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심판

요약
하는일경기심판은 각종 운동경기에서 경기규칙을 적용하여 경기가 원활히 진행 될 수 있도록 경기 전반을 통제한다.
경기 기록원은 경기 진행 및 결과를 기록하는 업무를 한다.
되는길경기심판 및 경기기록원이 되기 위해서는 프로운동 관련 협회에서 주관하는 교육 및 자격이수와 선발과정을 거쳐야 한다.
대한축구협회의 경우 1급~4급의 심판자격을 운영중이며, 이중 1,2급은 K리그 심판으로 활동할 수 있다.
교육과 자격은 이론, 체력테스트, 실기 등으로 구성된다.
프로야구의 경우 KBO 심판학교에서 실시하는 일반과정(10주), 전문과정(5주)의 프로그램을 이수할 수 있으며 일반과정 수료자 중 우수자에 한해서는 KBO 및 대한야구소프트볼협회 심판으로 선발하기도 한다.
또한 꼭 프로경기의 심판이 아니더라도 동호회 등 사회인의 운동경기도 많으므로 다른 직업이 있으면서 병행하여 심판교육을 이수한 후 경기심판으로 종사하는 사람도 있고 최근에는 여성심판들도 활약중이다.
외국어실력을 갖추고 국제심판자격을 취득하면 국제경기에서 심판으로 활동할 수도 있다.
프로운동경기의 심판은 대부분 계약직으로 선발된다.
전공예체능교육과
체육학과
자격해당 데이터가 없습니다.
임금조사년도:2021년, 임금 하위(25%) 3400만원, 평균(50%) 3936.8만원, 상위(25%) 4835만원
만족도67
일자리전망증가(0%) 현상유지(83%) 감소(16%)
업무수행능력시력(89)/반응시간과 속도(88)/청력(72)/신체적 강인성(64)/모니터링(Monitoring)(63)
지식인사(98)/교육 및 훈련(98)/영어(91)/심리(91)/사무(86)
업무환경규칙적인 근무(99)/걷거나 뛰기(95)/균형을 유지하기(84)/연설, 발표, 회의하기(76)/이미지/평판/재정에 미치는 강도(73)
성격스트레스 감내성(96)/책임과 진취성(96)/협조(96)/자기통제(96)/인내(96)
흥미사회형(Social)(47)/예술형(Artistic)(38)
직업가치관인정(82)/애국(76)/타인에 대한 영향(74)/심신의 안녕(71)/경제적 보상(66)
업무활동 중요도일반적인 신체활동(82)/협상, 갈등 해결(79)/정보 작성, 기록(70)/팀 구성, 협업 촉진(70)/정보, 자료 분석(67)
업무활동 수준정보 작성, 기록(84)/팀 구성, 협업 촉진(78)/일반적인 신체활동(76)/의사 결정, 문제점 해결(71)/협상, 갈등 해결(71)
관련직업스포츠감독 및 코치
직업운동선수
프로게이머
스포츠강사
스포츠트레이너
레크리에이션전문가
직무개요
  • 경기심판은 각종 운동경기에서 경기규칙을 적용하여 경기가 원활히 진행 될 수 있도록 경기 전반을 통제한다.
    경기 기록원은 경기 진행 및 결과를 기록하는 업무를 한다.

수행직무
  • [경기심판] 규칙위반을 찾아내기 위하여 경기 참가자들의 동작을 관찰하고 규칙위반 시 경적·신호·깃발로 알리고 벌칙을 적용한다.
  • [경기심판] 경기의 규칙을 적용하되 경기의 흐름을 원활히 한다.
  • [경기심판] 경기를 모니터링한다.
  • [경기기록원] 기록상황을 전광판에 표시하거나 관중에게 알리기 위하여 경기장전광판조작원 또는 경기장아나운서에게 알린다.
  • [경기기록원] 운동경기의 각종 상황을 기록하여 자료로 활용하도록 제공한다.
  • [경기기록원] 심판의 판정을 돕기 위하여 자료를 제시한다.
임금
임금 정보
하위(25%) 평균(50%) 상위(25%)

만원

만원

만원

직업만족도
  • 경기심판에 대한 직업 만족도는 67% (백점 기준)입니다.
※ 직업만족도는 해당 직업의 일자리 증가 가능성, 발전가능성 및 고용안정에 대해 재직자가 느끼는 생각을 종합하여 100점 만점으로 환산한 값입니다.

일자리 전망에 대한 재직자 및 전문가의 견해
  • 향후 5년간 경기심판 및 경기기록원의 고용은 현상태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 현재 국내에는 야구, 농구, 배구, 축구 등 프로운동경기의 전임심판을 제외하고는 심판을 전업으로 하는 경우는 드물기 때문에 고용현황의 변동이 크지 않은 직업 중의 하나이다.
  • 프로운동경기의 심판은 시즌 중에는 각종 대회에 참가해 경기가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공정한 판정을 내리며, 비 시즌 기간에는 체력 단련과 공정한 심판을 위한 보수교육 등 자기개발을 한다.
  • 아마추어 운동경기 심판의 경우 은퇴나 기타 사유에 의한 소수의 인력 충원이 대부분이고, 금전적 보상보다는 원활한 경기 운영을 주관하고 공정한 심판을 한다는 자긍심으로 일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일자리 전망률
  • 증가 0%
    다소 증가 0%
    유지 83%
    다소 감소 13%
    감소 3%
※ 자료 출처 : 고용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