잠수기능원
요약
하는일 | 선박 및 해양구조물의 건조 시 상태를 조사 및 촬영하고, 오염된 외판의 청소, 수중용접, 선급검사 등 수중에서 발생되는 제반작업을 수행한다. |
---|---|
되는길 | 산업잠수 및 수중기능원이 되기 위해 대학이나 폴리텍, 스킨스쿠버 민간양성기관, 직업훈련기관 등에서 교육훈련을 받거나 군대에서 관련 경력을 쌓은 후 국가기술자격인 잠수기능사, 잠수산업기사를 취득하면 된다. 선박 및 해양구조물 건조 및 보수 시, 수중에서 사진 촬영, 오염된 외판의 선저 청소, 구조물의 설치 및 철거, 수중 용접 등을 해야 하기 때문에 잠수에 대한 지식과 기술 외에 수중 용접 기능이 필요하고, 강인한 체력이 요구된다. |
전공 | 해당 데이터가 없습니다. |
자격 | 잠수기능사, 산업기사(국가기술) |
임금 | 조사년도:2021년, 임금 하위(25%) 3626만원, 평균(50%) 4247.6만원, 상위(25%) 6919만원 |
만족도 | 61.3 |
일자리전망 | 증가(23%) 현상유지(43%) 감소(33%) |
업무수행능력 | 신체적 강인성(98)/고장의 발견.수리(95)/장비의 유지(94)/작동 점검(93)/유연성 및 균형(92) |
지식 | 지리(100)/운송(95)/통신(95)/기계(93)/물리(92) |
업무환경 | 규칙적인 근무(100)/균형을 유지하기(97)/다른 사람과 신체적 접촉(97)/몸을 구부리거나 비틀기(92)/보호장비 착용(92) |
성격 | 자기통제(91)/독립성(91)/성취/노력(89)/스트레스 감내성(85)/적응성/융통성(85) |
흥미 | 현실형(Realistic)(99)/탐구형(Investigative)(40) |
직업가치관 | 이타(90)/성취(89)/다양성(88)/경제적 보상(77)/자율(69) |
업무활동 중요도 | 일반적인 신체활동(97)/차량, 기계, 장비 작동(96)/기계장치 제어(95)/기계장비 유지 보수(95)/장비, 건축물, 자재 검사(94) |
업무활동 수준 | 일반적인 신체활동(98)/차량, 기계, 장비 작동(96)/기계장비 유지 보수(96)/물건 조종, 운반(94)/기계장치 제어(93) |
관련직업 | 광원·채석원 및 석재절단원 철로설치·보수원 점화·발파·화약관리원 |
직무개요
- 선박 및 해양구조물의 건조 시 상태를 조사 및 촬영하고, 오염된 외판의 청소, 수중용접, 선급검사 등 수중에서 발생되는 제반작업을 수행한다.
수행직무
- 작업지시에 따라 작업방법, 순서, 업무분담 등을 협의하여 결정한다.
- 잠수복, 수심계, 수중마스크, 산소통, 수중시계, 공기호스, 공기압축기, 플래시, 용접장비 등 잠수장비 및 수중작업 장비를 점검한다.
- 잠수장비를 착용하고 수중에 들어가 사진, 비디오, CCTV 등으로 선박의 상태를 촬영한다.
- 촬영내용을 확인하여 선체 및 각종 수중 구조물의 이상 유무, 손상 정도 등을 파악하고 해결방법을 제시한다.
- 수중작업선의 설치, 선박 바닥상태 검사, 외판의 물때 제거, 프로펠러의 이물질 제거, 수중 촬영, 수중 용접 및 절단, 각종 수중밸브의 개폐, 수중반목 검사 및 인양작업 등을 수행한다.
- 작업종료 후 작업시간, 작업내용, 잠수횟수, 잠수심도 등을 기록한다. 각종 수중장비를 세척 및 건조한다.
임금
하위(25%) | 평균(50%) | 상위(25%) |
---|---|---|
만원 |
만원 |
만원 |
직업만족도
- 잠수기능원에 대한 직업 만족도는 61.3% (백점 기준)입니다.
※ 직업만족도는 해당 직업의 일자리 증가 가능성, 발전가능성 및 고용안정에 대해 재직자가 느끼는 생각을 종합하여 100점 만점으로 환산한 값입니다.
일자리 전망에 대한 재직자 및 전문가의 견해
- 향후 5년간 잠수 및 수중기능원의 고용은 현 상태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 현재 우리나라는 도로, 철도, 항만 등의 사회기반시설 건설을 지속적으로 추진해온 결과 사회기반시설이 어느 정도 갖추어진 성숙기에 접어들었고, 이는 공공부채 증가를 억제하려는 정부정책과 맞물려 신규 공공건설 투자를 위축시키는 요인이 될 것이다.
- 향후, 공공토목건설 투자 확대가 쉽지는 않겠지만, 국가균형발전을 위한 사회기반시설 확충이라는 측면에서 기존 노후화된 항만 시설의 개보수나 신설이 꾸준히 이루어질 것으로 보인다.
- 특히, 해양 관광 산업 육성을 위해 마리나 시설 설치 등 해양 자원 개발에 대한 수요가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 또한 해난 사고 시, 구조나 선체 인양 등에 대한 수요가 꾸준한 편이다.
일자리 전망률
- 증가
0%
※ 자료 출처 : 고용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