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박교통관제사

요약
하는일지정된 수로 범위 내에서 근해와 내륙 해양교통을 모니터하고 통제한다.
되는길선박교통관제사가 되기 위해서는 해양대학 등에서 관련 학과 를 졸업하고 5급 이상 항해사 면허를 취득하면 유리하다(항해사 취득을 위한 관련학과는 항해사 참고). 국민안전처에서 시행하는 시험에 합격한 후 약 10주 동안의 VTS(Vessel Traffic Service)시뮬레이터 교육을 받은 후 각 관제센터에 배치되어 약 6~8주 동안 선임관제사로부터 현장적응 안내교육(항만물류, 항만지형, 수심, 조류, 기상, 해양환경 등)을 받은 후 관제사로서 일하게 된다.
입직 이후에는 관제업무 경력을 3년 이상 쌓은 후 선임해상교통관제사 교육과정을 이수하고 관제사 증서를 취득한 후 현장직무과정을 이수하여 선임관제사가 될 수 있다.
선박교통관제사는 외국의 선장이나 조종사와 통신 혹은 관제업무 수행 시에 영어를 사용해야 하므로, UN산하기관인 국제해사기구(IMO)에서는 각 나라마다 해상교통 관제센터에서 일하는 선박교통관제사들이 자국어와 더불어 세계 공용어인 영어를 사용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전공해양공학과
자격항해사(국가전문)
임금조사년도:2021년, 임금 하위(25%) 4144만원, 평균(50%) 4986.4만원, 상위(25%) 5698만원
만족도75.3
일자리전망증가(60%) 현상유지(20%) 감소(20%)
업무수행능력청력(99)/모니터링(Monitoring)(98)/조작 및 통제(98)/공간지각력(96)/말하기(96)
지식지리(100)/운송(100)/통신(100)/영어(99)/법(99)
업무환경실수의 심각성(99)/이미지/평판/재정에 미치는 강도(98)/정확성, 정밀성 유지(97)/이미지/평판/재정에 미치는 영향력(97)/주말 및 공휴일 근무(96)
성격스트레스 감내성(97)/자기통제(97)/분석적 사고(93)/꼼꼼함(88)/협조(84)
흥미관습형(Conventional)(88)/현실형(Realistic)(56)
직업가치관애국(99)/고용안정(97)/신체활동(88)/이타(74)/타인에 대한 영향(64)
업무활동 중요도제품, 사건, 정보의 수치 추정(94)/사물, 행동, 사건 파악(94)/전자장비 유지 보수(90)/절차, 자료, 주변환경 관찰(90)/정보 수집(90)
업무활동 수준절차, 자료, 주변환경 관찰(98)/제품, 사건, 정보의 수치 추정(97)/협상, 갈등 해결(96)/사물, 행동, 사건 파악(96)/기준에 따른 정보 평가(95)
관련직업항공기조종사
헬리콥터조종사
선장 및 항해사
선박기관사
철도·전동차기관사
항공교통관제사
철도교통관제사
신호원 및 수송원
직무개요
  • 지정된 수로 범위 내에서 근해와 내륙 해양교통을 모니터하고 통제한다.

수행직무
  • 레이더나 폐쇄회로모니터, 원격무전시스템 및 기타 통신장비를 이용하여 선박의 이동을 지휘하고 감시한다.
  • 선박의 위치, 항로, 속도 및 추정도착시간과 통행지역을 통과하는 선박의 진행과정을 감시한다.
  • 선박에게 출항인가를 내고 선박교통량, 기후조건에 대해 조언하며 선박교통관제소에 대한 정보를 전해준다.
  • 관계자에게 사고, 조난 신호, 항해 위험 및 기타 비상사태에 대하여 보고한다.
  • 인근 해양관제구역과 관할권 내의 선박들과 무전 및 전화연결을 유지한다.
  • 항해일지에 선박이동, 크기 및 구조에 대하여 기록하고 보관한다.
임금
임금 정보
하위(25%) 평균(50%) 상위(25%)

만원

만원

만원

직업만족도
  • 선박교통관제사에 대한 직업 만족도는 75.3% (백점 기준)입니다.
※ 직업만족도는 해당 직업의 일자리 증가 가능성, 발전가능성 및 고용안정에 대해 재직자가 느끼는 생각을 종합하여 100점 만점으로 환산한 값입니다.

일자리 전망에 대한 재직자 및 전문가의 견해
  • 향후 5년간 선박교통관제사의 고용은 다소 증가할 전망이다.
  • 세월호 참사 등 해양안전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여 관제업무의 중요성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인지도가 상승하였고, 안전강화 측면에서 해상교통관제 인력 충원이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 2011년에 경인항VTS, 2012년에 여수연안VTS, 2014년에 통영연안VTS가 설치되었으며, 해경본부는 2017년부터 2021년까지 8개 VTS를 확대 구축할 계획이어서 이에 따른 신규 인력 충원이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 2016년 8월 기준 총 18개 관제센터에 399명의 관제사가 근무 중이며, 2016년에는 신임 관제사 47명을 채용하여 현장에 배치하였다.

일자리 전망률
  • 증가 7%
    다소 증가 53%
    유지 20%
    다소 감소 10%
    감소 10%
※ 자료 출처 : 고용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