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육원 및 도축원
요약
하는일 | 가축을 도살·도축하고, 세척·절단·손질 및 가공 처리하여 관련 식품을 제조하며, 건조·염장 등의 보존처리를 한다. |
---|---|
되는길 | 정육원 및 도축원이 되기위해 숙련 종사자로부터 기술을 익히는 경우가 많다. 관련자격으로 식육처리기능사 국가기술자격이 있다. 식육처리기능사는 식육 부위별로 정확하게 분할, 골발, 정향하는 작업을 평가한다. |
전공 | 해당 데이터가 없습니다. |
자격 | 식육가공기사(국가기술) 식육처리기능사(국가기술) |
임금 | 조사년도:2021년, 임금 하위(25%) 3002만원, 평균(50%) 3511.2만원, 상위(25%) 4122만원 |
만족도 | 60.4 |
일자리전망 | 증가(13%) 현상유지(23%) 감소(64%) |
업무수행능력 | 신체적 강인성(95)/정교한 동작(79)/움직임 통제(78)/장비의 유지(75)/물적자원 관리(73) |
지식 | 식품생산(99)/상품 제조 및 공정(94)/영업과 마케팅(88)/고객서비스(79)/생물(75) |
업무환경 | 위험한 장비 노출(100)/의사결정 가능성(99)/장비 속도에 보조 맞추기(97)/의사결정 권한(97)/실수의 심각성(97) |
성격 | 정직성(64)/타인에 대한 배려(49)/자기통제(46)/리더십(43)/독립성(41) |
흥미 | 현실형(Realistic)(95)/사회형(Social)(88) |
직업가치관 | 개인지향(73)/경제적 보상(47)/자율(43)/고용안정(22)/애국(19) |
업무활동 중요도 | 물건 조종, 운반(93)/일반적인 신체활동(92)/기계장치 제어(81)/기계장비 유지 보수(38)/업무상 사람들을 직접 응대(35) |
업무활동 수준 | 물건 조종, 운반(88)/일반적인 신체활동(87)/기계장치 제어(82)/기계장비 유지 보수(41)/사람들에게 영향력 행사(31) |
관련직업 | 김치·밑반찬 제조종사원 식품·담배등급원 |
직무개요
- 가축을 도살·도축하고, 세척·절단·손질 및 가공 처리하여 관련 식품을 제조하며, 건조·염장 등의 보존처리를 한다.
수행직무
- [가축해체원] 모노레일(monorail)이나 컨베이어(conveyer)에 거꾸로 걸려있는 가축의 머리, 다리, 항문 및 엉덩이, 앞가슴을 절단하고 가죽을 벗기며, 복부를 절개하여 내장을 적출한다.
- [가축세척원] 도축된 가축의 오염부위를 찾아 분리제거하고, 겉과 안에 부착되어 있는 혈액과 오염물을 씻어낸다.
- [골발작업원] 육가공품을 제조하거나 포장육으로 판매하기 위하여 돼지의 식용 또는 소시육을 부위별로 해체한다.
- [육류포장원] 골발 및 정선공정을 마친 정선육을 사양에 따라 진공 포장 또는 비닐 포장을 하고 냉동실로 운반한다.
- [가금육가공원] 부위별로 가공된 가금육(닭, 오리 등)에 튀김가루를 입혀 기름에 튀기거나 훈제하는 업무를 수행한다.
임금
하위(25%) | 평균(50%) | 상위(25%) |
---|---|---|
만원 |
만원 |
만원 |
직업만족도
- 정육원 및 도축원에 대한 직업 만족도는 60.4% (백점 기준)입니다.
※ 직업만족도는 해당 직업의 일자리 증가 가능성, 발전가능성 및 고용안정에 대해 재직자가 느끼는 생각을 종합하여 100점 만점으로 환산한 값입니다.
일자리 전망에 대한 재직자 및 전문가의 견해
- 향후 5년간 정육원 및 도축원의 고용은 다소 감소할 전망이다.
- 삶의 질과 웰빙을 강조하면서 고기보다는 야채나 생선을 찾는 경향이 갈수록 강해지고 있다.
- 또한, 소비자들이 대형마트에서 포장한 고기를 많이 구입하기 때문에 정육원 및 도축원이 많이 근무할 수 있는 소규모 정육점이 줄고 있으며 모든 생산과정이 기계화에 많이 의존하여 정육 및 도축원의 일이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일자리 전망률
- 증가
0%
※ 자료 출처 : 고용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