곡물가공제품기계조작원
요약
하는일 | 밀가루, 코코아 및 기타 성분으로부터 라면, 과자, 국수, 빵, 초콜릿 등의 제품을 제조하는 기기를 조작한다. |
---|---|
되는길 | 곡물가공제품기계조작원이 되는데 특별한 학력 제한은 없으며, 기계조작에 대한 감각이 있으면 취업 시 유리하다. 또한 자격증이 꼭 필요하지는 않지만 식품기사, 조리사 등 관련 자격증이 있으면 취업 시 우대를 받는다. 대개 취업 후에는 회사 내에서 사내직무교육을 받거나 숙련공 밑에서 현장경험을 쌓으면서 기능을 익히게 된다. 이밖에 제분 및 도정관련기계조작원이 다루어야 하는 생산설비 중에는 수입장비도 있기 때문에 외국어 독해능력이 있으면 좋고, 작업 중 기계고장을 수리할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하다. 이들은 대개 곡물 가공품 제조업체에서 근무한다. |
전공 | 해당 데이터가 없습니다. |
자격 | 식품가공기능사(국가기술) |
임금 | 조사년도:2021년, 임금 하위(25%) 2749만원, 평균(50%) 3108만원, 상위(25%) 3875만원 |
만족도 | 60.7 |
일자리전망 | 증가(3%) 현상유지(20%) 감소(76%) |
업무수행능력 | 고장의 발견.수리(90)/작동 점검(90)/조작 및 통제(90)/장비의 유지(84)/장비 선정(75) |
지식 | 식품생산(100)/상품 제조 및 공정(96)/기계(95)/화학(46)/물리(38) |
업무환경 | 서서 근무(96)/자동화 정도(95)/사물, 도구, 조종 장치를 다루기 위해 손사용(92)/보호장비 착용(92)/경미한 화상, 자상, 찔림 등 노출(91) |
성격 | 리더십(10)/분석적 사고(8)/타인에 대한 배려(6)/협조(5)/혁신(3) |
흥미 | 현실형(Realistic)(82)/예술형(Artistic)(33) |
직업가치관 | 다양성(28)/신체활동(22)/심신의 안녕(15)/경제적 보상(14)/자율(14) |
업무활동 중요도 | 기계장치 제어(96)/기계장비 유지 보수(95)/물건 조종, 운반(91)/일반적인 신체활동(78)/차량, 기계, 장비 작동(78) |
업무활동 수준 | 기계장비 유지 보수(95)/기계장치 제어(92)/물건 조종, 운반(88)/장비, 건축물, 자재 검사(78)/차량, 기계, 장비 작동(73) |
관련직업 | 육류·어패류·낙농품가공기계조작원 제분·도정기계조작원 과실·채소기계조작원 음료제조기계조작원 |
직무개요
- 밀가루, 코코아 및 기타 성분으로부터 라면, 과자, 국수, 빵, 초콜릿 등의 제품을 제조하는 기기를 조작한다.
수행직무
- 작업표준에 따라 배합원료와 배합비를 확인한 후 원료(밀가루, 소금, 물, 포도당, 효모, 계란분 등)를 운반한다.
- 혼합기의 호퍼(hopper)에 준비된 원료를 일정 비율로 투입한다.
- 교반기를 가동하여 원료를 균일하게 혼합한다.
- 혼합이 완료되면 견본을 채취하여 색, 반죽 정도 등을 검사하고, 제품표준과 비교한 후 이후 공정(성형공정, 발효공정 등)으로 이송한다.
- 제조하려는 라면의 종류에 따라 롤러를 교체하고, 면발 규격에 맞추기 위해 롤러의 간격을 조절한다.
- 이전 공정(배합공정)에서 배합된 라면 반죽을 롤러를 이용해 얇게 눌러펴서 면대(sheet)를 만든다.
- 면대를 제면기를 이용하여 국수 모양(국수발)으로 만들면서, 컨베이어 벨트의 속도를 조절해 라면 특유의 꼬불꼬불한 면발 형태를 만든다.
- 라면의 웨이브(꼬부라진 정도, wave)가 적당한지 제품 표준과 비교한다.
임금
하위(25%) | 평균(50%) | 상위(25%) |
---|---|---|
2749만원 |
3108만원 |
3875 만원 |
직업만족도
- 곡물가공제품기계조작원에 대한 직업 만족도는 60.7% (백점 기준)입니다.
※ 직업만족도는 해당 직업의 일자리 증가 가능성, 발전가능성 및 고용안정에 대해 재직자가 느끼는 생각을 종합하여 100점 만점으로 환산한 값입니다.
일자리 전망에 대한 재직자 및 전문가의 견해
- 향후 5년간 곡물가공제품기계조작원의 고용은 다소 감소할 전망이다.
- 음식료 및 식품가공 분야는 사람이 먹는 음식을 제조·가공하는 분야로서 식품 등의 품질이 균일해야 할 뿐만 아니라 위생적이어야 한다.
- 이에 따라 우리나라에서는 식품제조업체가 자율적으로 위생수준을 높이고 농약, 방사선 등 새로운 위해요인에 대응하기 위한 과학적 위생관리체계인 식품위해요소 중점관리기준(HACCP)을 도입·적용하고 있다.
- 그러나 공정의 자동화·기계화와 가동률이 떨어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식품가공 분야는 사람의 식생활과 밀접히 관련되기 때문에 경기에 덜 민감한 편이어서 일자리는 소폭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일자리 전망률
- 증가
0%
※ 자료 출처 : 고용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