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류·어패류·낙농품가공기계조작원

요약
하는일육류, 어류를 가공·처리하여 제품을 제조하는 기계 및 치즈나 크림, 기타 낙농제품을 가공하는 기계를 조작한다.
되는길육류·어패류 및 낙농품가공기계조작원이 되는 데 필요한 별도의 교육이나 훈련은 없으나 기계조작에 대한 감각이 있으면 취업 시 유리하다.
또한, 자격증이 꼭 필요하지는 않지만 조리사 등 관련 자격증 소지자를 우대하는 기업도 있다.
취업 후 사내 직무교육을 받거나 숙련 기계조작원에 의한 지시를 받아 현장경험을 쌓아서 기능을 익힌다.
기계 고장 시에는 이를 신속하게 발견하고 수리할 수 있는 능력도 필요하다.
전공해당 데이터가 없습니다.
자격식육가공기사(국가기술)
식품가공기능사(국가기술)
임금조사년도:2021년, 임금 하위(25%) 2901만원, 평균(50%) 3315.2만원, 상위(25%) 3817만원
만족도60.8
일자리전망증가(6%) 현상유지(36%) 감소(56%)
업무수행능력유연성 및 균형(90)/신체적 강인성(88)/조작 및 통제(87)/정교한 동작(87)/움직임 통제(86)
지식식품생산(100)/상품 제조 및 공정(91)/기계(83)/생물(68)/공학과 기술(25)
업무환경위험한 장비 노출(100)/서서 근무(99)/경미한 화상, 자상, 찔림 등 노출(97)/사물, 도구, 조종 장치를 다루기 위해 손사용(94)/균형을 유지하기(93)
성격협조(2)/인내(2)/분석적 사고(2)/리더십(1)/자기통제(1)
흥미현실형(Realistic)(50)/예술형(Artistic)(19)
직업가치관개인지향(46)/심신의 안녕(25)/타인에 대한 영향(22)/성취(22)/지적 추구(21)
업무활동 중요도기계장치 제어(85)/물건 조종, 운반(82)/기계장비 유지 보수(76)/일반적인 신체활동(65)/장비, 건축물, 자재 검사(57)
업무활동 수준기계장치 제어(86)/물건 조종, 운반(85)/기계장비 유지 보수(85)/일반적인 신체활동(77)/장비, 건축물, 자재 검사(74)
관련직업제분·도정기계조작원
곡물가공제품기계조작원
과실·채소기계조작원
음료제조기계조작원
직무개요
  • 육류, 어류를 가공·처리하여 제품을 제조하는 기계 및 치즈나 크림, 기타 낙농제품을 가공하는 기계를 조작한다.

수행직무
  • 육류 및 어류를 통조림하는 기계 또는 냉동하는 기계를 조작한다.
  • 우유와 크림을 저온살균, 균질화 및 가열 처리하는 기계를 조작한다.
  • 연유, 분유 제조기를 조작한다.
  • 버터, 치즈, 기타 우유 또는 조제분유 제조용 기계를 조작한다.
임금
임금 정보
하위(25%) 평균(50%) 상위(25%)

만원

만원

만원

직업만족도
  • 육류·어패류·낙농품가공기계조작원에 대한 직업 만족도는 60.8% (백점 기준)입니다.
※ 직업만족도는 해당 직업의 일자리 증가 가능성, 발전가능성 및 고용안정에 대해 재직자가 느끼는 생각을 종합하여 100점 만점으로 환산한 값입니다.

일자리 전망에 대한 재직자 및 전문가의 견해
  • 향후 5년간 육류·어패류 및 낙농품가공기계조작원의 고용은 다소 감소할 전망이다.
  • 식품제조분야는 상대적으로 경기에 덜 민감한 분야이고 먹거리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기 때문에 식품관련 사업체 수나 종사자 수의 급격한 증가나 감소는 없는 것이 일반적이다.
  • 하지만 FTA의 영향으로 외국에서 들어오는 육류, 어패류 그리고 낙농품 등이 가공된 상태로 들어오기 때문에 수요가 줄 가능성이 있다.

일자리 전망률
  • 증가 0%
    다소 증가 7%
    유지 37%
    다소 감소 57%
    감소 0%
※ 자료 출처 : 고용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