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무·플라스틱 화학공학기술자 및 연구원
요약
하는일 | 원료의 구조와 재질을 분석하여 새로운 합성물질을 연구하고 제품의 제조공정을 연구·분석한다. 고무 및 플라스틱 원료를 분석·연구하여 새로운 품목을 개발·연구한다. 화학공정 및 장비를 연구, 설계, 개발하며 산업화학, 플라스틱 플랜트의 운영 및 유지 관리를 감독한다. |
---|---|
되는길 | 고무 및 플라스틱화학공학기술자 및 연구원이 되기 위해서는 전문대학이나 4년제 대학을 졸업해야 한다. 연구 및 공정 설계 분야에서 일하려면 관련 분야의 석사 이상의 학위를 갖춰야 한다. 관련학과로는 화학공학과, 화학과가 있으며 그 외 신소재학과 등에서도 진출할 수 있다. 관련학과인 화학공학과에서는 수학, 화학, 물리, 생물 등을 기초과목으로 배운 후에 화공 열역학, 유체역학, 열전달, 물질전달, 화학반응공학, 유기공업화학, 화학공학실험, 공업화학실험 등을 배우게 된다. |
전공 | 신소재공학과 재료·금속공학과 화학공학과 화학과 |
자격 | 화공기사, 산업기사, 기술사(국가기술) 화공안전기술사(국가기술) 화학분석기능사, 기사(국가기술) |
임금 | 조사년도:2021년, 임금 하위(25%) 4000만원, 평균(50%) 4782.8만원, 상위(25%) 5547만원 |
만족도 | 71.4 |
일자리전망 | 증가(30%) 현상유지(60%) 감소(10%) |
업무수행능력 | 품질관리분석(97)/기술 설계(95)/기술 분석(93)/장비 선정(92)/조직체계의 분석 및 평가(90) |
지식 | 화학(100)/상품 제조 및 공정(98)/물리(96)/공학과 기술(93)/영어(89) |
업무환경 | 위험한 상태 노출(99)/갈등 상황(96)/오염물질 노출(94)/질병 혹은 감염 위험 노출(93)/경미한 화상, 자상, 찔림 등 노출(93) |
성격 | 혁신(88)/성취/노력(83)/분석적 사고(82)/독립성(81)/적응성/융통성(78) |
흥미 | 탐구형(Investigative)(92)/관습형(Conventional)(77) |
직업가치관 | 지적 추구(87)/경제적 보상(86)/성취(83)/심신의 안녕(79)/애국(78) |
업무활동 중요도 | 목표, 전략 수립(88)/새로운 지식의 습득, 활용(86)/창조적 생각(86)/정보 수집(82)/정보, 자료 분석(81) |
업무활동 수준 | 새로운 지식의 습득, 활용(88)/창조적 생각(88)/목표, 전략 수립(84)/사람들의 업무와 활동을 조직, 편성(84)/기준에 따른 정보 평가(81) |
관련직업 | 석유화학공학기술자 및 연구원 도료 및 농약품화학공학기술자 및 연구원 비누 및 화장품화학공학기술자 및 연구원 의약품공학기술자 및 연구원 화학공학시험원 |
직무개요
- 원료의 구조와 재질을 분석하여 새로운 합성물질을 연구하고 제품의 제조공정을 연구·분석한다. 고무 및 플라스틱 원료를 분석·연구하여 새로운 품목을 개발·연구한다. 화학공정 및 장비를 연구, 설계, 개발하며 산업화학, 플라스틱 플랜트의 운영 및 유지 관리를 감독한다.
수행직무
- 화학엔지니어링, 공정 및 재료의 개발이나 개선에 관한 연구를 수행한다.
- 고무제품 제조와 관련하여 화학적 변화가 일어나는 제조공정을 연구·설계·개발하고, 화학공장설비를 설치·조작·유지·감독한다.
- 제조공정 및 재료의 개발이나 개선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며, 새로운 제조공정을 개발하기 위하여 관련연구를 수행한다.
- 제품의 제조관련 장치 및 장비를 설계·검사하며, 장치의 운용, 유지, 보수작업을 계획한다.
- 일관성 확보를 위한 품질관리 프로그램, 운영절차 및 통제전략을 세우고 원료, 제품 및 폐기물이나 배출물에 대한 기준을 확립한다.
- 물성시험을 통하여 플라스틱 제품을 분석한다.
- 제품원료를 비교·분석하여 새로운 제품을 개발한다.
임금
하위(25%) | 평균(50%) | 상위(25%) |
---|---|---|
만원 |
만원 |
만원 |
직업만족도
- 고무·플라스틱 화학공학기술자 및 연구원에 대한 직업 만족도는 71.4% (백점 기준)입니다.
※ 직업만족도는 해당 직업의 일자리 증가 가능성, 발전가능성 및 고용안정에 대해 재직자가 느끼는 생각을 종합하여 100점 만점으로 환산한 값입니다.
일자리 전망에 대한 재직자 및 전문가의 견해
- 향후 5년간 고무 및 플라스틱화학공학기술자 및 연구원의 고용은 현 상태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 플라스틱은 금속에 비해 경량이며 재활용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 최근 플라스틱 제조업 분야에서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EP)이라는 신소재 물질에 관심과 개발이 집중되고 있다.
- 대부분의 제조업에 범용 가능한 신소재 물질로서 국내 플라스틱 제조업체에서도 이에 대한 투자와 관심이 집중될 것으로 보여 관련 인력도 증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 반면 고무의 경우 주 수요처인 타이어인 자동차산업의 경기에 영향을 받는 데 전망이 그리 밝지는 않다.
일자리 전망률
- 증가
0%
※ 자료 출처 : 고용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