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선전기공
요약
하는일 | 주택, 공장 및 기타 건축물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하여 전선 및 케이블을 배선하고 각종 전기시설물을 설치·보수한다. |
---|---|
되는길 | 내선전기공이 되는 데 특별한 학력제한은 없지만, 전기회로나 배선도면을 이해해야 하기 때문에 고등학교 이상의 학력수준이 필요하다. 실제 내선전기공들 대부분은 특성화고등학교 졸업자이거나 공공 및 민간 직업훈련기관의 전기 관련과를 졸업한 경우가 많다. 요즘은 2~3년제 대학 이상의 학력으로 전공이 되는 사람도 증가하고 있다. 전력 및 전기 시설이 점점 대용량화·고속화하고 있기 때문에 늘 새로운 기술을 습득하여야 하며 전기에 관한 이론적 지식과 함께 현장 실무 경험이 반드시 필요하다. 작업 중에 여러 색상의 전선을 구별해야 할 때가 많으므로 색맹이면 업무수행이 어렵다. |
전공 | 전기공학과 |
자격 | 전기공사산업기사, 기사(국가기술) 전기기능사, 산업기사, 기사, 기능장(국가기술) |
임금 | 조사년도:2021년, 임금 하위(25%) 3550만원, 평균(50%) 3885만원, 상위(25%) 4326만원 |
만족도 | 65.6 |
일자리전망 | 증가(20%) 현상유지(52%) 감소(27%) |
업무수행능력 | 설치(93)/고장의 발견.수리(90)/정교한 동작(89)/작동 점검(88)/장비의 유지(87) |
지식 | 건축 및 설계(89)/물리(87)/기계(81)/공학과 기술(49)/안전과 보안(47) |
업무환경 | 실수의 심각성(97)/보호장비 착용(96)/사물, 도구, 조종 장치를 다루기 위해 손사용(96)/고지대 작업(96)/건강 및 안전에 대한 책임(96) |
성격 | 꼼꼼함(64)/인내(38)/스트레스 감내성(35)/협조(34)/성취/노력(23) |
흥미 | 현실형(Realistic)(99)/탐구형(Investigative)(76) |
직업가치관 | 자율(62)/애국(56)/지적 추구(46)/경제적 보상(38)/개인지향(37) |
업무활동 중요도 | 전자장비 유지 보수(96)/장치, 부품, 장비의 도면 작성, 배치, 지정(95)/일반적인 신체활동(91)/물건 조종, 운반(90)/장비, 건축물, 자재 검사(87) |
업무활동 수준 | 일반적인 신체활동(95)/전자장비 유지 보수(95)/장치, 부품, 장비의 도면 작성, 배치, 지정(94)/물건 조종, 운반(93)/기계장비 유지 보수(84) |
관련직업 | 산업전기공 외선전기공 |
직무개요
- 주택, 공장 및 기타 건축물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하여 전선 및 케이블을 배선하고 각종 전기시설물을 설치·보수한다.
수행직무
- 옥내 배선도나 도면을 읽고 수용가옥 구조, 구조물 내부 상태, 인입 가능한 배전선로 위치 등을 파악한다.
- 구조물의 내부 상태를 파악하고 배선을 위한 슬래브배관, 노출배관, 벽체배관, 분전반, 덕트 등 배관 및 장치물을 설치한다.
- 배관을 따라 전선을 인입선(요비선)으로 인입하고 인출하여 연결한다.
- 배선루트를 따라 가요전선관(후렉시블관)과 맨커버를 설치하고 전선을 설치한다.
- 가공배전선에서 인입구까지 인입선을 케이블로 연결하고 차단기를 설치한다.
- 건물 내 조명, 콘센트류, 스위치, 기구 등 설비물을 설치하고 인출선에 연결한다.
- 접지선을 연결하여 땅속에 묻는다.
- 전선을 보호하기 위하여 금속 또는 플라스틱몰드를 설치한다.
- 배전함을 설치한다.
- 배선이 완료되면 회선단락, 저항, 배선상의 결함을 메가(절연체크기),후크메타(암페어측정기) 등으로 검사한다.
- 전류를 투입하여 시험가동을 한다.
임금
하위(25%) | 평균(50%) | 상위(25%) |
---|---|---|
3550만원 |
3885만원 |
4326 만원 |
직업만족도
- 내선전기공에 대한 직업 만족도는 65.6% (백점 기준)입니다.
※ 직업만족도는 해당 직업의 일자리 증가 가능성, 발전가능성 및 고용안정에 대해 재직자가 느끼는 생각을 종합하여 100점 만점으로 환산한 값입니다.
일자리 전망에 대한 재직자 및 전문가의 견해
- 향후 5년간 내선전기공의 고용은 현상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 내선전기공의 경우 건설경기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데 최근 건설업의 부진으로 내선전기공의 고용 수요는 당분간 위축될 것으로 보인다.
- 또한 기업들이 전기공사에 사용되는 장비를 자동화하고, 스마트그리드의 도입으로 전기설비가 자동화 시스템으로 운영되어 고장 원인을 사전에 예방함에 따라 종합적으로 판단할 때 향후 5년간 내선전기공의 고용은 현상 유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일자리 전망률
- 증가
0%
※ 자료 출처 : 고용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