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치원교사
요약
하는일 | 유치원에서 취학 전 유아들의 신체적·정신적·사회적 발달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기초적인 자연과학, 사회과학, 예체능 등의 교육 활동을 지도한다. |
---|---|
되는길 | 유치원교사가 되기 위해서는 전문대학 및 대학교의 유아교육 관련 학과를 전공하면 된다. 관련 학과에서는 유아의 신체·인지·사회·정서·언어 등 발달적 측면을 다루는 발달심리학, 발달 특성에 기초한 유아교육학, 일반교육학, 유아교육과정 구성에 지지기반이 되는 교육철학, 아동사회학과 유아행동관찰, 유치원운영관리, 부모교육 등 문제 및 연구들과 같은 부분을 다루고 있다. 더불어 실제 유아들의 교육에 적용하기 위한 유아언어·미술·과학·동작교육 등의 다양한 실기과목도 함께 다루어진다. |
전공 | 가정관리학과 아동·청소년복지학과 유아교육학과 |
자격 | 유치원 1, 2급 정교사(국가전문) |
임금 | 조사년도:2021년, 임금 하위(25%) 2797만원, 평균(50%) 3000만원, 상위(25%) 3315만원 |
만족도 | 67.9 |
일자리전망 | 증가(0%) 현상유지(27%) 감소(73%) |
업무수행능력 | 가르치기(96)/학습전략(96)/설득(92)/말하기(92)/행동조정(92) |
지식 | 교육 및 훈련(99)/상담(95)/사회와 인류(94)/심리(94)/예술(92) |
업무환경 | 이미지/평판/재정에 미치는 영향력(97)/다른 사람과 신체적 접촉(97)/건강 및 안전에 대한 책임(91)/사람들과 직접 접촉(89)/외부 고객 대하기(88) |
성격 | 사회성(89)/타인에 대한 배려(85)/자기통제(84)/책임과 진취성(84)/정직성(83) |
흥미 | 예술형(Artistic)(94)/사회형(Social)(84) |
직업가치관 | 이타(91)/성취(74)/다양성(60)/타인에 대한 영향(58)/자율(55) |
업무활동 중요도 | 사람들을 훈련, 교육(97)/사람들을 배려, 돌봄(93)/업무, 활동에 대한 일정관리(81)/사람들의 능력 개발, 지도(81)/팀 구성, 협업 촉진(79) |
업무활동 수준 | 사람들을 배려, 돌봄(92)/사람들을 훈련, 교육(91)/사람들의 능력 개발, 지도(74)/사람들에게 조언, 상담(72)/대인관계 유지(71) |
관련직업 | 해당 데이터가 없습니다. |
직무개요
- 유치원에서 취학 전 유아들의 신체적·정신적·사회적 발달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기초적인 자연과학, 사회과학, 예체능 등의 교육 활동을 지도한다.
수행직무
- 유아의 인지발달과 학습능력 개발을 위해 사회생활 교육, 언어 교육, 교통안전 및 환경보전 교육 등을 지도한다.
- 유아들이 건강한 생활을 할 수 있도록 기초 체력을 기르고, 건강하고 안전한 생활습관을 가지도록 개인위생에 관한 내용과 자기보호, 안전생활 등에 관해 가르친다.
- 자연환경 및 사회의 적응력을 키우기 위해 현장견학, 소풍, 학예회 등의 활동을 지도한다.
- 자아표현과 심미적 경험향상을 위해 노래, 율동, 미술 등의 예능교육을 실시한다.
- 유아들의 학습상황과 생활측면을 평가하고, 유치원생활, 학습능력, 성격 등에 대해 학부모와 상의한다.
- 일일교육계획안, 학급경영록, 생활기록부 등 각종장부 및 문서를 작성 및 관리한다.
- 통학버스에 탑승하여 원아들이 안전하게 승하차 할 수 있도록 돕기도 한다.
- 인근 초등학교 교사와의 간담회를 주최하기도 한다.
임금
하위(25%) | 평균(50%) | 상위(25%) |
---|---|---|
2797만원 |
3000만원 |
3315 만원 |
직업만족도
- 유치원교사에 대한 직업 만족도는 67.9% (백점 기준)입니다.
※ 직업만족도는 해당 직업의 일자리 증가 가능성, 발전가능성 및 고용안정에 대해 재직자가 느끼는 생각을 종합하여 100점 만점으로 환산한 값입니다.
일자리 전망에 대한 재직자 및 전문가의 견해
- 향후 10년간 유치원교사의 고용은 현 상태를 유지하는 수준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 「중장기 인력수급 수정전망 2015~2025」(한국고용정보원, 2016)에 따르면, 유치원교사는 2015년 약 57.1천 명에서 2025년 약 59.1천 명으로 향후 10년간 약 2천 명(연평균 0.3%)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 정부의 무상보육 정책과 유치원교사 1인당 학생 수 감소와 유치원 취원율의 증가추세에 따라 유치원교사 수는 2010년 36,461명에서 2015년 50,998명으로 약 39.9% 증가하였다(교육개발원, 「교육통계연보」). 여성의 사회적 참여 증가로 가정 내에서 전적으로 자녀를 양육하는 것이 점차 어려워지고 있고, 유치원 아동에 대한 무상교육, 저소득층 유아에 대한 교육비 지원, 종일반 운영지원 등 유아교육 분야에 대한 국가적 지원이 확대되고 있어 만성적인 저출산에도 불구하고 전문적인 능력을 갖춘 유치원교사의 수요는 어느 정도 유지될 것으로 예상된다.
- 이러한 현상을 반영하여 유치원 취학 적령인구 중 실제 원아 수를 의미하는 취원율은 2009년 39.5%에서 2015년 49.4%로 늘었다.
- 선진국에 비하여 우리나라 유치원 취원율은 아직도 낮은 수준이고, 양질의 유아교육을 위해 교사 1인당 학생 수가 2009년 15.2명에서 2015년 13.4명으로 감소되고 있어 유치원교사의 수요는 어느 정도 유지될 것으로 전망된다.
- 반면, 지속적인 저출산의 영향으로 유치원 아동의 절대수가 감소하다 2009년을 저점으로 다시 반등하고 있다.
- 유치원생수는 2010년 약 538천 명에서 2013년 약 658천 명으로 급증한 뒤 점진적으로 증가하여 2015년 현재 682천 명을 기록하고 있다.
- 저출산 추세가 최근 완화되는 조짐을 보이고 있고 유치원에 입학하는 학생의 수도 증가세로 반전되어 유치원교사의 취업자 수는 현 상태를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
일자리 전망률
- 증가
0%
※ 자료 출처 : 고용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