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산원
요약
하는일 | 상점, 레스토랑 등 제품이나 서비스의 판매가 이루어지는 장소에서 판매액을 계산하고 금액을 수령한다. |
---|---|
되는길 | 매장계산원 및 요금정산원이 되기 위한 특별한 학력이나 자격은 없다. 회사의 직원으로 채용되어 근무할 경우는 고졸 이상의 학력이 필요하며, 계산기기를 다룰 수 있는 능력이나 전산 관련 능력이 요구되기도 한다. 대체로 기본적인 계산능력을 갖추고 있고, 계산 시 이용하는 기계나 판독기 등을 이용할 수 있으면 취업할 수 있으며, 입사 후에 현장에서 업무를 습득하는 경우가 많다. |
전공 | 해당 데이터가 없습니다. |
자격 | 해당 데이터가 없습니다. |
임금 | 조사년도:2021년, 임금 하위(25%) 2300만원, 평균(50%) 2486.4만원, 상위(25%) 2850만원 |
만족도 | 49.5 |
일자리전망 | 증가(0%) 현상유지(13%) 감소(87%) |
업무수행능력 | 수리력(80)/서비스 지향(76)/사람 파악(65)/행동조정(56)/반응시간과 속도(53) |
지식 | 산수와 수학(75)/경제와 회계(62)/고객서비스(60)/사무(32)/심리(27) |
업무환경 | 서서 근무(99)/주말 및 공휴일 근무(99)/불쾌하거나 무례한 사람 상대(97)/균형을 유지하기(97)/사물, 도구, 조종 장치를 다루기 위해 손사용(95) |
성격 | 정직성(12)/자기통제(12)/리더십(11)/타인에 대한 배려(11)/사회성(10) |
흥미 | 사회형(Social)(29)/현실형(Realistic)(25) |
직업가치관 | 신체활동(53)/이타(46)/개인지향(31)/심신의 안녕(17)/성취(13) |
업무활동 중요도 | 업무상 사람들을 직접 응대(89)/물건 조종, 운반(41)/일반적인 신체활동(40)/사람들을 배려, 돌봄(32)/전자장비 유지 보수(29) |
업무활동 수준 | 업무상 사람들을 직접 응대(84)/물건 조종, 운반(38)/일반적인 신체활동(33)/전자장비 유지 보수(31)/사람들을 배려, 돌봄(30) |
관련직업 | 매표원 및 복권판매원 |
직무개요
- 상점, 레스토랑 등 제품이나 서비스의 판매가 이루어지는 장소에서 판매액을 계산하고 금액을 수령한다.
수행직무
- 제품, 서비스의 가격을 파악하고 금전등록기나 바코드 스캐너를 사용해서 청구서를 제시한다.
- 매일의 수납액과 판매액을 정산한다.
- 제품을 포장한다.
임금
하위(25%) | 평균(50%) | 상위(25%) |
---|---|---|
만원 |
만원 |
만원 |
직업만족도
- 계산원에 대한 직업 만족도는 49.5% (백점 기준)입니다.
※ 직업만족도는 해당 직업의 일자리 증가 가능성, 발전가능성 및 고용안정에 대해 재직자가 느끼는 생각을 종합하여 100점 만점으로 환산한 값입니다.
일자리 전망에 대한 재직자 및 전문가의 견해
- 향후 5년간 매장계산원 및 요금정산원의 고용은 다소 감소할 전망이다.
- 각종 여가시설이나 음식점 등을 즐겨 찾고 있어 관련 종사자의 수요는 지속적이다.
- 그러나 자동화기기의 발달로 매표기와 무인정산기가 확대되고, 스마트폰이나 태블릿PC의 확산으로 극장표, 승차권 등을 온라인으로 구매하는 경우가 증가함에 따라 고용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다.
- 또한 하이패스나 물류관리 등에 쓰이고 있는 RFID기술(반도체칩을 물품에 부착시켜 칩에 내장된 물품정보를 무선 전파로 읽어 내는 기술, RFID 판독기를 지나가면 자동으로 계산이 이뤄짐)이 향후 마트에도 상용화되면 매장계산원 및 요금정산원이 일일이 물건을 계산할 필요가 없어진다.
- 도소매업 사업체 수가 감소하고, 소규모의 도소매점에서는 매장계산원 및 요금정산원을 고용하지 않는 경우가 많아 이들의 고용 증가는 기대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 또 자동계산기가 대형할인점에도 보급되는 점도 장기적으로 매장계산원 및 요금정산원의 고용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일자리 전망률
- 증가
0%
※ 자료 출처 : 고용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