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지도사
요약
하는일 | 청소년수련시설, 청소년이용시설, 청소년상담시설, 청소년보호시설 등 청소년 관련 단체에서 청소년의 잠재능력과 학업성취향상, 일반 및 요보호청소년의 사회적응능력 강화를 위한 각종 수련활동, 문화 및 교류활동프로그램을 기획하고, 운영, 지도 및 교육을 한다. |
---|---|
되는길 | 청소년지도사가 되기 위해서는 전문대졸 이상의 학력을 갖추는 것이 필요하다. 대학의 관련 학과에서는 청소년상담, 청소년심리, 청소년정책론, 청소년문제, 청소년인권과 복지 등의 과목을 배우게 된다. 2급은 청소년관련 분야 학사 학위 취득자 및 전문대학 졸업자로 실무경력이 3년 이상인 자, 그리고 3급은 청소년관련 분야의 전문대학 학위 취득자 및 고등학교 졸업자로 실무경력이 3년 이상인 자 등이 시험에 응시할 수 있다. |
전공 | 사회복지학과 아동·청소년복지학과 |
자격 | 청소년상담사 1, 2, 3급(국가전문) 청소년지도사 1, 2, 3급(국가전문) |
임금 | 조사년도:2021년, 임금 하위(25%) 2850만원, 평균(50%) 3108만원, 상위(25%) 3459만원 |
만족도 | 70.3 |
일자리전망 | 증가(40%) 현상유지(60%) 감소(0%) |
업무수행능력 | 가르치기(97)/학습전략(95)/글쓰기(78)/전산(73)/설득(70) |
지식 | 상담(98)/사회와 인류(98)/교육 및 훈련(98)/심리(95)/철학과 신학(92) |
업무환경 | 연설, 발표, 회의하기(92)/다른 사람과의 상호작용(81)/다른 사람과의 접촉(77)/다른 사람들을 조율하거나 이끌기(76)/이메일 이용하기(75) |
성격 | 책임과 진취성(94)/리더십(92)/자기통제(90)/사회성(89)/적응성/융통성(88) |
흥미 | 사회형(Social)(91)/탐구형(Investigative)(87) |
직업가치관 | 심신의 안녕(93)/이타(88)/신체활동(86)/애국(82)/자율(80) |
업무활동 중요도 | 사람들을 훈련, 교육(100)/사람들에게 조언, 상담(99)/사람들을 배려, 돌봄(98)/사람들의 능력 개발, 지도(97)/업무, 활동에 대한 일정관리(96) |
업무활동 수준 | 사람들을 훈련, 교육(100)/사람들의 능력 개발, 지도(99)/사람들에게 조언, 상담(99)/사람들을 배려, 돌봄(99)/대인관계 유지(98) |
관련직업 | 사회복지사 심리상담전문가 직업상담사 사회단체활동가 |
직무개요
- 청소년수련시설, 청소년이용시설, 청소년상담시설, 청소년보호시설 등 청소년 관련 단체에서 청소년의 잠재능력과 학업성취향상, 일반 및 요보호청소년의 사회적응능력 강화를 위한 각종 수련활동, 문화 및 교류활동프로그램을 기획하고, 운영, 지도 및 교육을 한다.
수행직무
- 국가 청소년육성에 적합한 정책의제를 개발하고 현장에 적용한다.
- 청소년의 사회적응능력개발과 건전여가활용에 필요한 각종 수련활동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운영한다.
- 청소년들의 특기적성교육 및 재량활동에 필요한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지도업무를 지원한다.
- 청소년의 생활적응과 사회적 고민해소를 위해 상담하고 보호활동을 수행한다.
- 청소년의 봉사활동, 문화활동, 수련활동의 인증을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지도한다.
- 위험 및 소외청소년의 방과 후 활동, 체험학습활동, 신체단련활동 등을 지도한다.
- 쉼터, 요보호시설 등의 생활적응에 필요한 각종 지원을 수행한다.
- 사회부적응청소년을 위한 전문적 프로그램의 개발하고 활동을 지원한다.
- 청소년수련활동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시설안전대책수립, 관리방안, 평가대책을 수립한다.
- 청소년활동시설의 운영에 필요한 제반 행정업무를 수행하고 지원한다.
임금
하위(25%) | 평균(50%) | 상위(25%) |
---|---|---|
2850만원 |
3108만원 |
3459 만원 |
직업만족도
- 청소년지도사에 대한 직업 만족도는 70.3% (백점 기준)입니다.
※ 직업만족도는 해당 직업의 일자리 증가 가능성, 발전가능성 및 고용안정에 대해 재직자가 느끼는 생각을 종합하여 100점 만점으로 환산한 값입니다.
일자리 전망에 대한 재직자 및 전문가의 견해
- 향후 5년간 청소년지도사의 고용은 다소 증가할 것이다.
- 「2015-2025 중장기 인력수급 수정전망」 (한국고용정보원, 2016)에 따르면, 상담전문가 및 청소년지도사는 2015년 약 32.8천 명에서 2025년 약 40.8천 명으로 향후 10년간 8.0천 명(연평균 2.2%)정도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 여성가족부의 청소년백서에 의하면 청소년 상담에 대한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다.
- 청소년의 상담을 지원하는 시설 수는 2010년 83개소에서 2015년 119개소로 5년간 43.4% 증가하였고, 청소년 상담시설의 상담 건수 역시 2010년 4,017천 건에서 2015년 4,753천 건으로 5년간 18.3% 증가하였다.
- 청소년지도사 자격증 취득자도 증가하고 있다.
- 취득자 수는 2010년에 3,295명에서 2015년 4,125명으로 5년간 25.2% 증가하였다.
- 국가 차원에서도 청소년 관련 상담소, 지원센터, 보호시설 등을 확충하고 이들 시설에 전문인력을 의무 배치하도록 하고 있고 획일화된 공교육에서 얻을 수 엇는 청소년활동을 지도하는 청소년지도사에 대한 수요는 다소 증가할 전망이다.
- 청소년 시설, 정신보건상담센터 등 공공부문 상담시설 외 사적 시장도 성장하고 있다.
- 우리나라에 비해 상담산업이 발전된 미국 등 선진국에서는 다양한 분야의 전문화가 진행되고 있어 산업특성, 수요계층에 따른 상담사들이 세분되며 일자리가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일자리 전망률
- 증가
0%
※ 자료 출처 : 고용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