냉·난방설비조작원
요약
하는일 | 공장용 또는 건물용 보일러 및 보조설비를 조작하여 운영한다. |
---|---|
되는길 | 냉난방관련 설비조작원은 기계나 전기설비, 냉동설비, 가스설비, 공조설비 등 다양한 설비를 종합적으로 유지하고 관리하기 때문에 관련 지식과 기능을 갖춰야 한다. 더불어 요즘은 자동화시스템 관련 지식을 습득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전문대학이나 공업계 고등학교 혹은 공공직업 훈련기관에서 기계나 전기, 냉난방관리, 보일러설치, 가스설비 등을 전공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시·도 직업전문학교 및 기술계 학원에는 공조냉동기계, 보일러시공, 건축설비, 냉난방설비, 소방설비, 가스설비, 전기설비 등의 과목이 개설되어 있다. |
전공 | 해당 데이터가 없습니다. |
자격 | 공조냉동기계기능사, 산업기사(국가기술) 금속재료시험기능사(국가기술) 보일러기능장(국가기술) 보일러시공기능사(국가기술) 보일러취급기능사(국가기술) 에너지관리기능사, 산업기사(국가기술) |
임금 | 조사년도:2021년, 임금 하위(25%) 3400만원, 평균(50%) 3800만원, 상위(25%) 4500만원 |
만족도 | 61.2 |
일자리전망 | 증가(3%) 현상유지(50%) 감소(46%) |
업무수행능력 | 설치(92)/고장의 발견.수리(91)/작동 점검(90)/장비의 유지(84)/조작 및 통제(79) |
지식 | 건축 및 설계(98)/기계(96)/안전과 보안(90)/물리(88)/공학과 기술(81) |
업무환경 | 온몸 진동 노출(100)/위험한 상태 노출(100)/비좁은 업무 공간(98)/극단적으로 밝거나 부적절한 조명(98)/매우 춥거나 더운 기온(97) |
성격 | 분석적 사고(40)/독립성(35)/협조(29)/신뢰성(24)/꼼꼼함(22) |
흥미 | 현실형(Realistic)(56)/탐구형(Investigative)(38) |
직업가치관 | 개인지향(69)/자율(67)/이타(66)/애국(55)/심신의 안녕(32) |
업무활동 중요도 | 기계장비 유지 보수(98)/전자장비 유지 보수(93)/기계장치 제어(92)/장비, 건축물, 자재 검사(81)/장치, 부품, 장비의 도면 작성, 배치, 지정(80) |
업무활동 수준 | 기계장비 유지 보수(97)/전자장비 유지 보수(96)/기계장치 제어(93)/장비, 건축물, 자재 검사(86)/차량, 기계, 장비 작동(81) |
관련직업 | 해당 데이터가 없습니다. |
직무개요
- 공장용 또는 건물용 보일러 및 보조설비를 조작하여 운영한다.
수행직무
- 컴퓨터제어장치를 이용하여 원격으로 보일러를 가동한다.
- 보일러 본체와 부속설비 게이지의 온도, 압력, 수위 등의 정상 여부를 원격으로 확인한다.
- 보일러 시설을 순찰, 감시하며 문제점을 파악한다.
- 비정상시 자동 및 수동으로 온도, 압력 등을 조정한다.
- 고장 시 응급조치 요령에 따라 조치를 취한다.
- 정기적으로 보일러 및 보조설비의 이상 유무 등을 점검하고 점검일지에 기록한다.
- 정기적으로 보일러 및 보일러보조설비를 유지·관리한다.
임금
하위(25%) | 평균(50%) | 상위(25%) |
---|---|---|
3400만원 |
3800만원 |
4500 만원 |
직업만족도
- 냉·난방설비조작원에 대한 직업 만족도는 61.2% (백점 기준)입니다.
※ 직업만족도는 해당 직업의 일자리 증가 가능성, 발전가능성 및 고용안정에 대해 재직자가 느끼는 생각을 종합하여 100점 만점으로 환산한 값입니다.
일자리 전망에 대한 재직자 및 전문가의 견해
- 향후 5년간 냉난방관련 설비조작원의 고용은 현 상태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 최근 몇 년간 건설 경기가 침체되어 신규 건축허가 실적이 감소하였고, 건물 자동화 설비 시설을 갖춘 건물이 증가하며 냉난방관련 신규 설비에 대한 수요는 감소하였다.
- 중앙제어로 운영되는 건물이 증가하며 효율적 운영이 가능해지며 설비 인력에 대한 수요는 감소하고 있다.
- 또한, 건물관리를 외부업체로 용역을 주는 형태가 증가하며 직접 채용하는 냉난방관련설비조작원의 고용은 소폭 감소하였다.
- 기술발전으로 자동화 및 기계화가 진행되어 현장에 가지 않고 사무실에서 업무 처리가 가능해져 인력감축이 이뤄지고 있다.
- 설비조작 인력이 기계로 대체되는 추세가 이어지고 있으며, 실제업무를 하는 조작원보다는 설비를 관리하는 방향으로 인력의 이동이 이뤄지고 있다.
- 조달청 행정자료에 따르면 신규 공사 계약 실적은 2009년 이후 뚜렷한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 냉난방관련설비공사 건수도 감소하였다.
- 건설경기침체가 지속되며 건물의 리모델링 사례가 늘고 있어 신규 설비보다는 리모델링에 의한 수요가 지속되고 있다.
- 냉난방관련설비조작원은 3D 업종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업무에 따라 3교대 근무를 하는 등 근무시간이 불규칙하고 근로여건이 열악하여 젊은 구직자들이 기피하고 있다.
- 또한 건물관리를 외주화하는 건물이 많아지며 고용이 상대적으로 불안정한 임시·계약직 일자리들이 많은 것도 공급이 감소하는 요인 중 하나이다.
- 최근 녹색빌딩 인증 등 환경보호로 인한 건물의 환경규제가 강화되면서 노후화된 산업용 냉난방기기설비 및 교체에 대한 수요는 있을 것으로 전망되나, 냉난방관련설비조작원의 일자리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일자리 전망률
- 증가
0%
※ 자료 출처 : 고용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