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조원 및 주조기조작원
요약
하는일 | 주물 틀인 주형을 만들고 철 및 비철금속을 용해, 주입하여 주물품을 만든다. 보통 금형 안에 금속물을 집어넣어 제품을 만드는 이들을 지칭한다.이들은 주로 금속주조업체나 금속제품생산업체의 주조분야에 고용되어 있다. |
---|---|
되는길 | 주조원(주조기조작원)으로 일하려면 고졸 이상의 학력을 소지해야 한다. 또한. 실업계 고등학교나 직업전문학교에서 금속, 재료관련 과목을 전공해서 주조에 대하여 배우면 취업 시 유리하다. 입사한 후에는 사내직업훈련원 등에 단기과정으로 개설된 정밀주조, 금속재료 등에 등록해서 이 분야에 대해 전문적인 훈련을 받을 수 있다. |
전공 | 해당 데이터가 없습니다. |
자격 | 금속재료산업기사, 기능장, 기술사(국가기술) 열처리기능사(국가기술) 주조기능사, 산업기사, 기능장(국가기술) |
임금 | 조사년도:2021년, 임금 하위(25%) 3358만원, 평균(50%) 4100만원, 상위(25%) 4631만원 |
만족도 | 61.4 |
일자리전망 | 증가(6%) 현상유지(33%) 감소(60%) |
업무수행능력 | 품질관리분석(93)/반응시간과 속도(93)/설치(91)/조작 및 통제(90)/기술 설계(90) |
지식 | 상품 제조 및 공정(94)/기계(71)/공학과 기술(60)/화학(44)/식품생산(38) |
업무환경 | 경미한 화상, 자상, 찔림 등 노출(100)/매우 춥거나 더운 기온(99)/위험한 장비 노출(99)/비좁은 업무 공간(99)/오염물질 노출(96) |
성격 | 스트레스 감내성(54)/꼼꼼함(25)/자기통제(16)/정직성(16)/협조(13) |
흥미 | 관습형(Conventional)(73)/현실형(Realistic)(50) |
직업가치관 | 신체활동(51)/경제적 보상(47)/개인지향(43)/심신의 안녕(38)/다양성(37) |
업무활동 중요도 | 기계장치 제어(98)/기계장비 유지 보수(97)/제품, 사건, 정보의 수치 추정(96)/차량, 기계, 장비 작동(96)/장비, 건축물, 자재 검사(95) |
업무활동 수준 | 기계장치 제어(97)/제품, 사건, 정보의 수치 추정(96)/기계장비 유지 보수(96)/장비, 건축물, 자재 검사(95)/물건 조종, 운반(94) |
관련직업 | 단조원(단조기조작원) |
직무개요
- 주물 틀인 주형을 만들고 철 및 비철금속을 용해, 주입하여 주물품을 만든다. 보통 금형 안에 금속물을 집어넣어 제품을 만드는 이들을 지칭한다.이들은 주로 금속주조업체나 금속제품생산업체의 주조분야에 고용되어 있다.
수행직무
- 원형과 주형재료, 주물용 기계와 공구를 사용하여 주조방안에 맞게 주형제작, 용해 및 주입, 후처리, 열처리, 재료시험검사를 통하여 주조물을 제작한다.
- 용탕의 주입방법 즉 주입속도, 주입량, 주입구의 위치 및 경로 등 주조 방안을 결정하고 모형 제작에 들어간다.
- 소정의 주형도면에 충실하고 각종 보정값(수축여유, 취급구배, 가공여유 등)을 고려하여 목재, 금속, 또는 수지로 모형을 제작한다.
- 적절한 사립(沙粒), 점결제, 첨가제의 준비와 최적조건에 의한 배합으로 주물사를 조제하며 수조형 또는 기계주조에 의한 주형의 준비 및 주형(主型)과 중자의 합형인 조형(造型)을 만든다.
- 장입계산에 의한 지금(地金)배합, 용해로서 최적의 용탕준비를 통해 용해하여 주입하며 수분이 지난 후 주형에서 주물을 채취하여 탈사한 후 표면을 깨끗하게 한다.
- 주조응력 제거 또는 재질 개선을 위한 열처리를 하고 외관, 치수 결함 및 재질에 대한 시험을 한다.
임금
하위(25%) | 평균(50%) | 상위(25%) |
---|---|---|
3358만원 |
4100만원 |
4631 만원 |
직업만족도
- 주조원 및 주조기조작원에 대한 직업 만족도는 61.4% (백점 기준)입니다.
※ 직업만족도는 해당 직업의 일자리 증가 가능성, 발전가능성 및 고용안정에 대해 재직자가 느끼는 생각을 종합하여 100점 만점으로 환산한 값입니다.
일자리 전망에 대한 재직자 및 전문가의 견해
- 향후 5년간 주조원(주조기조작원)의 고용은 다소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 다이캐스팅 등의 주조방법과 컴퓨터를 이용한 설계가 보편화되면서 일반 주조방법을 활용하는 사업장의 고용 인력은 감소할 것으로 보인다.
- 중국 등 신흥 제조국의 기술 수준이 향상되고 있으며, 기계화와 자동화에 따른 인력 감소 등의 영향을 크게 받기 때문에 전반적으로 주조원(주조기조작원)의 일자리는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 한편, 주조산업은 환경오염원의 배출과 열악한 근로 환경으로 과거 전형적인 3D산업이라는 부정적인 인식이 높았으나, 최근 들어 뿌리산업의 한 분야이자 제품 가공에 필수적인 기계가공의 중요한 분야로 인정받기 시작하였다.
- 다만, 자동화시스템 개발과 컴퓨터에서 주조의 전 과정을 설계하는 컴퓨터시뮬레이션이 보편화되고 있어 이 분야에 대한 전문기술을 보유한 인력의 수요는 어느 정도 유지될 것이다.
일자리 전망률
- 증가
3%
※ 자료 출처 : 고용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