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원·채석원 및 석재절단원
요약
하는일 | 각종 채굴장비를 이용하여 지표 또는 지하에 매장되어 있는 광물을 채굴하고, 건설 재료로 사용되는 석재를 운반하며, 기계장치를 이용하여 필요한 형태로 가공한다. |
---|---|
되는길 | 광원·채석원 및 석재절단원이 되기 위해서 특별한 자격이나 학력이 필요하지는 않지만, 광산 작업이나 채석, 석재절단 등에 대한 기능이 요구된다. 일반적으로 관련 업체에 취업하여 숙련공의 보조원으로 일하면서 업무를 배운다. 이들은 일단 취업하면 위탁교육이나 현장교육을 통해서 작업공구 및 안전장비 사용법, 장비 및 자재 운반, 갱내 지주설치, 화약발파, 채탄작업, 갱내 배관설치 등의 기초 지식과 기능을 익힌 후 작업현장에 투입된다. 화약을 취급하거나 광산안전과 보안을 책임지는 경우에는 국가기술자격인 화약취급기능사, 화약류관리산업기사, 화약류관리기사, 화약류관리기술사, 광산보안기능사, 광산보안산업기사, 광산보안기사, 시추기능사 등의 자격증이 요구된다. |
전공 | 해당 데이터가 없습니다. |
자격 | 광산보안기능사, 산업기사, 기사[전기, 기계, 채광](국가기술) 광산보안기능사[전기, 기계, 채광] 산업기사, 기사(국가기술) 화약류관리산업기사, 기사, 기술사(국가기술) 화약취급기능사(국가기술) |
임금 | 조사년도:2021년, 임금 하위(25%) 3800만원, 평균(50%) 4144만원, 상위(25%) 4731만원 |
만족도 | 54.3 |
일자리전망 | 증가(0%) 현상유지(27%) 감소(73%) |
업무수행능력 | 신체적 강인성(94)/청력(82)/작동 점검(81)/장비의 유지(77)/시력(72) |
지식 | 안전과 보안(97)/기계(93)/지리(79)/물리(76)/화학(73) |
업무환경 | 온몸 진동 노출(100)/극단적으로 밝거나 부적절한 조명(100)/위험한 장비 노출(100)/오염물질 노출(100)/소음 노출(99) |
성격 | 협조(77)/정직성(67)/타인에 대한 배려(66)/혁신(63)/책임과 진취성(56) |
흥미 | 관습형(Conventional)(17)/예술형(Artistic)(10) |
직업가치관 | 성취(50)/개인지향(49)/이타(40)/경제적 보상(31)/인정(31) |
업무활동 중요도 | 차량, 기계, 장비 작동(83)/물건 조종, 운반(83)/기계장치 제어(78)/일반적인 신체활동(76)/기계장비 유지 보수(70) |
업무활동 수준 | 차량, 기계, 장비 작동(90)/물건 조종, 운반(89)/기계장치 제어(84)/일반적인 신체활동(82)/기계장비 유지 보수(78) |
관련직업 | 철로설치·보수원 점화·발파·화약관리원 잠수기능원 |
직무개요
- 각종 채굴장비를 이용하여 지표 또는 지하에 매장되어 있는 광물을 채굴하고, 건설 재료로 사용되는 석재를 운반하며, 기계장치를 이용하여 필요한 형태로 가공한다.
수행직무
- 작업복 및 안전장비(방진마스크, 안전등, 안전모, 척추보호대, 자기구명기)를 착용한 후 곡괭이, 삽, 착암기 등의 작업장비를 준비한다.
- 착암기, 오오거 드릴, 코울 픽 등의 굴착기계를 사용하여 땅을 파고 암석을 뚫는다.
- 슈트, 트로프, 로커쇼벨, 체인컨베이어, 에어호이스트, 광차 등의 장비를 이용하여 갱외로 석재나 탄을 운반한다.
- 갱내외에서 채광 관련 다양한 업무를 수행한다.
- 쇄석기운전원은 도로, 토목, 콘크리트 등의 공사 시 골재를 생산하기 위하여 원석을 일정한 규격과 형태로 부수는 쇄석기를 운전한다.
- 모래분리기조작원은 채취된 골재를 파쇄, 세척, 스크린하여 모래와 자갈을 크기별로 분리시키기 위해 동력에 의한 기계장치를 조작한다.
- 석재천공원은 천공드릴로 석판이나 석재에 구멍을 뚫는다.
- 암석절단원은 석산에서 암석을 채석하기 위하여 버너를 사용, 암석을 절단한다.
- 조쇄원은 파쇄기를 조작하여 돌이나 광물을 규정된 크기로 파쇄한다.
- 평삭기조작원은 석재나 석판을 일정한 형태로 만들고, 매끈하게 다듬거나 각지게 가공하기 위해 평삭기를 조작한다.
- 할석원은 압축공기 및 유압식 핸드 브레이커(hand breaker)를 사용하여 콘크리트, 벽돌, 지반 등을 부수고 자른다.
임금
하위(25%) | 평균(50%) | 상위(25%) |
---|---|---|
3800만원 |
4144만원 |
4731 만원 |
직업만족도
- 광원·채석원 및 석재절단원에 대한 직업 만족도는 54.3% (백점 기준)입니다.
※ 직업만족도는 해당 직업의 일자리 증가 가능성, 발전가능성 및 고용안정에 대해 재직자가 느끼는 생각을 종합하여 100점 만점으로 환산한 값입니다.
일자리 전망에 대한 재직자 및 전문가의 견해
- 향후 5년간 광원·채석원 및 석재절단원의 고용은 감소할 것이다.
- 지난 몇 십년에 걸쳐 에너지원이 석탄에서 석유와 전기로 바뀌면서 석탄 생산량이 대폭 감소하였다.
- 또 산업구조가 중화학공업과 제조업, 서비스업 중심으로 바뀌면서 상대적으로 광업의 부가가치가 낮아지게 되었고, 이로 인해 광원에 대한 인력수요가 지속적으로 축소되었다.
- 앞으로도 환경에 대한 규제 강화와 새로운 에너지원의 개발로 기능 인력을 중심으로 수요는 갈수록 줄어들 것이다.
- 더욱이 청년층을 중심으로 힘들고 위험한 일자리에 대한 기피 경향이 강하기 때문에 고령화된 근로자의 자연 퇴직을 충원하지 못하여 총 종사자 수는 더욱 감소하게 될 것이다.
- 다만, 광업 관련 기술자의 경우, 광업 기술 개발과 해외자원 개발 등에 따른 수요가 꾸준히 있을 것이다.
일자리 전망률
- 증가
0%
※ 자료 출처 : 고용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