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장사

요약
하는일영화, 연극, 방송프로그램 및 광고 출연자들의 얼굴을 극의 분위기에 맞게 분장한다
되는길분장사가 되기 위해서는 학교나 사설학원에서 지식을 쌓거나 현장에서 전문메이크업아티스트나 분장사의 보조원으로 활동하며 실무 경력을 쌓아야 한다.
미용고등학교 및 전문계고등학교의 미용 관련 학과, 전문대학 및 대학교에 미용 관련 학과가 개설되어 있어 메이크업이나 미용과 관련된 다양한 분야의 이론과 실기 교육을 전문적으로 받을 수 있다.
또한, 사설미용학원, 방송아카데미, 화장품관련업체에서 개설하는 뷰티아카데미 등을 통해 분장 기술을 습득할 수 있다.
특수분장은 분장의 기본지식뿐 아니라 현장에서의 실무경험이 매우 중요하다.
전공해당 데이터가 없습니다.
자격해당 데이터가 없습니다.
임금조사년도:2021년, 임금 하위(25%) 2950만원, 평균(50%) 3400만원, 상위(25%) 3937만원
만족도66.4
일자리전망증가(36%) 현상유지(60%) 감소(3%)
업무수행능력정교한 동작(97)/창의력(97)/시력(95)/시간 관리(94)/서비스 지향(86)
지식디자인(98)/예술(98)/고객서비스(85)/의사소통과 미디어(76)/상담(67)
업무환경규칙적인 근무(100)/주말 및 공휴일 근무(96)/몸을 구부리거나 비틀기(95)/서서 근무(89)/사람들과 직접 접촉(87)
성격스트레스 감내성(72)/혁신(51)/리더십(48)/독립성(47)/적응성/융통성(44)
흥미예술형(Artistic)(100)/탐구형(Investigative)(71)
직업가치관개인지향(76)/인정(70)/성취(67)/지적 추구(64)/경제적 보상(63)
업무활동 중요도창조적 생각(96)/업무, 활동에 대한 일정관리(84)/대인관계 유지(83)/새로운 지식의 습득, 활용(73)/업무 계획, 우선순위 결정(70)
업무활동 수준창조적 생각(96)/업무, 활동에 대한 일정관리(92)/대인관계 유지(90)/새로운 지식의 습득, 활용(89)/업무 계획, 우선순위 결정(88)
관련직업이용사
미용사
피부 및 체형관리사
네일아티스트
메이크업아티스트 및 뷰티매니저
반려동물미용사
수의사보조원
직무개요
  • 영화, 연극, 방송프로그램 및 광고 출연자들의 얼굴을 극의 분위기에 맞게 분장한다

수행직무
  • 방송프로듀서(방송연출가), 배우 등과 협의하여 극의 분위기와 시대적 배경에 맞는 사진, 문헌 등을 검토하여 분장방법을 결정한다.
  • 연지, 분, 물감 등의 분장용 재료와 화장품을 준비한다.
  • 출연자의 얼굴 생김새와 특징, 피부, 체격 등 신체적 특성과 연령, 캐릭터 등에 따라 분장한다.
  • 가발, 수염 등을 사용하여 분장하기도 한다.
  • 미용사, 가발제작원과 협의하여 작업을 진행한다.
임금
임금 정보
하위(25%) 평균(50%) 상위(25%)

2950만원

3400만원

3937 만원

직업만족도
  • 분장사에 대한 직업 만족도는 66.4% (백점 기준)입니다.
※ 직업만족도는 해당 직업의 일자리 증가 가능성, 발전가능성 및 고용안정에 대해 재직자가 느끼는 생각을 종합하여 100점 만점으로 환산한 값입니다.

일자리 전망에 대한 재직자 및 전문가의 견해
  • 향후 5년간 분장사의 고용은 다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 문화예술 산업의 발달, 매체의 다양화 등은 방송, 연극, 공연 등에서 활동하는 분장사의 고용에 다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 HD-TV보급, 디지털 방송의 확대는 방송 출연진들의 메이크업과 분장에 보다 정교함을 필요로 하고 있어 분장사의 고용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 특수분장 역시 방송, 광고, 각종 홍보영상물 등에 활용하고 있어 활동 분야도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 기술의 발전으로 컴퓨터를 이용한 3D프린트 기법이 도입되는 등 특수분장 분야가 발전하고 있어 이에 따른 전문지식과 독창적인 능력을 보유할 수 있도록 노력이 뒤따라야 한다.
  • 다만, 대학, 사설학원 등 다양한 교육기관을 통해 체계적인 교육을 받고 진출하는 전문인력도 매년 증가하고 있어 안정적인 곳으로 취업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경쟁이 따를 것으로 보인다.
  • 또한, 계약직으로 취업되거나 불규칙한 근무시간, 저소득, 열악한 근무환경 등의 어려움으로 이·전직을 하는 사람이 많은 편이어서 이로 인한 대체 고용기회가 발생한다는 점도 고려해야 한다.

일자리 전망률
  • 증가 3%
    다소 증가 33%
    유지 60%
    다소 감소 3%
    감소 0%
※ 자료 출처 : 고용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