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제조원

요약
하는일시루떡·인절미·경단·한과 등 각종 한식 떡을 제조하기 위하여 찹쌀·쌀·콩·팥 등의 재료를 분쇄하여 반죽하고 증자·성형하는 장비를 조작하거나 손으로 모양을 만든 후 고물이나 설탕 등 첨가물을 넣고 찌거나 익히는 일을 수행한다.
되는길떡제조원으로 근무하려는 경우 조리학원, 문화센터 등에서 떡, 한과 과정 등을 통해 실무를 교육받을 수 있고 전문대학의 전통음식관련학과에서 이론과 실기를 습득할 수 있다.
떡이나 한과전문점, 식품제조업체 등에서 종사하며 업체에서 떡제조원을 채용 시 학력, 자격취득여부 등의 특별한 제한은 없다.
대개는 숙련된 떡제조원을 보조하면서 현장에서 직접 기술을 습득할 수 있다.
그리고 전통음식을 제공, 서비스하는 업체에 취업하기 위해서는 조리학과를 졸업하거나 조리자격을 갖춘 경우 유리하며 취업 시 자격수당을 주는 곳도 있다.
고용된 떡제조원은 기업체의 승진규정에 따라 승진하게 되고 일정기간 경력과 기술이 쌓이게 되면 떡집 등 개인가게를 직접 창업하거나 음식점을 경영할 수도 있다.
떡제조원은 무엇보다도 날로 까다로워져 가는 소비자의 입맛에 맞는 새로운 제품의 개발과 연구에 노력하여야 한다.
전공해당 데이터가 없습니다.
자격한식조리기능사, 떡제조기능사
임금조사년도:2021년, 임금 하위(25%) 2797만원, 평균(50%) 3500만원, 상위(25%) 4500만원
만족도58.8
일자리전망증가(20%) 현상유지(30%) 감소(50%)
업무수행능력물적자원 관리(89)/신체적 강인성(84)/유연성 및 균형(83)/재정 관리(77)/정교한 동작(74)
지식상품 제조 및 공정(99)/식품생산(99)/영업과 마케팅(99)/고객서비스(97)/경영 및 행정(82)
업무환경주말 및 공휴일 근무(98)/의사결정 가능성(96)/경미한 화상, 자상, 찔림 등 노출(95)/위험한 장비 노출(95)/의사결정 권한(94)
성격인내(94)/신뢰성(85)/꼼꼼함(79)/책임과 진취성(76)/사회성(68)
흥미현실형(Realistic)(50)/예술형(Artistic)(24)
직업가치관자율(65)/고용안정(61)/성취(57)/개인지향(56)/애국(43)
업무활동 중요도물건 조종, 운반(94)/자원 관리(91)/일반적인 신체활동(86)/기계장치 제어(85)/장비, 건축물, 자재 검사(77)
업무활동 수준물건 조종, 운반(87)/자원 관리(86)/장비, 건축물, 자재 검사(76)/기계장치 제어(75)/기계장비 유지 보수(70)
관련직업제과·제빵원
직무개요
  • 시루떡·인절미·경단·한과 등 각종 한식 떡을 제조하기 위하여 찹쌀·쌀·콩·팥 등의 재료를 분쇄하여 반죽하고 증자·성형하는 장비를 조작하거나 손으로 모양을 만든 후 고물이나 설탕 등 첨가물을 넣고 찌거나 익히는 일을 수행한다.

수행직무
  • 제품의 종류에 따라 필요한 재료를 수동저울을 사용하여 계량한다.
  • 상자나 통에 재료를 넣고 물을 투입하여 세척한다.
  • 수동핸들을 돌려 분쇄기의 롤러간격을 조정한다.
  • 분쇄기를 가동하고 호퍼의 배출구를 열어 세척한 재료를 일정한 입도로 분쇄한다.
  • 반죽통에 분쇄한 가루와 소금, 설탕 및 첨가물을 투입한 후 적당한 점도를 가지도록 물이나 계란 등을 넣어 반죽한다.
  • 혼합한 재료를 증자하기 위하여 증자솥에 일정량 넣고 증기밸브를 돌려 증자솥을 가열한다.
  • 일정시간동안 가열하여 증자가 완료되면 뚜껑을 열고 절구에 투입한다.
  • 일정시간 절구질을 하고 견본을 채취하여 떡의 점도와 탄성을 확인한다.
  • 작업대 위에 떡을 올려놓고 제품의 형태에 따라 속을 넣으며, 형틀로 눌러 모양을 만든 후 기름을 바르거나 고물을 묻힌다.
임금
임금 정보
하위(25%) 평균(50%) 상위(25%)

2797만원

3500만원

4500 만원

직업만족도
  • 떡제조원에 대한 직업 만족도는 58.8% (백점 기준)입니다.
※ 직업만족도는 해당 직업의 일자리 증가 가능성, 발전가능성 및 고용안정에 대해 재직자가 느끼는 생각을 종합하여 100점 만점으로 환산한 값입니다.

일자리 전망에 대한 재직자 및 전문가의 견해
  • 향후 15년간 떡제조원의 고용은 현 상태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 고령화 및 1인가구 증가에 따른 맞춤형 소포장 시장이 확대되고, 웰빙전통식품 등에 대한 개발이 적극적으로 이루어지는 점은 수요 증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 하지만 경쟁력 제고와 인건비 절감을 위해 생산설비를 자동화하는 추세이기 때문에 식품 판매액 증가가 곧바로 일자리 증가로 연결되기는 어렵다.
  • 따라서 향후 떡제조원의 고용은 현 상태를 유지하는 선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일자리 전망률
  • 증가 0%
    다소 증가 20%
    유지 30%
    다소 감소 50%
    감소 0%
※ 자료 출처 : 고용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