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게차운전원

요약
하는일창고나 공장에서 원료나 자재, 제품 등을 하역, 운반, 적재하기 위해 지게차를 운전한다.
되는길지게차운전원으로 일하기 위해서는 장비를 조종·운전하는 것을 배워야 하는데 고등학교의 관련 학과, 직업전문학교, 사설학원 등에서 건설기계, 기중기, 지게차 관련 이론과 실습을 배울 수 있다.
이들 교육과정을 이수한 후 기종별로 관련 자격을 취득해야 운전원으로 종사할 수 있으며, 3톤 미만의 지게차는 소정의 교육(이론 6시간, 실기 6시간)을 이수하면 면허증(3톤 미만 건설기계조종사 면허)을 발급받을 수 있다.
전공해당 데이터가 없습니다.
자격지게차운전기능사(국가기술)
임금조사년도:2021년, 임금 하위(25%) 3400만원, 평균(50%) 4000만원, 상위(25%) 4397만원
만족도57.1
일자리전망증가(7%) 현상유지(37%) 감소(56%)
업무수행능력움직임 통제(93)/작동 점검(89)/장비의 유지(87)/조작 및 통제(87)/정교한 동작(84)
지식운송(100)/기계(81)/안전과 보안(76)/지리(75)/경영 및 행정(73)
업무환경움직이는 기계(100)/온몸 진동 노출(100)/비좁은 업무 공간(99)/매우 춥거나 더운 기온(98)/실외 근무(98)
성격꼼꼼함(71)/인내(60)/책임과 진취성(60)/리더십(55)/타인에 대한 배려(52)
흥미현실형(Realistic)(84)/탐구형(Investigative)(14)
직업가치관개인지향(90)/고용안정(58)/자율(51)/경제적 보상(47)/신체활동(43)
업무활동 중요도차량, 기계, 장비 작동(100)/기계장치 제어(98)/물건 조종, 운반(97)/일반적인 신체활동(89)/장비, 건축물, 자재 검사(78)
업무활동 수준차량, 기계, 장비 작동(99)/기계장치 제어(96)/물건 조종, 운반(92)/일반적인 신체활동(86)/기계장비 유지 보수(69)
관련직업크레인·호이스트운전원
직무개요
  • 창고나 공장에서 원료나 자재, 제품 등을 하역, 운반, 적재하기 위해 지게차를 운전한다.

수행직무
  • 운반, 하역 또는 적재할 물품을 확인한다.
  • 장비의 부품이나 연료, 엔진오일 등을 점검하고 작동에 이상이 없는지 확인한다.
  • 운반할 자재나 화물, 제품 등의 균형상태를 확인한다.
  • 각종 레버, 클러치, 브레이크, 핸들 등을 조작하여 정지간 또는 운전상태에서 물품을 들어 올리고, 이동하여 지정된 장소에 적재한다.
  • 작업이 종료되면 지게차에 이상이 없는지 확인하고 작업일지를 기록한다.
임금
임금 정보
하위(25%) 평균(50%) 상위(25%)

3400만원

4000만원

4397 만원

직업만족도
  • 지게차운전원에 대한 직업 만족도는 57.1% (백점 기준)입니다.
※ 직업만족도는 해당 직업의 일자리 증가 가능성, 발전가능성 및 고용안정에 대해 재직자가 느끼는 생각을 종합하여 100점 만점으로 환산한 값입니다.

일자리 전망에 대한 재직자 및 전문가의 견해
  • 향후 5년간 지게차운전원의 고용은 유지하거나 다소 감소할 전망이다.
  • 지게차운전원의 고용에 영향을 미치는 하역·물류업을 살펴보면, 세계 경제 저성장 기조의 장기화로 인해 물동량 및 하역량은 단기적으로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 한편 미국 글로벌 기술 리서치업체 테크나비오(TechNavio)가 2020년까지 세계 물류 로봇시장이 연평균 32% 성장 할 것으로 전망하였다.
  • 이미 미국 온라인 유통업체인 아마존에서는 창고 로봇 키바(Kiva)를 도입하여 물품이동 인력을 대체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하역 장비 및 시스템의 자동화가 진행되면서 물품이동장비조작원의 고용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나 대규모로 영향을 미치지는 않을 전망이다.

일자리 전망률
  • 증가 0%
    다소 증가 7%
    유지 37%
    다소 감소 43%
    감소 13%
※ 자료 출처 : 고용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