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델

요약
하는일상품선전이나 예술작품 창작을 위한 다양한 몸자세, 행동등을 취하거나 연기한다.
되는길모델이 되기 위해서는 특별한 학력이나 전공 제한에 있는 것은 아니다.
기존에는 사설학원에서 워킹, 재즈댄스, 표정, 이미지메이킹 등 모델에게 필요한 자질을 배웠으나 요즘에는 대학의 모델학과에서도 전문모델을 양성하고 있다.
전공방송·연예과
연극·영화학과
자격해당 데이터가 없습니다.
임금조사년도:2021년, 임금 하위(25%) 1600만원, 평균(50%) 2072만원, 상위(25%) 2694만원
만족도70.8
일자리전망증가(40%) 현상유지(33%) 감소(27%)
업무수행능력청력(18)/말하기(16)/사람 파악(8)/유연성 및 균형(8)/기술 설계(7)
지식예술(100)/의사소통과 미디어(93)/사회와 인류(86)/심리(63)/철학과 신학(63)
업무환경규칙적인 근무(100)/치열한 경쟁(100)/극단적으로 밝거나 부적절한 조명(100)/몸을 구부리거나 비틀기(89)/걷거나 뛰기(85)
성격자기통제(79)/성취/노력(72)/타인에 대한 배려(72)/협조(72)/스트레스 감내성(65)
흥미예술형(Artistic)(99)/진취형(Enterprising)(84)
직업가치관신체활동(87)/개인지향(64)/이타(36)/성취(23)/심신의 안녕(4)
업무활동 중요도대인관계 유지(100)/일반적인 신체활동(99)/사물, 서비스, 사람의 질 판단(94)/팀 구성, 협업 촉진(93)/업무 계획, 우선순위 결정(92)
업무활동 수준대인관계 유지(98)/사물, 서비스, 사람의 질 판단(96)/일반적인 신체활동(95)/업무, 활동에 대한 일정관리(91)/팀 구성, 협업 촉진(87)
관련직업방송연출가
영화감독
연극연출가
광고영상감독
연극영화방송기술감독
영화배우 및 탤런트
연극 및 뮤지컬배우
개그맨 및 코미디언
성우
아나운서
리포터
촬영기사
음향·녹음기사
영상·녹화 및 편집기사
조명기사
직무개요
  • 상품선전이나 예술작품 창작을 위한 다양한 몸자세, 행동등을 취하거나 연기한다.

수행직무
  • 대본과 광고 컨셉에 맞게 의상을 입고 화장한다.
  • 광고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알맞은 자세를 취한 후 사진을 촬영하거나 광고감독의 요청이나 대본(시나리오)에 따라 연기한다. [패션모델]
  • 새롭게 유행하는 스타일 또는 고객이 원하는 타입의 의상을 입는다.
  • 의상에 맞게 화장하거나 액세서리를 착용한다.
  • 구매의욕을 높이기 위해 디자이너·구매자 또는 고객앞에서 스타일과 특징을 최대한 살려 의상을 입고 나와 걷고, 도는 등의 방법으로 선보인다.
  • 광고용 스틸사진이나 삽화를 위해 모델이 되기도 한다. [예술모델]
  • 조각, 사진, 그림, 영화, 광고, 퍼포먼스, 미술교육 등 예술작품을 제작하기 위하여 예술가의 요구에 따라 자세를 취한다.
  • 바구니, 공 등의 소품을들거나 안고 자세를 취하거나 다양한 포즈로 바꾸어가며 자세를 취하기도 한다. [피팅모델]
  • 촬영된 이미지의 사용처(회사명, 브랜드, 웹사이트, 간행물 게제 등), 촬영 수량 등을 확인하고 계약서에 서명한다.
  • 촬영 일정을 확인하고 촬영할 제품(의상, 잡화, 장신구 등)의 특장점, 유행, 주제, 사이즈, 노출범위(얼굴 노출, 부분 노출) 등을 확인한다.
  • 제품, 촬영조건, 촬영장소(스튜디오 촬영, 야외촬영), 계절, 유행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화장한다.
  • 촬영장에서 제품을 착용하고 사진작가의 지시에 따라 몸자세나 행동을 취한다.
임금
임금 정보
하위(25%) 평균(50%) 상위(25%)

1600만원

2072만원

2694 만원

직업만족도
  • 모델에 대한 직업 만족도는 70.8% (백점 기준)입니다.
※ 직업만족도는 해당 직업의 일자리 증가 가능성, 발전가능성 및 고용안정에 대해 재직자가 느끼는 생각을 종합하여 100점 만점으로 환산한 값입니다.

일자리 전망에 대한 재직자 및 전문가의 견해
  • 향후 5년간 모델의 고용은 현 상태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 패션산업을 비롯한 모든 산업에서 광고와 마케팅이 중요한 역할을 하면서 모델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 다만, 배우나 가수 등 유사 엔터테인먼트 산업 영역에서 모델의 역할을 겸하는 경우가 늘면서 기존 전문 모델의 활동영역을 공유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
  • 또한 모델은 직업적인 수명이 길지 않은 편이어서, 방송, 영화 등의 다른 활동영역으로 진출하는 사례도 늘고 있다.
  • 한편, 신입 모델로 진출하는 모델지망생들이 늘면서 전문모델이 되기 위한 경쟁은 더욱 치열해질 전망이며, 진입과 퇴출이 활발하면서 모델의 고용은 전반적으로 유지되는 경향을 보일 전망이다.

일자리 전망률
  • 증가 13%
    다소 증가 27%
    유지 33%
    다소 감소 10%
    감소 17%
※ 자료 출처 : 고용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