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부품조립·검사원
요약
하는일 | 엔진, 도어, 타이어 등 자동차의 각 구성품을 조립한다. |
---|---|
되는길 | 자동차부분품조립원으로 일하려면 일반적으로 고등학교 이상의 학력이 필요하다. 직업에서 필요한 기술은 정규 교육과정 및 훈련기관에서의 실무 훈련을 통해 취득한다. 동일한 생산 부문 내에서 직업 이동을 할 수 있으며 경력을 쌓은 후 감독직으로 진출할 수 있다. |
전공 | 해당 데이터가 없습니다. |
자격 | 금속재료시험기능사(국가기술) 기계조립기능사, 산업기사(국가기술) |
임금 | 조사년도:2021년, 임금 하위(25%) 2950만원, 평균(50%) 3663만원, 상위(25%) 4662만원 |
만족도 | 59.5 |
일자리전망 | 증가(13%) 현상유지(20%) 감소(67%) |
업무수행능력 | 품질관리분석(89)/움직임 통제(83)/정교한 동작(83)/고장의 발견.수리(83)/설치(81) |
지식 | 상품 제조 및 공정(94)/기계(90)/운송(63)/공학과 기술(45)/생물(31) |
업무환경 | 오염물질 노출(96)/온몸 진동 노출(94)/소음 노출(92)/보호장비 착용(83)/움직이는 기계(80) |
성격 | 꼼꼼함(3)/정직성(2)/독립성(1)/분석적 사고(1)/혁신(1) |
흥미 | 현실형(Realistic)(37)/진취형(Enterprising)(27) |
직업가치관 | 인정(39)/경제적 보상(38)/애국(37)/심신의 안녕(35)/이타(34) |
업무활동 중요도 | 기계장치 제어(94)/장치, 부품, 장비의 도면 작성, 배치, 지정(93)/물건 조종, 운반(87)/기계장비 유지 보수(86)/장비, 건축물, 자재 검사(86) |
업무활동 수준 | 장치, 부품, 장비의 도면 작성, 배치, 지정(94)/기계장치 제어(88)/기계장비 유지 보수(84)/물건 조종, 운반(81)/장비, 건축물, 자재 검사(77) |
관련직업 | 자동차조립원 선박조립원 |
직무개요
- 엔진, 도어, 타이어 등 자동차의 각 구성품을 조립한다.
수행직무
- 조립품의 종류에 따라 각종 공구 및 장비, 조립부품, 소모품을 준비한다.
- 차량생산계획에 의해 순서대로 조립라인에 투입되는 차체에 수동 및 동력공구를 사용하여 엔진, 도어, 타이어 등 각종 부품을 조립한다.
- 조립 과정에서 전 부품을 검사하여 부품의 이상 여부를 확인하고 조치한다.
- 타이어 공기압을 확인하고 공기를 주입한다.
- 자동화된 공정라인에서는 로봇을 제어·조작하여 부분품을 조립한다.
- 최종 생산품을 검사하고 시험하여 작업이 정확하고 품질기준에 적합한가 확인한다.
임금
하위(25%) | 평균(50%) | 상위(25%) |
---|---|---|
2950만원 |
3663만원 |
4662 만원 |
직업만족도
- 자동차부품조립·검사원에 대한 직업 만족도는 59.5% (백점 기준)입니다.
※ 직업만족도는 해당 직업의 일자리 증가 가능성, 발전가능성 및 고용안정에 대해 재직자가 느끼는 생각을 종합하여 100점 만점으로 환산한 값입니다.
일자리 전망에 대한 재직자 및 전문가의 견해
- 향후 5년간 자동차 부분품 조립원의 고용은 현상태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 자동차 부분품 조립원의 고용은 우리나라의 자동차 생산 대수에 영향을 받는다.
- 1960년대부터 급속한 자동차 대중화의 진전으로 자동차의 생산대수는 매년 증가하여 왔으며, 우리나라의 자동차 생산 대수는 2003년 317만여 대에서 2013년 452만여 대로 10년 만에 1.4배 증가하면서 세계 5위의 자동차 생산국이 되었다.
- 또한 우리나라와 경쟁관계에 있는 중국, 인도, 브라질 등의 신흥공업국들이 빠르게 추격하고 있다.
- 이를 뒷받침하듯 우리나라의 자동차 생산 대수는 2010년부터 더 이상 크게 증가하지 못하고 있고, 2011년(465만여대) 이후에는 오히려 소폭 하락하고 있는 실정이다.
- 향후 우리나라의 자동차제조업은 국제경쟁력의 강화를 통해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반면에 외국 자동차생산업체와의 글로벌 경쟁 심화, 글로벌 경기의 더딘 회복세, 국내 내수시장의 성장 둔화 등이 위기 요인이 되고 있다.
- 그에 더하여 자동차 조립원의 고용에는 국내 완성차의 해외 현지생산 증가, 제조 공정상의 자동 조립라인 증설 및 조립로봇과 같은 자동화 기술 도입에 따른 생산성 향상 등이 부정적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된다.
- 따라서 자동차 부분품 조립원의 고용은 현 상태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일자리 전망률
- 증가
0%
※ 자료 출처 : 고용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