보수(98)/장치, 부품, 장비의 도면 작성, 배치, 지정(96)/창조적 생각(87)/새로운 지식의 습득, 활용(87)/정보 작성, 기록(83)
관련직업전기계측제어기술자
발전설비기술자
송·배전설비기술자
전기감리기술자
전기안전기술자
전자제품 및 부품 개발기술자
반도체공학기술자 및 연구원
전자계측제어기술자
디스플레이연구 및 개발자
전기·전자공학시험원
직무개요
  • 전기제품 및 부품, 장비 등을 설계개발하고, 기술적으로 검증하여 양산용 도면을 작성한다.

수행직무
  • 새로운 종류의 전기장비 개발, 기존 제품의 기능 변경, 양산 중인 제품의 설계 등을 위하여 각종 첨단기술 정보를 수집검토하고, 기술연구, 테스트, 실험 등을 수행한다.
  • 각종 전기장비의 기능 및 수명과 관련한 개발계획에 대한 설계사양서를 작성한다.
  • 설계모형 제작을 위한 금형을 주문하고 그에 따른 모형을 제작한다.
  • 개발계획서와 모형을 심사받는다.
  • CAD를 이용하여 본 설계도면을 작성한다.
  • 제작된 전기장비, 개발 제품 및 부품의 성능이나 치수, 생산성 등을 검증한다.
  • 설계도면으로 인한 및 제품의 하자를 재검토하고 수정하여 재발주한다.
  • 최종 검사에 합격한 제품에 대한 양산도면을 작성하여 발주한다.
임금
임금 정보
하위(25%) 평균(50%) 상위(25%)

3750만원

4350만원

5180 만원

직업만족도
  • 전기기기·제품개발기술자 및 연구원에 대한 직업 만족도는 69.9% (백점 기준)입니다.
※ 직업만족도는 해당 직업의 일자리 증가 가능성, 발전가능성 및 고용안정에 대해 재직자가 느끼는 생각을 종합하여 100점 만점으로 환산한 값입니다.

일자리 전망에 대한 재직자 및 전문가의 견해
  • 향후 5년간 전기제품개발기술자의 고용은 다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 전기제품은 모든 산업에서 필요로 하는 핵심적이며 기초적인 부분이다.
  • 에너지경제연구원의 「에너지 통계연보」에 따르면, 1인당 전력사용량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고, 기존 설비를 환경 친화적으로 교체하는 수요가 늘고 있다.
  • 또한 각 가구에 태양열 시설과 축전기를 설치해서 소비자가 전기를 만들어서 판매하는 방식이 활성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 따라서 일반 사용자들은 좀 더 생활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는 새로운 전기제품의 개발에 대한 수요가 존재하며 신기술을 활용한 새로운 전기제품 개발의 필요성이 증가할 것이다.
  • 따라서 신규전기제품을 개발하는 전문가가 더 많이 필요할 것이다.
  • 또한 청정에너지 등의 이유로 전기제품 개발의 수요가 증가하면서 관련 개발인력의 고용 증가도 예상된다.

일자리 전망률
  • 증가 0%
    다소 증가 53%
    유지 33%
    다소 감소 13%
    감소 0%
※ 자료 출처 : 고용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