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탁기계조작원
요약
하는일 | 의류, 섬유직물 및 유사물품을 손으로 세탁 또는 다림질하거나, 세척·세탁하는 기계를 조작한다. |
---|---|
되는길 | 전문계고등학교나 직업훈련기관에서 관련 기술을 배우는 것이 유리하다. 채용 후에는 사내직무교육을 받거나 숙련자를 보조하면서 기능을 습득한다. 주로 직업훈련기관의 추천, 고용지원센터, 생활정보지 등을 활용해 취업하거나 개인적 소개를 통해 채용이 이루어진다. |
전공 | 해당 데이터가 없습니다. |
자격 | 세탁기능사(국가기술) |
임금 | 조사년도:2021년, 임금 하위(25%) 2590만원, 평균(50%) 2900.4만원, 상위(25%) 3315만원 |
만족도 | 52.9 |
일자리전망 | 증가(3%) 현상유지(17%) 감소(80%) |
업무수행능력 | 반응시간과 속도(74)/작동 점검(72)/유연성 및 균형(65)/고장의 발견.수리(62)/신체적 강인성(61) |
지식 | 기계(91)/상품 제조 및 공정(74)/화학(64)/식품생산(44)/의료(38) |
업무환경 | 장비 속도에 보조 맞추기(100)/자동화 정도(99)/몸을 구부리거나 비틀기(98)/소음 노출(98)/걷거나 뛰기(98) |
성격 | 스트레스 감내성(17)/타인에 대한 배려(12)/적응성/융통성(7)/성취/노력(5)/자기통제(4) |
흥미 | 현실형(Realistic)(69)/관습형(Conventional)(60) |
직업가치관 | 애국(47)/개인지향(45)/자율(45)/고용안정(36)/이타(30) |
업무활동 중요도 | 물건 조종, 운반(94)/일반적인 신체활동(92)/기계장치 제어(87)/기계장비 유지 보수(83)/전자장비 유지 보수(68) |
업무활동 수준 | 물건 조종, 운반(93)/일반적인 신체활동(87)/기계장비 유지 보수(77)/기계장치 제어(77)/전자장비 유지 보수(61) |
관련직업 | 제화원 신발제조기계조작원 및 조립원 |
직무개요
- 의류, 섬유직물 및 유사물품을 손으로 세탁 또는 다림질하거나, 세척·세탁하는 기계를 조작한다.
수행직무
- 고객으로부터 의뢰 받은 세탁물을 옷감의 종류에 따라 분류한다.
- 세탁물의 정확한 세탁법과 세탁기계 사용법을 숙지한다.
- 구분된 세탁물을 물과 세제를 사용하여 물세탁을 한 후 건조기를 사용하여 건조하거나 유기용제를 사용하여 드라이크리닝 한다.
- 드라이크리닝 시에는 유기용제의 농도 등을 고려하여 드라이크리닝기를 조작하여 세탁한다.
- 연속식 세탁기(터널세탁기)라고 불리는 대형세탁기에 세탁물을 주기적으로 투입한다.
- 세탁물의 강도나 때의 농도에 따라 세탁시간을 조정하고 세제량을 조절한다.
- 세탁물에 따라 얼룩을 빼거나 특수처리를 한다.
- 세탁이 완료 된 후에는 세탁물의 상태를 확인하고 다림질 한 후에 정리한다.
- 주기적으로 세탁기계 상태를 점검하고 청소한다.
임금
하위(25%) | 평균(50%) | 상위(25%) |
---|---|---|
만원 |
만원 |
만원 |
직업만족도
- 세탁기계조작원에 대한 직업 만족도는 52.9% (백점 기준)입니다.
※ 직업만족도는 해당 직업의 일자리 증가 가능성, 발전가능성 및 고용안정에 대해 재직자가 느끼는 생각을 종합하여 100점 만점으로 환산한 값입니다.
일자리 전망에 대한 재직자 및 전문가의 견해
- 향후 5년간 세탁관련 기계조작원의 고용은 현 상태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 여성의 사회진출이 늘어나고 개성이 중시되면서 세탁을 외부에 맡기거나 의복에 지출하는 비용이 증가하고 있다.
- 또한 의류 및 섬유제품들이 보다 고급화되고 다양한 신소재로 만들어지면서 집에서 세탁하기 힘든 의류가 많아져 세탁소를 이용하는 소비자들이 유지되고 있다.
- 세탁업소의 총 수가 감소 추세로 나타났다.
- 또한 경기 전망이 좋지 않은 상황과 더불어 가정용 세탁장비의 첨단화로 인하여 집에서 세탁물을 직접 세탁하는 사람들이 당분간 증가할 것으로 보이며, 이는 관련 종사자의 고용증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일자리 전망률
- 증가
0%
※ 자료 출처 : 고용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