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무·플라스틱 제품 조립원

요약
하는일압출·성형·가공 공정을 거친 고무부품을 접착제·나사 등을 사용하여 완제품이나 부분품으로 조립한다.
되는길고무 및 플라스틱제품조립원은 취업 시 나이나 학력에 제한을 받지 않는 편이다.
간단한 수조립은 몇 시간에서 며칠간의 현장 교육으로 수행할 수 있지만, 자동조립라인이나 정밀조립은 공업계 고등학교에서 기계, 전기, 전자, 통신 관련 학과 등을 전공하면 업무에 도움이 된다.
또한, 정밀전자기구, 배전반 등을 조립할 때는 공업계 고등학교 졸업자 정도의 전기기능이 필요하기도 하다.
공공직업전문학교에서는 기계조립 과정이 개설되어 있으며 민간직업전문학교에서도 일정 개월 과정으로 PC 조립, 전자기기조립, 반도체 조립과정 등이 개설되어 관련 지식과 기술을 교육하고 있다.
이들은 플라스틱 제품 제조업체 및 기타 제조업체의 플라스틱 조립 부문에서 근무한다.
전공해당 데이터가 없습니다.
자격화공기사, 산업기사(국가기술)
임금조사년도:2021년, 임금 하위(25%) 2750만원, 평균(50%) 3200만원, 상위(25%) 3730만원
만족도53.2
일자리전망증가(13%) 현상유지(17%) 감소(70%)
업무수행능력정교한 동작(86)/움직임 통제(84)/반응시간과 속도(78)/고장의 발견.수리(71)/품질관리분석(71)
지식상품 제조 및 공정(98)/기계(82)/화학(66)/물리(31)/식품생산(25)
업무환경오염물질 노출(87)/실내 근무(71)/보호장비 착용(69)/소음 노출(62)/사물, 도구, 조종 장치를 다루기 위해 손사용(60)
성격분석적 사고(3)/리더십(3)/타인에 대한 배려(3)/혁신(2)/적응성/융통성(2)
흥미예술형(Artistic)(23)/현실형(Realistic)(20)
직업가치관개인지향(16)/심신의 안녕(13)/고용안정(11)/애국(11)/경제적 보상(10)
업무활동 중요도물건 조종, 운반(85)/기계장치 제어(81)/기계장비 유지 보수(80)/일반적인 신체활동(80)/차량, 기계, 장비 작동(77)
업무활동 수준물건 조종, 운반(82)/기계장비 유지 보수(80)/장치, 부품, 장비의 도면 작성, 배치, 지정(78)/차량, 기계, 장비 작동(78)/기계장치 제어(77)
관련직업타이어·고무제품생산기계조작원
플라스틱제품생산기계조작원
화학제품생산기계조작원(고무·플라스틱 제외)
직무개요
  • 압출·성형·가공 공정을 거친 고무부품을 접착제·나사 등을 사용하여 완제품이나 부분품으로 조립한다.

수행직무
  • 작업도면을 보고 조립할 부품과 작업순서를 확인한다.
  • 단품 생산공정에서 압출·성형·가공된 각종 고무부품과 조립할 각종 부품을 작업대 위에 올려놓는다.
  • 부품의 제조 상태를 점검하여 파손되거나 규격 미달인 부품을 제거한다.
  • 조립하기 쉽도록 고무부품을 콘베이어벨트 또는 작업대 위에 나란히 늘어놓는다.
  • 손가락으로 부품을 눌러 주름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면서 홈이나 틀에 맞춘다.
  • 접착제나 나사를 사용하여 고무부품·금속·나무 등에 부착한다.
  • 조립품의 군더더기를 제거한다.
  • 완성된 조립제품은 검사실로 보낸다.
임금
임금 정보
하위(25%) 평균(50%) 상위(25%)

2750만원

3200만원

3730 만원

직업만족도
  • 고무·플라스틱 제품 조립원에 대한 직업 만족도는 53.2% (백점 기준)입니다.
※ 직업만족도는 해당 직업의 일자리 증가 가능성, 발전가능성 및 고용안정에 대해 재직자가 느끼는 생각을 종합하여 100점 만점으로 환산한 값입니다.

일자리 전망에 대한 재직자 및 전문가의 견해
  • 향후 5년간 고무 및 플라스틱제품조립원의 고용은 현상태를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
  • 중장기 인력수급 수정전망 2015~2025」(한국고용정보원, 2016)에 따르면, 2015년 고무 및 플라스틱 제품조립원은 19천명으로 향후 5년간(2015-2020) 2천명, 향후 10년 간 2천명(2015-2025)정도 증가될 것으로 전망되었다.
  • 고무 및 플라스틱 제조업은 화학산업 중 고용규가 가장 큰 대표적인 분야로 통계청 전국사업체조사에 따르면 지난 7년간(2008-2014)간 사업체 수와 종사자 수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 종사자 수는 2007년 217,420명에서 2014년 275,918명으로 증가하였다.
  • 그럼에도 고무 및 플라스틱제품조립원은 공정의 자동화에 따라 인력 감축이 불가피하고 국내기업들이 제품의 가격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상대적으로 인건비가 저렴한 개발도상국으로 공장을 이전하는 등 고무 및 플리스틱제품 조립원은 고용은 현상태를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

일자리 전망률
  • 증가 0%
    다소 증가 13%
    유지 17%
    다소 감소 67%
    감소 3%
※ 자료 출처 : 고용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