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례지도사 및 장례상담원
요약
하는일 | 유족과 장례절차를 상담하고, 장례용품 준비부터 시신관리, 장례식 주관 등 장례에 관한 절차를 관리한다. |
---|---|
되는길 | 최근 장례문화의 발달로 각종 장례행정절차나 시신위생처리 등의 전문지식과 기술을 체계적으로 교육할 필요성이 커지면서 전문대학 및 대학교에 장례지도 관련 학과가 개설되었다. 이에 따라 젊은 층을 중심으로 대학에서 전문적인 교육을 받고 장례지도사로 진출하는 사람이 늘고 있다. 이외에도 평생교육원 등 사설교육기관에 개설된 장례지도과정을 수강하거나 4~5년 정도 장례 관련 실무경험을 쌓은 후에 장례지도사로 진출하기도 한다. 장례지도사로 근무하기 위해서는 경력 및 현장경험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며, 일반적으로 입사 후 3~6개월간의 수습기간을 거치게 된다. |
전공 | 해당 데이터가 없습니다. |
자격 | 장례지도사(국가전문) |
임금 | 조사년도:2021년, 임금 하위(25%) 3050만원, 평균(50%) 3315.2만원, 상위(25%) 3833만원 |
만족도 | 64.3 |
일자리전망 | 증가(23%) 현상유지(70%) 감소(7%) |
업무수행능력 | 서비스 지향(77)/사람 파악(65)/신체적 강인성(64)/말하기(59)/행동조정(56) |
지식 | 철학과 신학(98)/생물(95)/고객서비스(92)/심리(92)/의료(88) |
업무환경 | 질병 혹은 감염 위험 노출(100)/실수의 심각성(96)/주말 및 공휴일 근무(96)/걷거나 뛰기(95)/불쾌하거나 무례한 사람 상대(95) |
성격 | 스트레스 감내성(92)/타인에 대한 배려(88)/자기통제(74)/꼼꼼함(67)/신뢰성(61) |
흥미 | 진취형(Enterprising)(88)/사회형(Social)(87) |
직업가치관 | 이타(87)/애국(53)/심신의 안녕(49)/자율(47)/고용안정(37) |
업무활동 중요도 | 업무상 사람들을 직접 응대(92)/사람들을 배려, 돌봄(91)/물건 조종, 운반(86)/업무, 활동에 대한 일정관리(83)/사람들에게 조언, 상담(80) |
업무활동 수준 | 사람들을 배려, 돌봄(87)/업무상 사람들을 직접 응대(86)/물건 조종, 운반(81)/업무, 활동에 대한 일정관리(78)/사람들에게 조언, 상담(74) |
관련직업 | 웨딩플래너 혼례종사원 |
직무개요
- 유족과 장례절차를 상담하고, 장례용품 준비부터 시신관리, 장례식 주관 등 장례에 관한 절차를 관리한다.
수행직무
- 장례에 대한 법적 절차를 점검하고 장례에 필요한 장의용품을 준비한다.
- 유족과 장례절차, 일정, 안치 및 염습 방법, 장의용품 등에 대해 상의한다.
- 장례일정과 비용, 장례규모, 종교, 가풍 등 특이사항에 대해 상담이 끝나면 장례식장 또는 상을 당한 고객의 집을 방문하여 장례식을 총괄한다.
- 유족에게 조문객 접대 준비사항에 대해 안내하고, 예법에 관해 지도한다.
- 시신을 목욕시킨 후 알코올 솜으로 시신의 몸을 닦고, 몸이 굳기 전 팔·다리를 주물러 시신을 반듯하게 한다.
- 시신의 얼굴과 머리를 정리하며, 남자의 경우 면도를, 여자의 경우 화장을 한다.
- 한지로 시신의 몸을 감싼 후 수의를 입힌다.
- 입관을 할 때 시신이 관 안에서 흔들리지 않도록 시신과 관벽 사이의 공간을 벽지나 마포 등으로 채운다.
- 운명 시 입었던 옷 등을 소각할 수 있도록 정리하여 유족에게 전달한다.
- 시신 냉장시설 및 기타 물품을 살균 소독하고, 위험한 질병 사망자에 대한 위생처리를 한다.
- 장례행렬 절차를 점검하고, 성복제, 발인제 등의 제사를 준비한다.
- 시신을 영구차로 운반하는 것을 관리하며, 시신이 장지에 도착하면 묘역을 살피고 하관한다.
- 장례 후 제례의식, 화장, 이장 등에 관하여 상담한다.
임금
하위(25%) | 평균(50%) | 상위(25%) |
---|---|---|
만원 |
만원 |
만원 |
직업만족도
- 장례지도사 및 장례상담원에 대한 직업 만족도는 64.3% (백점 기준)입니다.
※ 직업만족도는 해당 직업의 일자리 증가 가능성, 발전가능성 및 고용안정에 대해 재직자가 느끼는 생각을 종합하여 100점 만점으로 환산한 값입니다.
일자리 전망에 대한 재직자 및 전문가의 견해
- 향후 5년간 장례지도사의 고용은 현 상태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 통계청의 연도별 사망자 수 현황을 살펴보면, 2010년에 255,405명에서 2014년 267,692명으로 증가하는 등 고령화의 영향으로 인해 매년 사망자 수가 꾸준히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그러나 통계청 전국사업체조사에 의하면 매년 장례식장 관련 사업체 수와 종사자 수는 2009년까지 꾸준히 성장 추세에 있었으나 포화상태에 이르러 다소 주춤하였다가 2011년부터는 조금씩 증감을 반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2014년 사업체수는 3,078개소, 종사자수는 22,895명을 기록하고 있다.
- 과거에 비해 전문 장례식장을 찾는 사람들이 늘면서 차별화되고 전문화된 장례서비스에 대한 욕구도 늘어나고 있다.
- 장례지도사는 가족을 잃은 슬픔을 당한 사람들을 가장 가까이에서 도울 수 있는 직업으로 인식되면서 사회적 기피 직업에서 긍정적인 이미지로 바뀌었다.
- 대학의 관련 학과를 통해 장례에 대한 지식과 실무를 겸비한 젊은 인력들의 배출되면서 전문성을 갖춰야 하는 직업으로도 인식도 전환되고 있다.
- 2012년 8월부터 국가자격제도를 시행하고 있어 장례지도사의 질적 수준과 서비스 수준이 보다 개선될 것으로 보이며, 장례문화도 좀 더 세분화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장례지도사의 역할이 중요해질 것이다.
- 그러나 사망자 수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포화 상태의 장례업체와 종사자 수로 인해 고용이 늘어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 다만 장례지도사의 국가자격화로 전문직업이라는 인식이 확산될 것이다.
일자리 전망률
- 증가
0%
※ 자료 출처 : 고용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