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의사

요약
하는일동물의 진단과 치료에서부터 동물약품개발, 가축품종개량연구, 축산물 검역과 방역, 수의학연구 등의 업무를 수행한다.
되는길수의사가 되기 위해서는 수의학을 공부할 수 있는 대학에서 수의예과 2년, 수의학과 4년, 총 6년을 공부해야 한다.
2016년 현재 국내 대학 중 서울대학교 등 국립대 9개교와 사립대학교인 건국대학교까지 총 10개 대학에 수의학과가 개설되어 있다.
1~2학년에는 수의예과에서 기본적 교양과 수의학 공부에 필요한 기초 지식을 습득해야 하며, 수의본과에서 4년간 본격적으로 수의학을 공부한 후 수의사 국가시험에 합격해야 한다.
2016년에는 수의학과를 졸업한 592명 중 569명(96.1%)이 수의사 면허시험에 합격하였다.
전공수의학과
자격수의사(국가전문)
임금조사년도:2021년, 임금 하위(25%) 5749만원, 평균(50%) 6216만원, 상위(25%) 6786만원
만족도74.4
일자리전망증가(56%) 현상유지(33%) 감소(10%)
업무수행능력정교한 동작(91)/재정 관리(89)/인적자원 관리(80)/논리적 분석(76)/서비스 지향(76)
지식생물(100)/의료(97)/경영 및 행정(93)/경제와 회계(88)/고객서비스(88)
업무환경질병 혹은 감염 위험 노출(100)/의사결정 가능성(99)/결과에 대한 책임(96)/의사결정 권한(96)/실수의 심각성(96)
성격자기통제(93)/신뢰성(93)/성취/노력(92)/스트레스 감내성(92)/꼼꼼함(92)
흥미사회형(Social)(95)/탐구형(Investigative)(83)
직업가치관인정(98)/경제적 보상(97)/자율(95)/이타(95)/성취(94)
업무활동 중요도업무상 사람들을 직접 응대(87)/조직 외부인과 소통(87)/사람들에게 영향력 행사(85)/자원 관리(84)/사람들을 배려, 돌봄(80)
업무활동 수준사람들에게 영향력 행사(91)/사람들을 배려, 돌봄(89)/업무상 사람들을 직접 응대(88)/조직 외부인과 소통(87)/사람들의 업무와 활동을 조직, 편성(83)
관련직업해당 데이터가 없습니다.
직무개요
  • 동물의 진단과 치료에서부터 동물약품개발, 가축품종개량연구, 축산물 검역과 방역, 수의학연구 등의 업무를 수행한다.

수행직무
  • 동물 내·외부기관의 질병, 장애 및 상처를 검사, 진단, 치료하고 수술한다.
  • 동물의 분만을 돕는다.
  • 축산농가의 철저한 위생관리를 통해 질병을 예방하고 폐사되는 일이 없도록 방역업무를 한다.
  • 이와 관련하여 교육을 실시하고 검사를 수행하며 돼지 콜레라 및 광견병 등과 같은 전염병에 대한 예방접종을 실시한다.
  • 동물의 시체를 검사하여 사인을 규명하거나 수·출입되는 가축물과 고기, 계란, 우유, 어패류 등의 안전성을 검사하고 판정한다.
  • 동물보호 및 사육에 관하여 조언한다.
  • 가축의 품종개량 등에 대해 연구하고 개발한다.
  • 동물을 매개체로 인간에게 전염되는 질병에 관해 연구하고 예방 및 치료에 필요한 약품을 연구하고 개발한다.
  • 경마, 승마용 말을 대상으로 약품테스트나 신체검사를 수행하며, 부상당한 말을 치료한다.
  • 동물원과 야생환경에서 생활하는 야생동물을 관리하고 치료한다.
  • 검역과 방역에 대한 대책을 수립하고 시행한다.
임금
임금 정보
하위(25%) 평균(50%) 상위(25%)

5749만원

6216만원

6786 만원

직업만족도
  • 수의사에 대한 직업 만족도는 74.4% (백점 기준)입니다.
※ 직업만족도는 해당 직업의 일자리 증가 가능성, 발전가능성 및 고용안정에 대해 재직자가 느끼는 생각을 종합하여 100점 만점으로 환산한 값입니다.

일자리 전망에 대한 재직자 및 전문가의 견해
  • 향후 5년간 수의사의 고용은 증가할 것이다.
  • 1인 가구, 고령인구가 증가하면서 개나 고양이 등 반려동물에게서 정신적 위안을 얻으려는 사람이 늘고 있다.
  • 자연스럽게 동물에 대한 관심과 인식이 높아지고 있으며 반려동물에 대한 예방접종, 치료, 분만, 건강관리를 담당하는 수의사의 수요는 지속적으로 증가될 것으로 보인다.
  • 최근에는 조류인플루엔자, 구제역, 광우병 등 동물 질병에 대한 검역, 방역이 중요해지고 있다.
  • 이에 따라 가축의 검역과 방역을 담당하는 수의사 인력 수요가 증가될 것으로 보인다.
  • 또한, 먹을거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안전한 축산물 먹을거리 공급을 위해 위생관리를 담당하는 수의직 공무원이 다소 증가할 수 있다.
  • 수의사 면허를 가지고 있을 경우에는 시험을 통해 동물검역, 가축방역, 공중보건 등의 수의 업무를 담당하는 공무원이 될 수 있다.
  • 매년 대학의 수의학과에서는 약 500명 이상의 수의사가 배출되고 있으므로 수의사는 더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 하지만, 배출되는 수의사가 증가함에 따라 도심지에서 동물병원을 개업하려는 수의사 간에 치열한 경쟁이 벌어지고 있는 점도 주지해야 한다.

일자리 전망률
  • 증가 3%
    다소 증가 53%
    유지 33%
    다소 감소 10%
    감소 0%
※ 자료 출처 : 고용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