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과기공사
요약
하는일 | 치과의사의 의뢰에 따라 구강조직의 저작기능(음식을 입에 넣고 씹는 기능) 및 외관을 개선하기 위한 치과기공물, 충전물 등을 제작, 가공, 수리한다. |
---|---|
되는길 | 치과기공사가 되기 위해서는 4년제 대학교 혹은 전문대학의 치기공학과를 졸업하고 치과기공사 면허시험에 합격하여야 한다. 대한치과기공사협회에 의하면 2017년 기준으로 치과기공학과가 개설된 대학은 전국에 19개교가 있다. 치기공학과에서는 다양한 치기공학, 치과교정기공학 및 실습, 임상실습 등에 대해 배운다. 최근에는 3D 프린팅이 보철물제작에 이용되면서 3D 프린팅을 위한 모델링도 교육과정에 포함되는 추세이다. 보건의료인국가시험원의 통계에 의하면 2016년 12월에 시행된 치과기공사 면허시험에서 1,221명이 응시하여 1,001명(82.0%)가 합격하였다. |
전공 | 치기공학과 |
자격 | 치과기공사(국가전문) |
임금 | 조사년도:2021년, 임금 하위(25%) 3350만원, 평균(50%) 3764.8만원, 상위(25%) 4326만원 |
만족도 | 72.9 |
일자리전망 | 증가(73%) 현상유지(17%) 감소(10%) |
업무수행능력 | 정교한 동작(98)/장비 선정(92)/선택적 집중력(91)/고장의 발견.수리(85)/시력(85) |
지식 | 상품 제조 및 공정(97)/화학(88)/디자인(88)/의료(87)/공학과 기술(84) |
업무환경 | 장비 속도에 보조 맞추기(97)/위험한 장비 노출(94)/온몸 진동 노출(90)/경미한 화상, 자상, 찔림 등 노출(88)/소음 노출(87) |
성격 | 꼼꼼함(49)/혁신(46)/독립성(35)/분석적 사고(28)/리더십(21) |
흥미 | 현실형(Realistic)(88)/탐구형(Investigative)(82) |
직업가치관 | 이타(88)/타인에 대한 영향(84)/심신의 안녕(74)/고용안정(69)/개인지향(68) |
업무활동 중요도 | 절차, 자료, 주변환경 관찰(86)/정보 수집(86)/업무 계획, 우선순위 결정(86)/정보 작성, 기록(81)/사물, 행동, 사건 파악(78) |
업무활동 수준 | 사물, 행동, 사건 파악(90)/절차, 자료, 주변환경 관찰(90)/정보 수집(85)/업무 계획, 우선순위 결정(84)/새로운 지식의 습득, 활용(83) |
관련직업 | 임상병리사 방사선사 치과위생사 물리치료사 작업치료사 임상심리사 재활공학기사 언어치료사 청능사 놀이치료사 예술치료사 |
직무개요
- 치과의사의 의뢰에 따라 구강조직의 저작기능(음식을 입에 넣고 씹는 기능) 및 외관을 개선하기 위한 치과기공물, 충전물 등을 제작, 가공, 수리한다.
수행직무
- 치과기공물 제작의뢰서를 통해 치과보철물의 종류 및 사용하는 재료, 완성시간, 설계 등을 확인한다.
- 치과 진료실에서 전달된 작업모형을 확인하거나 체득된 인상을 토대로 돌가루나 석고가루를 인상재에 붓고 진동기를 사용하여 모형을 제작한다.
- 조각도, 몰딩기, 전동기, 도재분말, 납땜기 등 공구와 재료를 이용하여 조각, 몰딩(주조), 컨투어링, 도재작업 등을 통하여 도재인레이 및 관교의치(크라운&브리지), 도재관, 국소의치, 총의치, 어태치먼트, 교정장치 등을 손이나 기계로 제작한다.
- 치과기공물과 충전물이 치과기공물제작의뢰서에 맞게 제작 및 수리되었는지 확인한다.
- 연마재, 광택재, 연마기를 사용하여 연마하고 광택을 낸다.
- 초음파세척기, 증기세척기를 사용하여 세척한다.
- 교합기를 사용하여 교합여부를 검사한다.
- 치과기공물 및 충전물 제작, 수리에 사용되는 도구나 재료, 장비 등을 관리한다.
임금
하위(25%) | 평균(50%) | 상위(25%) |
---|---|---|
만원 |
만원 |
만원 |
직업만족도
- 치과기공사에 대한 직업 만족도는 72.9% (백점 기준)입니다.
※ 직업만족도는 해당 직업의 일자리 증가 가능성, 발전가능성 및 고용안정에 대해 재직자가 느끼는 생각을 종합하여 100점 만점으로 환산한 값입니다.
일자리 전망에 대한 재직자 및 전문가의 견해
- 향후 5년간 치과기공사의 고용은 다소 증가하는 수준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 「2015-2025 중장기 인력수급 수정전망」 (한국고용정보원, 2016)에 따르면, 치과기공사는 2015년 약 20.8천 명에서 2025년 약 25.2천 명으로 향후 10년간 4.4천 명(연평균 1.9%)정도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 치과기공사 면허등록자는 2014년 기준으로 31,555명으로 2009년의 25,618명과 비교하여 5년간 23.2% 증가하였다.
- 보건의료인국가시험원 합격자 통계에 의하면 2013년~2015년까지 최근 3년간 연 평균 약 1,150명의 치과기공사 합격자를 배출하였다.
- 생활수준이 향상되고 평균 수명이 연장되며 구강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 치아 치료뿐 아니라 예방적 차원에서의 검진이 증가하였으며, 건강관리와 외모 증진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여 치아 교정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 또한 고령자에 한해 틀니와 임플란트까지 의료보험 보장 범위가 확대되며 치과기공사의 수요 증가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 그러나 3D 프린터를 이용한 보철물의 제작이 가능해지면서 복잡한 공정이 단순해지고 그리고 보철물을 만들기까지 소요되는 시간도 줄어들고 있다.
- 치과기공장비의 디지털화로 제작 공정 자동화되면서 현장에서는 고용감소를 우려하고 있다.
- 향후 이 분야의 고용이 어떻게 될지 현 단계에서 예단하기 어려운 상황이나 치과기공사는 디지털과 관련된 전문능력을 함양하고 연구개발 등의 능력을 갖춘자에게 유리할 것이다.
일자리 전망률
- 증가
10%
※ 자료 출처 : 고용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