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경사
요약
하는일 | 고객에게 안과와 관련된 제반 검사를 실시하고 안경 및 콘택트렌즈를 처방해주며 시력보조구의 사용에 관하여 조언한다. |
---|---|
되는길 | 안경사가 되기 위해서는 전문대학 및 대학교에 개설되어 있는 안경광학과를 졸업하고 안경사 국가면허 시험에 합격해야 한다. 안경광학과는 2017년 기준 총 47개교(전문대학 32개교, 4년제 대학교 15개교)에 개설되어 있다. 안경광학과에서는 안경광학, 기하광학, 안경조제가공학, 안경광학현장실습, 양안시검사 등에 대하여 배운다. 한국보건의료인국가시험원의 통계에 의하면 2017년 1월에 시행된 안경사 시험에 3,336명이 지원하여 3,095명(92.8%)가 합격하였다. |
전공 | (안경)광학과 |
자격 | 안경사(국가전문) |
임금 | 조사년도:2021년, 임금 하위(25%) 3108만원, 평균(50%) 3500만원, 상위(25%) 4714만원 |
만족도 | 71.6 |
일자리전망 | 증가(23%) 현상유지(53%) 감소(23%) |
업무수행능력 | 시력(96)/정교한 동작(86)/말하기(84)/서비스 지향(83)/장비 선정(78) |
지식 | 영업과 마케팅(96)/상품 제조 및 공정(95)/상담(89)/경영 및 행정(88)/고객서비스(88) |
업무환경 | 주말 및 공휴일 근무(99)/자동화 정도(97)/정확성, 정밀성 유지(97)/불쾌하거나 무례한 사람 상대(92)/사람들과 직접 접촉(90) |
성격 | 꼼꼼함(82)/타인에 대한 배려(72)/정직성(67)/적응성/융통성(67)/혁신(63) |
흥미 | 사회형(Social)(87)/탐구형(Investigative)(79) |
직업가치관 | 신체활동(82)/심신의 안녕(67)/고용안정(66)/개인지향(65)/경제적 보상(57) |
업무활동 중요도 | 사람들에게 영향력 행사(94)/제품, 사건, 정보의 수치 추정(94)/자원 관리(93)/업무상 사람들을 직접 응대(91)/협상, 갈등 해결(90) |
업무활동 수준 | 자원 관리(98)/제품, 사건, 정보의 수치 추정(97)/사람들에게 영향력 행사(95)/업무상 사람들을 직접 응대(93)/협상, 갈등 해결(92) |
관련직업 | 응급구조사 보건의료정보관리사 간호조무사 안마사 |
직무개요
- 고객에게 안과와 관련된 제반 검사를 실시하고 안경 및 콘택트렌즈를 처방해주며 시력보조구의 사용에 관하여 조언한다.
수행직무
- 고객의 시력관련 문제나 안과문제를 상담하고 문진한다.
- 고객에게 자동시력검사기(포롭터, phoroptor) 등 기계나 검안장비를 이용하여 시력검사를 실시한다.
- 안경, 콘택트렌즈 또는 기타 시력증진을 위한 처방을 한다.
- 눈동자 간의 거리 및 코의 높이 등을 피디(자)를 사용 측정하고 고객 얼굴에 맞는 안경테를 추천한다.
- 각막두께측정기(pachymeter)를 이용하여 각막의 두께를 측정하고 시력에 맞는 렌즈를 선택한다.
- 렌즈가공기를 사용하여 선택한 안경테에 맞추어 렌즈를 가공하여 조립한다.
- 안경 또는 콘택트렌즈의 세척 및 착용 방법을 설명하고 시력 보호를 위한 조명 및 시력보조구에 관하여 조언한다.
- 보안경, 선그라스 및 기타 특수안경을 판매한다.
- 의학적 치료가 요구되는 경우 안과 치료를 권유한다.
- 고객의 직업, 패션 등에 적합한 안경테 선정을 위한 서비스를 제공하기도 한다.
임금
하위(25%) | 평균(50%) | 상위(25%) |
---|---|---|
3108만원 |
3500만원 |
4714 만원 |
직업만족도
- 안경사에 대한 직업 만족도는 71.6% (백점 기준)입니다.
※ 직업만족도는 해당 직업의 일자리 증가 가능성, 발전가능성 및 고용안정에 대해 재직자가 느끼는 생각을 종합하여 100점 만점으로 환산한 값입니다.
일자리 전망에 대한 재직자 및 전문가의 견해
- 향후 10년간 안경사의 고용은 다소 증가하는 수준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 「2015-2025 중장기 인력수급 수정전망」 (한국고용정보원, 2016)에 따르면, 안경사는 2015년 약 17.4천 명에서 2025년 약 21.8천 명으로 향후 10년간 4.4천 명(연평균 2.3%)정도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 안경사 면허등록자는 2014년 기준으로 38,482명으로 보건의료인국가시험원 합격자 통계에 의하면 2013년~2015년까지 최근 3년간 연 평균 약 1,512명의 안경사 합격자가 배출되었다.
- TV나 다양한 영상매체의 발달 및 컴퓨터, 스마트폰 사용의 증가로 시력이 저하되어 성인 뿐 아니라 어린이들 사이에서도 안경인구가 늘고 있다.
- 인구 고령화로 인한 노인인구가 증가하면서 노안으로 인한 누진렌즈 등 관련된 제품의 판매도 증가하며 안경에 대한 수요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 이 같은 안경착용 인구의 증가는 안경사의 고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 안경광학과를 개설한 대학이 증가하였고 졸업생의 대부분이 안경사 면허를 취득하나 면허 취득자 중 안경사로 취업하지 않는 경우도 많다.
- 이는 안경사의 배출인원이 지나치게 많고 또한 장시간 근무하는 안경사의 업무 특성이 부분적 원인으로 추측된다.
- 그러나 안경 산업의 성장과 의료기사로서 창업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어 안경사의 취업자 수는 다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일자리 전망률
- 증가
0%
※ 자료 출처 : 고용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