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약품공학기술자 및 연구원
요약
하는일 | 신약, 신물질 등의 개발을 위해서 의약품 원료개발, 공정 개선, 신기술 도입 등에 관해 연구·분석·시험한다. |
---|---|
되는길 | 의약품화학공학기술자 및 연구원이 되기 위해서는 전문대학이나 4년제 대학을 졸업해야 한다. 연구 및 공정 설계 분야에서 일하려면 관련 분야의 석사 이상의 학위를 갖춰야 한다. 관련학과로는 화학공학과, 화학과가 있으며 이외 생명공학과, 약학과 등이 있다. 화학공학과에서는 수학, 화학, 물리, 생물 등을 기초과목으로 배운 후에 화공 열역학, 유체역학, 열전달, 물질전달, 화학반응공학, 유기공업화학, 화학공학실험, 공업화학실험 등을 배우게 된다. |
전공 | 신소재공학과 약학과 재료·금속공학과 화학공학과 화학과 |
자격 | 화공기사, 산업기사, 기술사(국가기술) 화공안전기술사(국가기술) 화학분석기능사, 기사(국가기술) |
임금 | 조사년도:2021년, 임금 하위(25%) 4376만원, 평균(50%) 4800만원, 상위(25%) 5957만원 |
만족도 | 75 |
일자리전망 | 증가(73%) 현상유지(27%) 감소(0%) |
업무수행능력 | 품질관리분석(98)/기술 분석(96)/수리력(95)/논리적 분석(89)/재정 관리(87) |
지식 | 해당 데이터가 없습니다. |
업무환경 | 해당 데이터가 없습니다. |
성격 | 해당 데이터가 없습니다. |
흥미 | 해당 데이터가 없습니다. |
직업가치관 | 경제적 보상(89)/성취(85)/애국(82)/심신의 안녕(82)/다양성(80) |
업무활동 중요도 | 기준에 따른 정보 평가(93)/창조적 생각(87)/새로운 지식의 습득, 활용(86)/정보, 자료 분석(86)/목표, 전략 수립(85) |
업무활동 수준 | 새로운 지식의 습득, 활용(91)/창조적 생각(91)/기준에 따른 정보 평가(90)/절차, 자료, 주변환경 관찰(87)/목표, 전략 수립(85) |
관련직업 | 석유화학공학기술자 및 연구원 고무 및 플라스틱화학공학기술자 및 연구원 도료 및 농약품화학공학기술자 및 연구원 비누 및 화장품화학공학기술자 및 연구원 화학공학시험원 |
직무개요
- 신약, 신물질 등의 개발을 위해서 의약품 원료개발, 공정 개선, 신기술 도입 등에 관해 연구·분석·시험한다.
수행직무
- 새로운 의약품을 개발하기 위하여 국내외 각종 전문 자료 및 정보를 수집한다.
- 제품과 원료를 시험·분석하고, 혼합비를 연구·조절하여 더 나은 품질로 개량한다.
- 제품 제조의 경제성을 높이기 위한 연구를 한다.
- 완제품 및 원재료의 각종 시험법을 조사·비교하고, 공장 내에서 발생하는 각종 이화학적, 미생물학적 시험 및 동물학적 시험을 수행한다.
- 각종 시험 및 분석을 통해 제품 구조 및 공정, 제조방법 등 제품제조 시스템의 기준을 확립한다.
- 관련 제조부서로부터 제품의 생산내역을 인수받아 개발품의 생산공정상의 문제점 및 보완방법을 연구한다.
임금
하위(25%) | 평균(50%) | 상위(25%) |
---|---|---|
4376만원 |
4800만원 |
5957 만원 |
직업만족도
- 의약품공학기술자 및 연구원에 대한 직업 만족도는 75% (백점 기준)입니다.
※ 직업만족도는 해당 직업의 일자리 증가 가능성, 발전가능성 및 고용안정에 대해 재직자가 느끼는 생각을 종합하여 100점 만점으로 환산한 값입니다.
일자리 전망에 대한 재직자 및 전문가의 견해
- 향후 5년간 의약품화학공학기술자 및 연구원의 고용은 다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 건강에 대한 국민의 관심 확대, 인구고령화에 따른 의약품 필요성 확대, 고부가가치인 신약 및 바이오의약품 등의 개발에 대한 기업의 관심 증가 등으로 의약품산업은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보인다.
- 정부에서는 제약기업의 해외 임상, M&A, 오픈이노베이션 등 자금 및 기타 지원을 통해 신약개발 등 제약산업을 육성할 계획이다.
일자리 전망률
- 증가
13%
※ 자료 출처 : 고용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