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단사

요약
하는일의복류·모자류 등을 패턴모형에 맞춰 재단용 가위나 칼 또는 전기재단기로 재단한다.
되는길재단사가 되기 위해서는 실업계 고등학교나 직업훈련기관에서 관련학과를 전공하는 것이 유리하다.
자격증이 꼭 필요하지는 않지만 섬유관련 자격증이 있으면 취업 시 우대를 받는다.
재단사는 대부분 채용 후 사내직무교육을 받거나 숙련자를 보조하면서 기능을 습득한다.
재단사는 직업훈련기관의 추천, 고용지원센터, 생활정보지 등을 활용해 취업하거나 개인적 소개를 통해 채용이 이루어진다.
이들은 주로 섬유제품제조업체, 의류·신발제조업체 등에 고용되어 있다.
별다른 승진체계는 없으나 오랜 경험과 훈련으로 숙련자가 되면 반장, 감독 등의 중간관리자가 될 수 있다.
전공해당 데이터가 없습니다.
자격양복기능사(국가기술)
양장기능사(국가기술)
염색기능사(국가기술)
임금조사년도:2021년, 임금 하위(25%) 3004만원, 평균(50%) 3626만원, 상위(25%) 4631만원
만족도65.3
일자리전망증가(0%) 현상유지(47%) 감소(52%)
업무수행능력품질관리분석(74)/유연성 및 균형(59)/정교한 동작(58)/가르치기(57)/기술 분석(54)
지식디자인(97)/상품 제조 및 공정(94)/예술(84)/식품생산(82)/산수와 수학(70)
업무환경몸을 구부리거나 비틀기(95)/사물, 도구, 조종 장치를 다루기 위해 손사용(93)/경미한 화상, 자상, 찔림 등 노출(92)/마감시간(91)/오염물질 노출(86)
성격꼼꼼함(71)/사회성(56)/성취/노력(48)/인내(45)/타인에 대한 배려(40)
흥미현실형(Realistic)(56)/예술형(Artistic)(55)
직업가치관고용안정(61)/개인지향(56)/신체활동(55)/심신의 안녕(42)/다양성(40)
업무활동 중요도제품, 사건, 정보의 수치 추정(89)/일반적인 신체활동(87)/기계장치 제어(86)/장치, 부품, 장비의 도면 작성, 배치, 지정(86)/사물, 서비스, 사람의 질 판단(85)
업무활동 수준일반적인 신체활동(93)/물건 조종, 운반(91)/제품, 사건, 정보의 수치 추정(85)/기계장치 제어(83)/전자장비 유지 보수(80)
관련직업패턴사
재봉사
직무개요
  • 의복류·모자류 등을 패턴모형에 맞춰 재단용 가위나 칼 또는 전기재단기로 재단한다.

수행직무
  • 생산의뢰서 또는 작업지시서를 확인한 후 원단 및 부자재를 수령한다.
  • 패턴사로부터 받은 패턴모형을 원단의 소모량이 최소화 되도록 배치한다
  • 작업대 위에 원단을 포개놓고 패턴 모양대로 재단용 초크 또는 연필로 표시한다.
  • 표시선을 따라 가위나 칼로 재단하고 대량 생산인 경우 전기재단기 또는 레이저로 절단하기도 한다.
  • 색상에 따라 원단부품을 짝짓기한다.
  • 부품 위에 확인번호를 표시한다.
  • 재단대 위에 원단을 펼치는 연단원의 업무를 병행하는 경우도 있다.
  • 재단이 완료된 각 원단 부분품은 다음 공정을 위해 재봉라인 등으로 이송한다.
  • 완성품의 결함을 조사하고 설정된 표준과 비교한다.
임금
임금 정보
하위(25%) 평균(50%) 상위(25%)

3004만원

3626만원

4631 만원

직업만족도
  • 재단사에 대한 직업 만족도는 65.3% (백점 기준)입니다.
※ 직업만족도는 해당 직업의 일자리 증가 가능성, 발전가능성 및 고용안정에 대해 재직자가 느끼는 생각을 종합하여 100점 만점으로 환산한 값입니다.

일자리 전망에 대한 재직자 및 전문가의 견해
  • 향후 5년간 재단사의 고용은 다소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 의류업계는 경기의 영향을 크게 받는다.
  • 과거 20여 년간 국내 패션시장은 성장기에 있었으나 이제 저성장 시대로 진입했다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 장기적인 경기 침체로 소비심리가 위축되면서 의류소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고, 해외브랜드 선호도가 높아지면서 해외 브랜드의 국내 진출이 크게 늘었다.
  • 의류업체 간의 과도한 경쟁과 중국, 베트남 등 저원가 생산국이 국내시장을 잠식하고 있다.
  • 생산시설의 자동화 및 대형화와 생산라인의 해외이전 등이 주요 요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 재단사가 주로 종사하는 섬유제품 제조업의 현황을 살펴보면 섬유제품제조업, 봉제의복 및 모피제품제조업, 가죽, 가방 및 신발제조업의 업체 수와 종사자 수가 지속적으로 감소되고 있어 관련 산업이 정체되었음을 보여주고 있다.
  • 국내의 섬유제조업체들은 생산시설 및 공장시스템을 무인 자동화하여 소수의 인력으로 제품생산이 가능한 체제를 갖추기 위해 노력하고 있어 생산량은 증가하고 있지만 관련 인력에 대한 수요는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 또한 국내 인건비가 상승함에 따라 생산단가에 있어 경쟁력이 떨어져 인건비가 싼 중국이나 베트남 등으로 생산공장을 이전하고 있어 국내고용에 부정적인 요인이 되고 있다.
  • 특히 봉제, 원사제조, 제직 및 염색가공과 같은 전통적인 섬유산업은 해외 현지생산의 확대로 국내에서 비중이 점점 축소될 것으로 보인다.
  • 앞으로 생산시설의 자동화 및 대형화와 생산라인의 해외이전 등은 향후에도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 섬유산업에서 청년층 등의 신규인력 공급이 원활하지 않고 이·전직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대체일자리가 많아 취업은 비교적 쉬울 것이다.

일자리 전망률
  • 증가 0%
    다소 증가 0%
    유지 47%
    다소 감소 50%
    감소 3%
※ 자료 출처 : 고용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