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조기·편직기조작원

요약
하는일직조와 편직 및 기타 물질과 직물을 생산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관련 장비를 조작한다. 이들은 섬유제품 제조업체나 의류 제조업체에 고용되어 있다.
되는길직조기 및 편직기조작원이 되기 위해서는 전문계 고등학교나 직업훈련기관에서 관련 학과를 전공하는 것이 유리하다.
자격증이 꼭 필요하지는 않으나 섬유 관련 자격증이 있으면 취업 시 우대받을 수 있다.
직조기 및 편직기조작원은 대부분 채용 후 사내 직무교육을 받거나 숙련자를 보조하면서 기능을 습득한다.
이들은 섬유제품 제조업체나 의류 제조업체에서 근무한다.
전공해당 데이터가 없습니다.
자격섬유산업기사, 기사, 기술사(국가기술)
양복기능사(국가기술)
양장기능사(국가기술)
염색기능사(국가기술)
임금조사년도:2021년, 임금 하위(25%) 2806만원, 평균(50%) 3511.2만원, 상위(25%) 3975만원
만족도55.3
일자리전망증가(3%) 현상유지(3%) 감소(93%)
업무수행능력장비의 유지(95)/작동 점검(94)/조작 및 통제(89)/반응시간과 속도(89)/고장의 발견.수리(87)
지식상품 제조 및 공정(91)/기계(85)/식품생산(41)/안전과 보안(36)/공학과 기술(34)
업무환경소음 노출(99)/장비 속도에 보조 맞추기(99)/경미한 화상, 자상, 찔림 등 노출(99)/위험한 장비 노출(99)/보호장비 착용(96)
성격독립성(57)/신뢰성(51)/사회성(44)/타인에 대한 배려(43)/성취/노력(42)
흥미현실형(Realistic)(86)/관습형(Conventional)(82)
직업가치관애국(30)/개인지향(28)/자율(26)/고용안정(24)/심신의 안녕(19)
업무활동 중요도기계장치 제어(95)/물건 조종, 운반(94)/기계장비 유지 보수(85)/장치, 부품, 장비의 도면 작성, 배치, 지정(82)/일반적인 신체활동(82)
업무활동 수준기계장치 제어(96)/물건 조종, 운반(95)/일반적인 신체활동(88)/장비, 건축물, 자재 검사(87)/기계장비 유지 보수(83)
관련직업섬유제조기계조작원
표백·염색기조작원
직무개요
  • 직조와 편직 및 기타 물질과 직물을 생산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관련 장비를 조작한다. 이들은 섬유제품 제조업체나 의류 제조업체에 고용되어 있다.

수행직무
  • 원사의 종류, 제조직물의 조직과 무늬에 대한 명세서를 검토한다.
  • 소정의 밀도와 올수에 맞추어 경사를 정경 비임에 감는다.
  • 실의 강도를 높이고 제직 중 마찰로 인한 끊어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실에 풀을 입히는 호부기를 조정, 조작한다.
  • 준비된 경사를 통경대에서 종광과 바디에 한가닥씩 끼우고, 두 사람이 마주 앉아 통경바늘을 사용하여 꿴다.
  • 위사용 원사를 목관에 감고 직기에 공급한다.
  • 직기를 가동하고 직물의 무늬, 무게, 속도 등 제반조건을 확인하고, 끊어진 실을 연결하며, 기계의 기능장애를 점검, 조정한다.
  • 경사를 다 사용하면 남은 부분과 새로운 빔을 연결한다.
임금
임금 정보
하위(25%) 평균(50%) 상위(25%)

만원

만원

만원

직업만족도
  • 직조기·편직기조작원에 대한 직업 만족도는 55.3% (백점 기준)입니다.
※ 직업만족도는 해당 직업의 일자리 증가 가능성, 발전가능성 및 고용안정에 대해 재직자가 느끼는 생각을 종합하여 100점 만점으로 환산한 값입니다.

일자리 전망에 대한 재직자 및 전문가의 견해
  • 향후 5년간 직조기 및 편직기조작원의 고용은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 생산시설의 자동화 및 대형화와 생산라인의 해외이전 등이 주요 요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 직조기 및 편직기조작원이 주로 종사하는 섬유제품 제조업의 현황을 살펴보면 섬유제품제조업, 봉제의복 및 모피제품제조업, 가죽, 가방 및 신발제조업의 업체 수와 종사자 수가 지속적으로 감소되고 있어 관련 산업이 정체되었음을 보여주고 있다.
  • 국내의 섬유제조업체들은 생산시설 및 공장시스템을 무인 자동화하여 소수의 인력으로 제품생산이 가능한 체제를 갖추기 위해 노력하고 있어 생산량은 증가하고 있지만 관련 인력에 대한 수요는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 또한 국내 인건비가 상승함에 따라 생산단가에 있어 경쟁력이 떨어져 인건비가 싼 중국이나 베트남 등으로 생산공장을 이전하고 있어 국내고용에 부정적인 요인이 되고 있다.
  • 특히 봉제, 원사제조, 제직 및 염색가공과 같은 전통적인 섬유산업은 해외 현지생산의 확대로 국내에서 비중이 점점 축소될 것으로 보인다.
  • 앞으로 생산시설의 자동화 및 대형화와 생산라인의 해외이전 등은 향후에도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 섬유산업에서 청년층 등의 신규인력 공급이 원활하지 않고 이·전직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대체일자리가 많아 취업은 비교적 쉬울 것이다.

일자리 전망률
  • 증가 0%
    다소 증가 3%
    유지 3%
    다소 감소 70%
    감소 23%
※ 자료 출처 : 고용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