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분·도정기계조작원

요약
하는일인간 또는 동물소비용 곡물, 양념 및 관련 식료품을 분쇄·마쇄·혼합 등의 방법으로 가공하는 기계를 조작한다.
되는길제분 및 도정관련기계조작원이 되는 데 특별한 학력 제한은 없으며 기계조작에 대한 감각이 있으면 취업 시 유리하다.
또한 자격증이 꼭 필요하지는 않지만 식품기사, 조리사 등 관련 자격증이 있으면 취업 시 우대를 받는다.
대개 취업 후에는 회사 내에서 사내직무교육을 받거나 숙련공 밑에서 현장경험을 쌓으면서 기능을 익히게 된다.
이밖에 제분 및 도정관련기계조작원이 다루어야 하는 생산설비 중에는 수입장비도 있기 때문에 외국어독해능력이 있으면 좋고, 작업 중 기계고장을 수리할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하다.
전공해당 데이터가 없습니다.
자격식품가공기능사(국가기술)
임금조사년도:2021년, 임금 하위(25%) 2900만원, 평균(50%) 3281.7만원, 상위(25%) 3730만원
만족도59.8
일자리전망증가(3%) 현상유지(23%) 감소(73%)
업무수행능력작동 점검(92)/고장의 발견.수리(92)/조작 및 통제(91)/장비 선정(88)/장비의 유지(87)
지식상품 제조 및 공정(100)/기계(99)/식품생산(84)/공학과 기술(68)/건축 및 설계(24)
업무환경소음 노출(96)/서서 근무(93)/주말 및 공휴일 근무(93)/마감시간(91)/장비 속도에 보조 맞추기(83)
성격정직성(43)/자기통제(33)/신뢰성(32)/성취/노력(30)/독립성(29)
흥미현실형(Realistic)(53)/사회형(Social)(52)
직업가치관고용안정(55)/경제적 보상(41)/심신의 안녕(25)/신체활동(22)/이타(15)
업무활동 중요도기계장치 제어(95)/기계장비 유지 보수(89)/물건 조종, 운반(84)/일반적인 신체활동(74)/장비, 건축물, 자재 검사(73)
업무활동 수준기계장치 제어(90)/기계장비 유지 보수(90)/물건 조종, 운반(76)/장비, 건축물, 자재 검사(69)/일반적인 신체활동(66)
관련직업육류·어패류·낙농품가공기계조작원
곡물가공제품기계조작원
과실·채소기계조작원
음료제조기계조작원
직무개요
  • 인간 또는 동물소비용 곡물, 양념 및 관련 식료품을 분쇄·마쇄·혼합 등의 방법으로 가공하는 기계를 조작한다.

수행직무
  • 분쇄할 곡물의 종류와 건조상태에 따라 제분기의 롤러의 간격이나 날의 방향을 조절한다.
  • 제분기의 호퍼(hopper : 곡물 등을 아래로 떨어뜨리기 위한 깔대기 모양의 장치)에 곡물을 투입하고, 제분기를 가동하여 곡물을 분쇄한다.
  • 제분된 곡물의 견본을 채취하여 입자 크기를 측정한다.
  • 작업이 완료되면 원료의 투입량을 기록하고 분쇄된 입자의 굵기, 품질, 중량 등을 작업일지에 기록한다.
  • 도정할 곡물의 견본을 채취하여 수분 함량, 곡물의 크기 등을 확인한다.
  • 정미기의 도정도(搗精度: 쌀에서 겨가 깎여나간 정도)를 맞추기 위하여 분동추의 마찰압력을 조절한다.
  • 곡물의 이물질을 제거하고 기계설비를 점검한 후 기계를 가동한다.
  • 도정이 완료된 곡물의 견본을 채취하여 도정도를 확인하고, 저장탱크로 운반하기 위하여 버킷컨베이어(bucket conveyor)를 가동한다.
  • 작업이 완료되면 기계의 각 부위에 기름을 치고 파손되거나 낡은 기계부품을 수리한다.
임금
임금 정보
하위(25%) 평균(50%) 상위(25%)

만원

만원

만원

직업만족도
  • 제분·도정기계조작원에 대한 직업 만족도는 59.8% (백점 기준)입니다.
※ 직업만족도는 해당 직업의 일자리 증가 가능성, 발전가능성 및 고용안정에 대해 재직자가 느끼는 생각을 종합하여 100점 만점으로 환산한 값입니다.

일자리 전망에 대한 재직자 및 전문가의 견해
  • 향후 5년간 제분 및 도정관련기계조작원의 고용은 현 상태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 음식료 및 식품가공 분야는 사람이 먹는 음식을 제조·가공하는 분야로서 식품 등의 품질이 균일해야 할 뿐만 아니라 위생적이어야 한다.
  • 이에 따라 우리나라에서는 식품제조업체가 자율적으로 위생수준을 높이고 농약, 방사선 등 새로운 위해요인에 대응하기 위한 과학적 위생관리체계인 식품위해요소 중점관리기준(HACCP)을 도입·적용하고 있다.
  • 식품위해요소 중점관리기준 도입은 가공식품 제조공정의 규격화를 가져오게 되고 식품제조 시설의 기계화, 자동화를 가져오게 되므로 관련인력의 감축이 예상되고 있다.
  • 이외에도 식품가공 공장들이 중국, 동남아 등으로 이전하고 있어 국내인력의 감소요인이 되고 있다.

일자리 전망률
  • 증가 0%
    다소 증가 3%
    유지 23%
    다소 감소 60%
    감소 13%
※ 자료 출처 : 고용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