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상심리사
요약
하는일 | 인지, 행동, 정서 및 성격 등에 있어서 정신과적 장애가 있는 개인 또는 집단을 대상으로 심리평가를 실시하여 장애의 원인 및 치료 방안을 파악하고 심리적 기법을 활용하여 치료한다. |
---|---|
되는길 | 임상심리사가 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대학에서 임상심리학을 전공하고 석사 이상의 학위를 취득한 후에 추가적으로 수련 또는 경력을 쌓아야 임상심리사로 활동할 수 있다. 정신보건임상심리사는 학사학위 이상의 소지자(혹은 임상심리가 2급 소지자)가 보건복지부 장관이 지정한 전문요원 수련기관에서 일정기간 수련을 마친 후에 활동할 수 있다. |
전공 | 심리학과 |
자격 | 임상심리사 1,2급(국가기술) 정신보건임상심리사(국가전문) |
임금 | 조사년도:2021년, 임금 하위(25%) 3409만원, 평균(50%) 3994.3만원, 상위(25%) 4731만원 |
만족도 | 73.9 |
일자리전망 | 증가(56%) 현상유지(36%) 감소(6%) |
업무수행능력 | 사람 파악(97)/설득(92)/말하기(90)/듣고 이해하기(88)/서비스 지향(87) |
지식 | 심리(100)/상담(100)/사회와 인류(100)/철학과 신학(100)/교육 및 훈련(99) |
업무환경 | 반복적인 신체행동, 정신적 활동(97)/의사결정 권한(92)/외부 고객 대하기(90)/사람들과 직접 접촉(87)/이미지/평판/재정에 미치는 영향력(84) |
성격 | 자기통제(98)/타인에 대한 배려(96)/스트레스 감내성(96)/분석적 사고(93)/신뢰성(91) |
흥미 | 사회형(Social)(98)/탐구형(Investigative)(94) |
직업가치관 | 지적 추구(91)/이타(90)/심신의 안녕(88)/신체활동(88)/인정(85) |
업무활동 중요도 | 정보의 의미 해석(93)/사람들의 능력 개발, 지도(92)/사람들에게 영향력 행사(91)/의사 결정, 문제점 해결(91)/사람들에게 조언, 상담(91) |
업무활동 수준 | 절차, 자료, 주변환경 관찰(93)/사물, 행동, 사건 파악(92)/사람들을 배려, 돌봄(92)/사람들에게 조언, 상담(92)/사물, 서비스, 사람의 질 판단(91) |
관련직업 | 임상병리사 방사선사 치과기공사 치과위생사 물리치료사 작업치료사 재활공학기사 언어치료사 청능사 놀이치료사 예술치료사 |
직무개요
- 인지, 행동, 정서 및 성격 등에 있어서 정신과적 장애가 있는 개인 또는 집단을 대상으로 심리평가를 실시하여 장애의 원인 및 치료 방안을 파악하고 심리적 기법을 활용하여 치료한다.
수행직무
- 인지장애, 신경증적 장애, 정신증적 장애, 성격장애 등 정신 장애를 갖고 있는 환자 또는 일반인을 대상으로 관찰하고 인지 검사, 성격 검사, 신경심리 검사를 실시하고 해석한다.
- 질환의 원인을 분석하고 치료방법, 빈도, 강도, 기간 등 적절한 치료계획을 수립한다.
- 정신분석, 내담자중심 상담, 행동치료, 인지치료, 인지행동치료, 심리극, 학습치료, 놀이치료 등 여러 가지 치료적 접근법을 활용하여 이상 심리와 정신 장애를 치료한다.
- 심리평가 결과와 치료경과에 대해 정신과 의사 등 정신보건 관련 전문가들과 함께 토론하고 공조한다.
- 정신장애 및 사회부적응 등 장애의 심리적 원인과 과정을 밝혀내기 위해 연구한다.
- 정신병리의 진단 및 치료를 위한 방법이나 도구를 개발한다.
임금
하위(25%) | 평균(50%) | 상위(25%) |
---|---|---|
만원 |
만원 |
만원 |
직업만족도
- 임상심리사에 대한 직업 만족도는 73.9% (백점 기준)입니다.
※ 직업만족도는 해당 직업의 일자리 증가 가능성, 발전가능성 및 고용안정에 대해 재직자가 느끼는 생각을 종합하여 100점 만점으로 환산한 값입니다.
일자리 전망에 대한 재직자 및 전문가의 견해
- 향후 5년간 임상심리사의 고용은 증가하는 수준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 최근 사회의 경쟁적 분위기, 빈부의 격차, 개인주의의 심화 등의 이유 때문에 개인의 심리 및 정서 그리고 대인관계 문제에 대한 상담과 치료의 필요성이 더 증가하고 있다.
- 학교 폭력, 우울증, 그리고 직장 내 따돌림 등 스트레스 및 심리적 고통을 호소하는 사람이 많아지고 있어 이를 다룰 만한 전문가가 필요하다.
- 또한, 4차 산업혁명이 확대되면 양극화가 가속화되어 소외되고 심리적으로 어려운 사람이 더 증가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임상심리사의 역할이 더욱 중요해질 것이다.
일자리 전망률
- 증가
0%
※ 자료 출처 : 고용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