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부인과의사
요약
하는일 | 태아 출생 전후의 임산부를 관리하고 분만을 담당하며, 전 연령의 여성을 대상으로 생식기관 및 이와 관련된 모든 질환을 진단하고 치료한다. |
---|---|
되는길 | 의사가 되려면 의과대학을 졸업한 후, 의사국가면허시험에 합격해야 한다. 또한 의과대학이 아닌 다른 일반학과를 졸업한 후 총 4년 과정의 의학전문대학원에 진학하여 의무석사학위를 취득하고 의사국가면허시험을 통과해도 의사가 될 수 있다. 2017년 기준으로 의학을 공부할 수 있는 곳은 10개의 국립대학(서울대학교 등)과 31개의 사립대학(고려대학교 등)이 있다. 의과대학에서는 6년(의예과 2년 및 의학과 4년) 동안 해부학, 조직학, 병리학, 예방의학, 의공학, 약리학, 감염학, 임상실습 등을 배운다. 2017년 1월에 시행된 보건의료인국가시험원의 의사면허시험에 3,336명이 응시하여 3,095명(92.8%)가 합격하였다. 특정분야를 전문으로 하지 않고 진료하는 의사를 ‘일반의사’라 한다. 의사면허를 취득한 후에 인턴과정 1년과 레지던트과정 4년(예방의학과, 결핵과, 가정의학과 3년)의 과정을 거쳐 각 분야의 전문의 자격시험에 합격한 사람을 ‘전문의사‘라고 한다. 전문의사는 총 26과의 전문분야(산부인과, 안과, 이비인후과, 피부과, 비뇨기과, 신경과 등)로 구분되어 있으며, 전문의 시험에 응시하는 사람의 비율은 높아지고 있다. |
전공 | 의학과 |
자격 | 의사(국가전문) |
임금 | 조사년도:2021년, 임금 하위(25%) 8803만원, 평균(50%) 10000만원, 상위(25%) 11698만원 |
만족도 | 81 |
일자리전망 | 증가(3%) 현상유지(17%) 감소(80%) |
업무수행능력 | 판단과 의사결정(97)/문제 해결(94)/듣고 이해하기(94)/가르치기(91)/시간 관리(91) |
지식 | 의료(100)/생물(100)/영어(99)/사회와 인류(98)/상담(93) |
업무환경 | 질병 혹은 감염 위험 노출(100)/이미지/평판/재정에 미치는 영향력(100)/실수의 심각성(100)/이미지/평판/재정에 미치는 강도(99)/건강 및 안전에 대한 책임(99) |
성격 | 자기통제(95)/스트레스 감내성(92)/분석적 사고(91)/타인에 대한 배려(91)/책임과 진취성(90) |
흥미 | 사회형(Social)(95)/탐구형(Investigative)(69) |
직업가치관 | 인정(95)/경제적 보상(93)/고용안정(92)/성취(91)/애국(88) |
업무활동 중요도 | 사람들을 배려, 돌봄(91)/사물, 서비스, 사람의 질 판단(87)/사람들에게 영향력 행사(86)/새로운 지식의 습득, 활용(85)/절차, 자료, 주변환경 관찰(83) |
업무활동 수준 | 사람들을 배려, 돌봄(97)/절차, 자료, 주변환경 관찰(94)/새로운 지식의 습득, 활용(94)/사물, 서비스, 사람의 질 판단(88)/사물, 행동, 사건 파악(87) |
관련직업 | 내과의사 외과의사 성형외과의사 이비인후과의사 안과의사 정신과의사 소아청소년과의사 방사선과의사 마취병리과의사 비뇨기과의사 피부과의사 가정의학과의사 일반의사 한의사 치과의사 |
직무개요
- 태아 출생 전후의 임산부를 관리하고 분만을 담당하며, 전 연령의 여성을 대상으로 생식기관 및 이와 관련된 모든 질환을 진단하고 치료한다.
수행직무
- 임산부의 산전상담, 임산부의 산전관리를 위하여 임상병리검사, 초음파검사, 양수검사 등의 자료와 태아감시장치를 사용하여 임산부와 태아의 건강상태를 평가한다.
- 이를 위하여 정기적 검진을 실시하며, 이상 소견시 약물처방 또는 외과적 처치를 한다.
- 신생아의 분만을 담당하고 태아와 산모의 건강을 추위하여 필요시 제왕절개수술이나 기타 외과수술을 실시한다.
- 분만 후 간격조절이나 피임 수술을 한다.
- 전 연령의 여성을 대상으로 생식기관, 요도기관, 직장 및 이와 관련된 제 질환을 과거력, 이학적 소견, 임상병리검사, 방사선검사 등으로 진단하고 적절한 약물처방과 병소부위의 제거를 위한 수술을 한다.
- 불임 여성의 원인을 찾기 위한 임상병리검사, 방사선검사 등을 하고 이의 치료를 위한 약물처방, 외과적 수술 혹은 시술 등을 수행한다.
- 산모와 태아 및 신생아의 건강과 분만을 돕는다.
- 정부기관에 출생, 사망 및 전염병발생 등을 보고한다.
임금
하위(25%) | 평균(50%) | 상위(25%) |
---|---|---|
8803만원 |
10000만원 |
11698 만원 |
직업만족도
- 산부인과의사에 대한 직업 만족도는 81% (백점 기준)입니다.
※ 직업만족도는 해당 직업의 일자리 증가 가능성, 발전가능성 및 고용안정에 대해 재직자가 느끼는 생각을 종합하여 100점 만점으로 환산한 값입니다.
일자리 전망에 대한 재직자 및 전문가의 견해
- 향후 5년간 산부인과의사의 고용은 다소 감소할 전망이다.
- 가치관의 변화와 취업경쟁이 심해짐에 따라 결혼연령이 늦어지고 나이가 들어 출산하는 여성들이 많아 출산율이 지속적으로 저하되고 있다.
- 갈수록 낮아지는 출산율과 열악한 보육환경이 지속되면서 실제 산부인과 경영에 한계를 느끼고 분만실 운영을 포기하는 의원도 늘고 있다.
- 이에 따라 출산과 관련된 정책이 더욱 적극적으로 수행되어 출산율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한 향후 산부인과의사의 고용 증가를 기대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일자리 전망률
- 증가
0%
※ 자료 출처 : 고용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