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조원 및 단조기조작원

요약
하는일수공구 또는 단조기계를 사용하여 금속을 두들기거나 외력을 가함으로써 금속의 기계적 성질을 개선하고 유용한 형태로 가공하는 업무를 수행한다. 보통 과거의 대장장이를 지칭한다.
되는길단조원(단조기조작원)이 되는 데 특별한 학력 제한은 없으나 공업계 고등학교나 직업전문학교에서 소성가공 관련 학과를 졸업하거나 기계, 재료금속, 금속, 단조 관련 과목을 이수하면 일하는 데 도움이 된다.
대개 입사 후에 사내직업훈련원 등에서 1~2주일의 단기간 향상훈련으로 금속가공, 단조기술 등의 과정을 배울 수 있다.
전공해당 데이터가 없습니다.
자격압연기능사, 기능장(국가기술)
임금조사년도:2021년, 임금 하위(25%) 3000만원, 평균(50%) 3500만원, 상위(25%) 3867만원
만족도58.4
일자리전망증가(0%) 현상유지(20%) 감소(80%)
업무수행능력신체적 강인성(95)/조직체계의 분석 및 평가(82)/고장의 발견.수리(78)/장비의 유지(76)/작동 점검(75)
지식상품 제조 및 공정(98)/기계(96)/공학과 기술(92)/안전과 보안(79)/물리(60)
업무환경위험한 장비 노출(99)/소음 노출(97)/보호장비 착용(97)/서서 근무(96)/경미한 화상, 자상, 찔림 등 노출(94)
성격인내(57)/꼼꼼함(45)/스트레스 감내성(39)/분석적 사고(38)/성취/노력(25)
흥미관습형(Conventional)(54)/탐구형(Investigative)(33)
직업가치관개인지향(18)/성취(15)/고용안정(14)/다양성(9)/애국(7)
업무활동 중요도일반적인 신체활동(83)/기계장치 제어(83)/물건 조종, 운반(79)/기계장비 유지 보수(72)/장치, 부품, 장비의 도면 작성, 배치, 지정(67)
업무활동 수준기계장치 제어(82)/일반적인 신체활동(76)/물건 조종, 운반(72)/기계장비 유지 보수(70)/차량, 기계, 장비 작동(60)
관련직업주조원(주조기조작원)
직무개요
  • 수공구 또는 단조기계를 사용하여 금속을 두들기거나 외력을 가함으로써 금속의 기계적 성질을 개선하고 유용한 형태로 가공하는 업무를 수행한다. 보통 과거의 대장장이를 지칭한다.

수행직무
  • 고체인 금속재료를 해머 등으로 두들기거나 가압하는 기계적 방법으로 일정한 모양으로 만드는 조작을 수행한다.
  • 재료선택 및 작업조건을 결정하기 위해 도면과 작업지시서를 검토·분석한다.
  • 단조프레스, 낙하해머 등의 단조기계에 다이, 금형 등을 선택·설치한다.
  • 가열된 공작물을 노에서 기계로 운반하고 단조기계에 설치·조정한다.
  • 요구되는 단조온도를 판단하기 위하여 가열된 공작물의 색깔을 관찰한다.
  • 단조기계를 조정, 조작하여 공작물을 단조한다.
  • 완성된 단조물의 결함 여부와 치수의 정확성을 명세서와 비교·검사한다.
임금
임금 정보
하위(25%) 평균(50%) 상위(25%)

3000만원

3500만원

3867 만원

직업만족도
  • 단조원 및 단조기조작원에 대한 직업 만족도는 58.4% (백점 기준)입니다.
※ 직업만족도는 해당 직업의 일자리 증가 가능성, 발전가능성 및 고용안정에 대해 재직자가 느끼는 생각을 종합하여 100점 만점으로 환산한 값입니다.

일자리 전망에 대한 재직자 및 전문가의 견해
  • 향후 5년간 단조원(단조기조작원)의 고용은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 단조기술은 가정의 수공구에서부터 자동차, 철도차량, 석유플랜트, 조선, 항공 및 방위산업에 이르기까지 거의 모든 산업에 핵심소재 및 부품을 가공하는 기술로 전방산업의 경기 변동에 영향을 받는다.
  • 최근 들어 단조 설계부터 단조작업의 마무리까지 기계화·자동화가 이뤄지고 있어 단조원(단조기조작원)에 대한 인력 수요는 점차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 또한 인건비 등을 이유로 단조품 제조공장이 해외에 설립되고 있어 국내에서 단조원(단조기조작원)에 대한 추가적인 인력수요가 크게 발생하지는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 다만, 최근 조선과 풍력발전 등의 신규 수요처 확대로 단조산업의 성장성과 수익성이 개선될 전망이며 산업기계류와 플랜트의 수출호조도 단조산업의 확장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자동시스템이 강화된 효율성 높은 단조기계들이 개발되고 있어 기계를 활용할 수 있는 전문기술을 보유한 인력의 고용은 어느정도 유지될 것으로 보인다.

일자리 전망률
  • 증가 0%
    다소 증가 0%
    유지 20%
    다소 감소 73%
    감소 7%
※ 자료 출처 : 고용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