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음진동기술자 및 연구원
요약
하는일 | 각종 공사현장 등에서 기계 및 장비 등의 사용으로 발생하는 소음과 진동으로 인한 환경오염으로부터 환경을 관리·보전하고, 민원발생에 대한 대처방안을 계획·하는 업무를 수행한다. |
---|---|
되는길 | 소음진동기술자가 되기 위해서는 대학에서 환경공학, 기계공학 등을 전공하면 유리하다. 채용시 대부분의 업체에서 4년제 졸업이상의 학력을 요구하며 업체에 따라 연구, 개발, 해석 등의 전문 영역에서는 석사이상 등 대학원졸업자에 한해 채용하기도 한다. 이들은 주로 소음진동방지시설업체, 소음진동관련 연구소, 소음진동측정시험업체 등에 취업한다. 대부분 소음진동기사 등 관련 자격을 취득하고 입사하며 경력이 쌓이면 소음진동기술사를 취득하거나 관련업체를 창업하여 독립하기도 한다. |
전공 | 환경공학과 |
자격 | 소음진동산업기사, 기사, 기술사(국가기술) |
임금 | 조사년도:2021년, 임금 하위(25%) 3800만원, 평균(50%) 4144만원, 상위(25%) 4500만원 |
만족도 | 70.4 |
일자리전망 | 증가(73%) 현상유지(23%) 감소(3%) |
업무수행능력 | 물적자원 관리(97)/가르치기(93)/청력(92)/조직체계의 분석 및 평가(90)/재정 관리(89) |
지식 | 물리(100)/건축 및 설계(100)/산수와 수학(100)/공학과 기술(100)/기계(93) |
업무환경 | 반복적인 신체행동, 정신적 활동(92)/이메일 이용하기(87)/갈등 상황(86)/움직이는 기계(85)/정확성, 정밀성 유지(82) |
성격 | 분석적 사고(81)/혁신(67)/신뢰성(64)/적응성/융통성(60)/꼼꼼함(60) |
흥미 | 관습형(Conventional)(92)/현실형(Realistic)(56) |
직업가치관 | 다양성(90)/신체활동(79)/개인지향(65)/지적 추구(64)/타인에 대한 영향(64) |
업무활동 중요도 | 사물, 서비스, 사람의 질 판단(90)/기준에 따른 정보 평가(90)/장치, 부품, 장비의 도면 작성, 배치, 지정(90)/협상, 갈등 해결(90)/장비, 건축물, 자재 검사(89) |
업무활동 수준 | 장치, 부품, 장비의 도면 작성, 배치, 지정(92)/기준에 따른 정보 평가(92)/장비, 건축물, 자재 검사(90)/사물, 서비스, 사람의 질 판단(85)/인사 업무(77) |
관련직업 | 태양광발전연구 및 개발자 풍력발전연구 및 개발자 원자력공학기술자 가스·에너지시험원 및 진단전문가 대기환경기술자 및 연구원 수질환경기술자 및 연구원 폐기물처리기술자 환경영향평가원 토양환경기술자 및 연구원 환경시험원 보건위생·환경검사원 |
직무개요
- 각종 공사현장 등에서 기계 및 장비 등의 사용으로 발생하는 소음과 진동으로 인한 환경오염으로부터 환경을 관리·보전하고, 민원발생에 대한 대처방안을 계획·하는 업무를 수행한다.
수행직무
- 각종 건설현장에서 시공상 발생하는 소음·진동으로 인한 민원이 발생하면 소음계, 진동계,주파수분석계 등을 이용하여 측정하고 대처방안을 제시하여 민원을 해결한다.
- 화약에 의한 발파, 항타기를 사용할 때 발생되는 소음·진동으로 주변 건축물의 구조에 영향을 미치거나 파손 등의 우려가 있는 경우 소음 및 진동 발생의 상한치를 제시하고 공사방법을 제시하여 대책을 수립한다.
임금
하위(25%) | 평균(50%) | 상위(25%) |
---|---|---|
3800만원 |
4144만원 |
4500 만원 |
직업만족도
- 소음진동기술자 및 연구원에 대한 직업 만족도는 70.4% (백점 기준)입니다.
※ 직업만족도는 해당 직업의 일자리 증가 가능성, 발전가능성 및 고용안정에 대해 재직자가 느끼는 생각을 종합하여 100점 만점으로 환산한 값입니다.
일자리 전망에 대한 재직자 및 전문가의 견해
- 향후 5년 동안 소음진동기술자의 고용은 다소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 자동차와 기차 등 대중교통의 보편화, 도로와 대형건축물의 건설 상시화, 그리고 아파트, 오피스텔처럼 공동생활 공간 확대 등으로 소음과 진동이 일상생활에 큰 불편을 야기하고 있다.
- 사생활 보호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 층간소음 문제가 범죄로 비화되기도 한다.
- 층간소음으로 스트레스를 받아 불을 저지르거나 살인을 하기도 한다.
-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정부에서는 국가소음정보시스템을 운영하여 각종 소음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소음에 따른 분쟁을 해결하기 위하여 ‘층간소음 이웃사이센터’를 개설하고 있다.
- 소음과 진동은 스트레스를 넘어 집값 등 경제적인 면에서도 크게 영향을 주어 각종 민원 등도 증가할 것으로 보여 소음 규제 지역 확대, 소음규제 기준 강화, 소음측정망 확대, 방음벽 설치 등 적극적인 소음저감 대책이 마련될 것으로 보인다.
- 중앙환경분쟁조정위원회가 설립된 ‘91.7.~’16.12월까지 분쟁조정위원회에서 처리된 3,657건 중 소음·진동으로 인한 피해가 3,105건으로 전체 85%를 차지하고 있다.
- 따라서 소음과 진동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각종 설비, 장비 등을 연구, 개발하고 설치, 시공 운영하는 소음진동기술자의 역할이 더욱 커질 것이다.
- 참고로 소음진동기술자가 포함된 환경공학기술자의 고용은 2015년 13.4천명에서 2025년 15.3천명으로 1.9천명(연평균 1.4%) 향후 5년 동안 다소증가할 것으로 전망되었다.
일자리 전망률
- 증가
0%
※ 자료 출처 : 고용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