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려동물미용사
요약
하는일 | 개나 고양이 등의 반려동물에 대한 미용과 청결에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한다. |
---|---|
되는길 | 반려동물미용사가 뒤기 위한 특별한 조건은 없지만 이론과 기술적 지식이 필요한 직업인만큼 동물 관련 이론 및 기술을 쌓고 입직하는 것이 유리하다. 일반적으로 일부 특성화고등학교에 개설된 반려동물 관련 학과 또는 전문대학에 개설된 애견미용 관련학을 전공하거나 사설애견미용학원의 양성과정을 통해 관련 지식과 기술을 배울 수 있다. 이외에도 애견미용실이나 동물병원의 견습생으로 들어가 미용보조원으로 활동하며 현장에서 기술을 습득할 수 있다. |
전공 | (애완)동물학과 |
자격 | 반려견스타일리스트(국가공인 민간) 애견미용사 A, B, C급(비공인 민간) |
임금 | 조사년도:2021년, 임금 하위(25%) 2590만원, 평균(50%) 2950.4만원, 상위(25%) 3678만원 |
만족도 | 68.8 |
일자리전망 | 증가(43%) 현상유지(50%) 감소(7%) |
업무수행능력 | 정교한 동작(93)/반응시간과 속도(88)/서비스 지향(86)/시력(85)/창의력(82) |
지식 | 생물(100)/고객서비스(86)/영업과 마케팅(76)/식품생산(75)/의료(73) |
업무환경 | 경미한 화상, 자상, 찔림 등 노출(99)/질병 혹은 감염 위험 노출(97)/몸을 구부리거나 비틀기(96)/사물, 도구, 조종 장치를 다루기 위해 손사용(94)/불쾌하거나 무례한 사람 상대(94) |
성격 | 꼼꼼함(94)/독립성(81)/적응성/융통성(73)/스트레스 감내성(72)/인내(60) |
흥미 | 예술형(Artistic)(81)/사회형(Social)(76) |
직업가치관 | 심신의 안녕(86)/개인지향(80)/이타(76)/성취(70)/다양성(69) |
업무활동 중요도 | 사람들을 배려, 돌봄(90)/대인관계 유지(88)/업무상 사람들을 직접 응대(86)/조직 외부인과 소통(78)/사람들에게 영향력 행사(78) |
업무활동 수준 | 업무상 사람들을 직접 응대(89)/사람들을 배려, 돌봄(84)/대인관계 유지(82)/사람들에게 영향력 행사(75)/협상, 갈등 해결(62) |
관련직업 | 이용사 미용사 피부 및 체형관리사 네일아티스트 메이크업아티스트 및 뷰티매니저 분장사 수의사보조원 |
직무개요
- 개나 고양이 등의 반려동물에 대한 미용과 청결에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한다.
수행직무
- 고객과 동물 털의 커트 모양에 대해 상담한 후 작업방식을 정한다.
- 반려동물의 털상태 및 건강상태를 확인한다.
- 건강상태가 나쁜 경우 고객에게 알려 수의사에게 적절한 치료를 받게 한다.
- 샴푸와 린스를 사용하여 애완동물을 목욕시킨다.
- 드라이어를 사용하여 털을 말리고 털이 긴 동물은 트리밍(털을 잘라주는 작업)을 한다.
- 빗과 머리핀을 사용하여 고객이 원하는 형태로 고정시킨 후 귀청소를 하고 발톱을 깍는다.
- 스포팅(털만 제거), 서머마이애미(머리, 꼬리, 다리의 끝부분 털만을 남김), 로열터치(허리와 목 부분의 털만을 깎음) 등 자르는 기법을 이용해 애완동물의 균형을 고려하여 잘라준다.
- 털제거, 빗질 등 마무리 작업을 한다.
- 고객의 요청에 따라 염색약품을 배합하여 털을 염색한다.
임금
하위(25%) | 평균(50%) | 상위(25%) |
---|---|---|
만원 |
만원 |
만원 |
직업만족도
- 반려동물미용사에 대한 직업 만족도는 68.8% (백점 기준)입니다.
※ 직업만족도는 해당 직업의 일자리 증가 가능성, 발전가능성 및 고용안정에 대해 재직자가 느끼는 생각을 종합하여 100점 만점으로 환산한 값입니다.
일자리 전망에 대한 재직자 및 전문가의 견해
- 향후 5년간 반려동물미용사의 고용은 현상태를 유지할 전망이다.
- 생활수준의 향상과 1인 가구의 증가 등으로 반려동물을 친구나 가족같이 여겨 함께 생활하는 사람이 늘어나고 있다.
- 따라서 반려동물의 의료 및 미용, 사료 및 식품, 의류 및 용품 등 반려동물 관련 시장은 꾸준히 성장하였으며, 이 중 의료 및 이미용 시장이 전체 시장의 약 2/3를 차지할 만큼 큰 분야여서 반려동물미용사의 고용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
- 또한 우리나라의 애견미용은 클리핑 미용(단순히 위생과 청결, 관리의 용이성을 위한 미용)이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지만 애견의 미적인 면도 중시하는 시저링 미용(가위를 주로 사용하는 미용)에도 일반인들이 관심을 가짐에 따라 애견미용 분야의 확대가 이루어지고 있다.
- 그러나 대도시에서는 반려동물 미용시설 간 경쟁도 치열한 편이며, 이미 관련 업계에서는 시장을 포화상태로 보는 의견이 많아 지속적인 고용증가를 기대하기는 어려울 전망이다.
- 또한, 대형마트 등에 애견미용센터가 일부 애견미용사의 고용에 기여하기도 하지만, 개인이 소규모로 개업을 하는 데는 어려움을 가중시키고 있다.
일자리 전망률
- 증가
3%
※ 자료 출처 : 고용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