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그래픽디자이너
요약
하는일 | 방송의 뉴스, 일기예보, 속보 등에 사용되는 글, 그림, 데이터, 문자 등을 디자인하고 송출한다. |
---|---|
되는길 | 영상그래픽디자이너가 되기 위해서는 전문대학 및 대학교에서 시각디자인을 전공하는 것이 유리하며, 컴퓨터 프로그램을 통한 그래픽 처리 기술을 습득하는 것도 필요하다. 최근에는 공공 혹은 민간 훈련기관에서 그래픽 디자인과 관련한 다양한 과정들이 개설되어 있어, 비전공자도 훈련 이수 후 영상그래픽디자이너로 취업하는 경우도 빈번한다. 영상그래픽디자이너로 취업하기 위해서는 실무능력과 관련 기술의 보유가 취업에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영상그래픽디자이너로서 자신의 능력을 보여줄 수 있는 포트폴리오를 축적해 나아가는 것이 보다 효과적이다. 특히 영상그래픽을 처리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은 지속적으로 발전하기 때문에 새로운 기술을 습득하기 위한 자기계발 노력도 필요하다. 관련자격증으로 하는 아래와 같은 자격증이 있다. - 국가자격증: 웹디자인기능사, 게임그래픽전문가, 컴퓨터그래픽스운용기능사(한국산업인력공단 시행), 멀티미디어 콘텐츠제작 전문가 - 민간자격증: 공인민간자격 - GTQ(그래픽기술자격) |
전공 | 만화·애니메이션학과 사진·영상예술학과 산업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학과 |
자격 | 시각디자인 산업기사, 기사(국가기술) 컴퓨터그래픽스운용기능사(국가기술) |
임금 | 조사년도:2021년, 임금 하위(25%) 2797만원, 평균(50%) 3300만원, 상위(25%) 4144만원 |
만족도 | 70.6 |
일자리전망 | 증가(48%) 현상유지(42%) 감소(9%) |
업무수행능력 | 시력(95)/가르치기(89)/기술 설계(86)/재정 관리(86)/조작 및 통제(76) |
지식 | 디자인(100)/의사소통과 미디어(98)/예술(97)/국어(95)/역사(89) |
업무환경 | 재택근무(95)/앉아서 근무(88)/마감시간(88)/이메일 이용하기(82)/갈등 상황(81) |
성격 | 적응성/융통성(96)/혁신(94)/꼼꼼함(82)/협조(79)/신뢰성(73) |
흥미 | 예술형(Artistic)(95)/탐구형(Investigative)(45) |
직업가치관 | 다양성(95)/지적 추구(93)/신체활동(91)/인정(80)/개인지향(78) |
업무활동 중요도 | 컴퓨터 업무(98)/창조적 생각(95)/정보 처리(93)/팀 구성, 협업 촉진(90)/정보 수집(88) |
업무활동 수준 | 컴퓨터 업무(97)/창조적 생각(95)/정보 처리(94)/팀 구성, 협업 촉진(92)/목표, 전략 수립(90) |
관련직업 | 제품디자이너 의상디자이너 패션소품디자이너 실내장식디자이너 시각디자이너 웹디자이너 게임그래픽디자이너 UX·UI디자이너 |
직무개요
- 방송의 뉴스, 일기예보, 속보 등에 사용되는 글, 그림, 데이터, 문자 등을 디자인하고 송출한다.
수행직무
- 뉴스, 일기예보, 다큐멘터리 등 제작팀의 방송프로듀서(방송연출가) 또는 보조연출가 등으로부터 방송 자막이나 그림으로 사용될 내용을 받는다.
- 방송의 특성을 고려하며 글에 적합한 글꼴, 크기, 디자인 그리고 색채 등을 결정하며 관계자와 협의하여 최종 결정한다.
- 컴퓨터, 그래픽 소프트웨어, 마우스 등을 사용하여 글을 작성하고 디자인한다.
- 캡처기, VTR 등을 사용하여 방송에 사용될 인물사진이나 기존 자료 등을 캡처한다.
- 디자인한 내용을 송출기기를 사용하여 전송하거나 녹화기를 사용하여 녹화한다.
- 속보 등 관련 내용을 컴퓨터에 저장하거나 방송에 적합한 글, 그림, 디자인 등을 사전 작업하여 DB에 구축한다.
- 방송되는 내용을 관찰하고 개선점을 찾는다.
임금
하위(25%) | 평균(50%) | 상위(25%) |
---|---|---|
2797만원 |
3300만원 |
4144 만원 |
직업만족도
- 영상그래픽디자이너에 대한 직업 만족도는 70.6% (백점 기준)입니다.
※ 직업만족도는 해당 직업의 일자리 증가 가능성, 발전가능성 및 고용안정에 대해 재직자가 느끼는 생각을 종합하여 100점 만점으로 환산한 값입니다.
일자리 전망에 대한 재직자 및 전문가의 견해
- 향후 5년간 영상그래픽디자이너의 고용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 영상을 통해 다양한 홍보와 내용 전달이 효과적이기 때문에 영상제작이 증가하고 있다.
- 또한 스마트폰 사용자 확대로 인한 게임산업의 성장도 인력 수요가 발생할 것으로 보인다.
- 컴퓨터그래픽 기술이 발전하면서 한층 더 경쟁력 있는 그래픽, 배경, 캐릭터, 아이템, 메뉴 등이 요구되고 있어 소비자의 요구를 만족시키는 디자인을 구현할 수 있는 디자이너를 위주로 고용이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일자리 전망률
- 증가
3%
※ 자료 출처 : 고용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