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백·염색기조작원

요약
하는일섬유의 불순물 및 색소를 제거하거나 색깔을 입히기 위하여 섬유제품을 처리하는 기계를 조작한다.
되는길표백 및 염색관련조작원이 되기 위해서는 전문계 고등학교나 직업훈련기관에서 관련 학과를 전공하는 것이 유리하다.
자격증이 꼭 필요하지는 않으나 섬유 관련 자격증이 있으면 취업 시 우대받을 수 있다.
표백 및 염색관련조작원은 대부분 채용 후 사내 직무교육을 받거나 숙련자를 보조하면서 기능을 습득한다.
이들은 섬유제품 제조업체에서 근무한다.
전공해당 데이터가 없습니다.
자격섬유산업기사, 기사, 기술사(국가기술)
양복기능사(국가기술)
양장기능사(국가기술)
염색기능사(국가기술)
임금조사년도:2021년, 임금 하위(25%) 3000만원, 평균(50%) 3574.2만원, 상위(25%) 4200만원
만족도54.3
일자리전망증가(0%) 현상유지(30%) 감소(70%)
업무수행능력고장의 발견.수리(93)/작동 점검(91)/유연성 및 균형(90)/신체적 강인성(89)/장비의 유지(88)
지식화학(85)/상품 제조 및 공정(74)/기계(62)/디자인(42)/의료(41)
업무환경오염물질 노출(99)/위험한 상태 노출(92)/장비 속도에 보조 맞추기(92)/보호장비 착용(87)/다른 사람과 신체적 접촉(86)
성격꼼꼼함(28)/독립성(27)/사회성(23)/적응성/융통성(20)/혁신(16)
흥미현실형(Realistic)(57)/예술형(Artistic)(40)
직업가치관자율(36)/심신의 안녕(35)/성취(33)/고용안정(29)/애국(27)
업무활동 중요도기계장치 제어(98)/기계장비 유지 보수(91)/물건 조종, 운반(70)/일반적인 신체활동(64)/장치, 부품, 장비의 도면 작성, 배치, 지정(60)
업무활동 수준기계장치 제어(98)/기계장비 유지 보수(94)/물건 조종, 운반(75)/장치, 부품, 장비의 도면 작성, 배치, 지정(71)/일반적인 신체활동(68)
관련직업섬유제조기계조작원
직조기 및 편직기조작원
직무개요
  • 섬유의 불순물 및 색소를 제거하거나 색깔을 입히기 위하여 섬유제품을 처리하는 기계를 조작한다.

수행직무
  • 표백을 위해 기계의 공급대 또는 선반대에 천을 배치한 후 기계의 압력과 속도를 조절한다.
  • 천이 기계 안으로 투입되는 것을 관찰하며 잘못된 이음매나 흠을 찾는다.
  • 처리된 직물의 표백상태를 점검한다.
  • 생산품목의 지시된 색상과 수량이 염색처방 및 작업공정과 일치하는지 작업카드를 확인한다.
  • 염색을 위해 기계의 공급대에 천을 배치한 후 기계를 작동시켜 일정한 온도 및 습도에서 염색한다.
  • 염색 과정을 관찰하여 염색 상태가 불량할 경우 필요한 조치를 취한다.
  • 염색이 완료된 후 피염물을 씻고, 탈수 및 건조시킨다.
  • 생산과정·품목수·가동시간·천의 길이 등을 작업표에 기록한다.
  • 염료패드에서 사용한 염료를 폐수처리장으로 이송한다.
임금
임금 정보
하위(25%) 평균(50%) 상위(25%)

만원

만원

만원

직업만족도
  • 표백·염색기조작원에 대한 직업 만족도는 54.3% (백점 기준)입니다.
※ 직업만족도는 해당 직업의 일자리 증가 가능성, 발전가능성 및 고용안정에 대해 재직자가 느끼는 생각을 종합하여 100점 만점으로 환산한 값입니다.

일자리 전망에 대한 재직자 및 전문가의 견해
  • 향후 5년간 표백 및 염색관련조작원의 고용은 다소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 생산시설의 자동화 및 대형화, 생산라인의 해외이전 등의 주요 요인으로 이 분야의 일자리는 늘어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 표백 및 염색관련조작원이 주로 종사하는 섬유제품 제조업의 현황을 보면 섬유제품제조업, 봉제의복 및 모피제품제조업, 가죽, 가방 및 신발제조업의 업체 수와 종사자 수가 지속적으로 감소되고 있어 관련 산업이 정체되었음을 보여주고 있다.
  • 국내의 섬유제조업체들은 생산시설 및 공장시스템을 무인 자동화하여 소수의 인력으로 제품생산이 가능한 체제를 갖추기 위해 노력하고 있어 생산량은 증가할지라도 관련 인력에 대한 수요는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 또한 국내 인건비가 상승함에 따라 생산단가에 있어 경쟁력이 떨어져 인건비가 싼 중국이나 베트남 등으로 생산공장을 이전하고 있어 국내고용에 부정적인 요인이 되고 있다.
  • 특히 봉제, 원사제조, 제직 및 염색가공과 같은 전통적인 섬유산업은 해외 현지생산의 확대로 국내에서 비중이 점점 축소될 것으로 보인다.
  • 섬유산업이 힘들고 어렵다는 인식과 청년층 등의 신규인력 공급이 원활하지 않으며 이·전직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대체일자리가 많아 취업은 비교적 쉬울 것이다.

일자리 전망률
  • 증가 0%
    다소 증가 0%
    유지 30%
    다소 감소 63%
    감소 7%
※ 자료 출처 : 고용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