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부 및 해녀
요약
하는일 | 내륙 및 연안에서 물고기를 잡거나 기타 수생 동·식물들을 포획한다. |
---|---|
되는길 | 어부 및 해녀가 되는 데 반드시 필요한 교육이나 훈련은 없다. 숙련 종사자를 보조하면서 관련 실무경력을 쌓는 것이 좋으며, 수산(해양)고등학교 및 수산해양대학의 관련 학과에서 해양생태계, 수산생물의 질병 및 치료 등을 배우면 업무수행에 도움이 된다. |
전공 | 해당 데이터가 없습니다. |
자격 | 해당 데이터가 없습니다. |
임금 | 조사년도:2021년, 임금 하위(25%) 1865만원, 평균(50%) 2443.2만원, 상위(25%) 3108만원 |
만족도 | 60.7 |
일자리전망 | 증가(3%) 현상유지(7%) 감소(90%) |
업무수행능력 | 유연성 및 균형(99)/공간지각력(96)/신체적 강인성(96)/시력(95)/정교한 동작(89) |
지식 | 식품생산(100)/생물(100)/지리(100)/운송(75)/경영 및 행정(75) |
업무환경 | 규칙적인 근무(100)/몸을 구부리거나 비틀기(100)/장비 속도에 보조 맞추기(100)/균형을 유지하기(100)/걷거나 뛰기(100) |
성격 | 성취/노력(85)/인내(53)/책임과 진취성(41)/리더십(32)/타인에 대한 배려(29) |
흥미 | 현실형(Realistic)(69)/탐구형(Investigative)(14) |
직업가치관 | 개인지향(97)/자율(89)/애국(67)/고용안정(58)/성취(54) |
업무활동 중요도 | 일반적인 신체활동(98)/물건 조종, 운반(87)/자원 관리(81)/업무상 사람들을 직접 응대(69)/장비, 건축물, 자재 검사(69) |
업무활동 수준 | 일반적인 신체활동(95)/물건 조종, 운반(91)/자원 관리(78)/업무상 사람들을 직접 응대(76)/장비, 건축물, 자재 검사(74) |
관련직업 | 양식원 |
직무개요
- 내륙 및 연안에서 물고기를 잡거나 기타 수생 동·식물들을 포획한다.
수행직무
- [봉수망어선원] 불빛을 좋아하는 습성을 가진 꽁치 등의 어류를 봉수망으로 유인하여 물고기를 잡는다.
- [선망어선원] 선망(旋網, surrounding net, 두릿그물)을 사용하여 고등어, 다랑어 등의 물고기를 잡는다.
- [어업잠수부] 잠수복·수중호흡기를 착용하거나 공기주입선이 달려있는 수중복을 착용하고 해저에서 해면·전복·해삼·성게 등의 패류·해조류를 채취한다.
- [연승어선원] 여러 개의 낚시를 매달은 낙시줄(연승, 주낙)을 얼레에 감아 물살을 따라서 감기와 풀기를 반복하여 고기를 잡는다.
- [인망어선원] 원추형 또는 원통형 자루 모양의 어망(인망, 끌그물)을 수평방향으로 이동시켜 어군을 인망으로 유인하여 포획한다.
- [자망어선원] 어류의 회유로(回遊路)에 자망을 설치하여 물고기를 잡는다.
- [잠수기어선원] 잠수부를 보조하여 패류·해조류를 채취한다.
- [정치망어선원] 어장의 일정한 장소에 정치망을 일정 기간 설치하여 어망에 들어온 물고기를 잡는다.
- [채낚기어선원] 바늘이 없는 낚시 여러 개를 달아맨 낚시줄을 사용하여 오징어 등의 어류를 포획한다.
- [통발어선원] 어류가 좋아하는 습성을 이용하거나 또는 미끼로 유인하여 대나무나 그물로 만든 함정(통발)에 빠뜨려 어류를 포획한다.
- [트롤어선원] 원추형 또는 원통형 자루 모양의 어망(인망, 끌그물)을 수평방향으로 이동시켜 어군을 어망으로 유인하여 포획한다.
임금
하위(25%) | 평균(50%) | 상위(25%) |
---|---|---|
만원 |
만원 |
만원 |
직업만족도
- 어부 및 해녀에 대한 직업 만족도는 60.7% (백점 기준)입니다.
※ 직업만족도는 해당 직업의 일자리 증가 가능성, 발전가능성 및 고용안정에 대해 재직자가 느끼는 생각을 종합하여 100점 만점으로 환산한 값입니다.
일자리 전망에 대한 재직자 및 전문가의 견해
- 향후 5년간 어부 및 해녀의 고용은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 어업은 어장 환경오염으로 자원이 감소하고 증산위주의 정책으로 남획이 많았기 때문에 어획량이 전반적으로 줄어드는 반면 WTO 협상과 FTA 등 국제여건 변화로 수산물 수입이 증가함에 따라 국내 수산물의 경쟁력이 갈수록 약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 또한, 어획량 부진, 어업비용 상승, 어업 종사자의 고령화, 저임금 외국인 근로자의 유입 등으로 어업전반의 경영악화가 심각해지면서 어부 및 해녀의 고용은 지속적으로 감소할 것으로 보인다.
- 따라서 새로운 양식품목의 적극적인 개발, 바다목장과 같은 최첨단 기술도입, 수산물직거래 시스템구축 등을 통해 어업경영 개선을 위한 노력이 적극적으로 필요하다.
- 그러나 어부, 해녀와 같은 직업에 대한 청년층의 선호도가 낮은 편이어서 향후 신규 고용창출은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일자리 전망률
- 증가
0%
※ 자료 출처 : 고용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