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이제품생산기계조작원

요약
하는일종이가방, 상자, 봉투, 골판지 상자 등과 같은 종이제품을 제조하기 위하여 각종 기기를 조작한다.
되는길종이제품생산기 조작원이 되기 위해서 특별한 자격을 요하지 않는다.
통상 고졸이상의 학력을 요구하며 기계 등 관련학과 전공자나 경력자는 취업에 유리하다.
주로 종이백, 상장 등 종이제품 제조 업체 등에서 근무하여 교대제로 근무한다.
전공해당 데이터가 없습니다.
자격임산가공기능사, 산업기사(국가기술)
펄프제지기능사(국가기술)
임금조사년도:2021년, 임금 하위(25%) 2880만원, 평균(50%) 3357.6만원, 상위(25%) 3730만원
만족도61
일자리전망증가(0%) 현상유지(60%) 감소(40%)
업무수행능력조작 및 통제(94)/고장의 발견.수리(92)/작동 점검(91)/반응시간과 속도(89)/움직임 통제(89)
지식기계(94)/상품 제조 및 공정(89)/공학과 기술(55)/안전과 보안(41)/의사소통과 미디어(36)
업무환경위험한 장비 노출(93)/장비 속도에 보조 맞추기(93)/소음 노출(91)/서서 근무(86)/보호장비 착용(78)
성격협조(66)/타인에 대한 배려(55)/리더십(53)/적응성/융통성(50)/사회성(50)
흥미관습형(Conventional)(71)/현실형(Realistic)(40)
직업가치관고용안정(32)/경제적 보상(29)/개인지향(21)/심신의 안녕(19)/신체활동(14)
업무활동 중요도기계장치 제어(97)/물건 조종, 운반(91)/차량, 기계, 장비 작동(91)/장치, 부품, 장비의 도면 작성, 배치, 지정(89)/기계장비 유지 보수(82)
업무활동 수준기계장치 제어(97)/물건 조종, 운반(95)/차량, 기계, 장비 작동(93)/장치, 부품, 장비의 도면 작성, 배치, 지정(91)/일반적인 신체활동(88)
관련직업목재가공기계조작원
펄프·종이제조장치조작원
직무개요
  • 종이가방, 상자, 봉투, 골판지 상자 등과 같은 종이제품을 제조하기 위하여 각종 기기를 조작한다.

수행직무
  • [골판지제조원] 골판지제조를 위하여 합지기, 접착기 등의 각종 설비를 조작·관리한다.
  • [발포제도포기조작원] 발포벽지 제조를 위하여 발포제를 원지에 도포하는 기계를 조작한다.
  • [위생대가공설비조작원] 기저귀·생리대와 같은 위생대의 형태로 성형된 반제품을 완성품으로 가공하는 설비를 조작한다.
  • [위생대성형설비조작원] 기저귀·생리대와 같은 위생대 제품을 제조하기 위하여 일정한 형태로 모양을 성형하는 가공설비를 조작한다.
  • [인쇄타발기조작원] 종이컵·종이접시·우유팩 등과 같은 각종 지기제조용 블랭크(blank)를 제조하기 위하여 코팅 처리된 원지를 지시된 규격으로 재단하고 인쇄하기 위한 인쇄·타발기를 조작한다.
  • [접착기조작원] 규격별로 절곡·절단된 종이타발제품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접착하는 기계를 조작한다.
  • [제대기조작원] 규격별로 절곡·절단되어 타발된 종이 반제품을 각종 지대(紙袋: 봉투) 및 가방으로 제조하는 제대기를 조작한다.
  • [제함기조작원] 생산된 제품을 포장하기 위하여 포장용 상자를 만들어 제공하는 제함기(製函, 종이 따위로 상자를 만드는 기계)를 조작한다.
  • [제호설비조작원] 골판지·지관 등의 종이제품제조에 사용되는 접착용 풀을 제조하기 위하여 제호설비를 관리·조작한다.
  • [종이제품재단기조작원] 지대·상자 및 기타 종이제품을 제조하기 위하여 종이원단을 규격에 맞추어 절단하기 위하여 재단기를 조작한다.
  • [주름성형기조작원] 골판지의 내지(內紙)로 사용되는 주름(골)종이를 제조하는 기계를 조작한다.
  • [지관제조기조작원] 규격별로 재단된 종이원단을 이용하여 지관(紙管)을 제조하기 설비를 조작한다.
  • [지사벽지제조기조작원] 종이를 꼬아 엮어 지사벽지를 생산하기 위한 원단을 만드는 일을 한다.
  • [측면접착기조작원] 종이상자(카톤팩)를 제조하기 위하여 중간재인 블랭크(blank)의 측면을 열로 가열하여 접착하는 설비를 조작한다.
  • [컷팅기조작원] 제조된 지관(紙管) 등의 종이제품을 규정된 규격으로 절단하는 컷팅기를 조작한다.
  • [타발기조작원] 각종 종이상자 및 봉투 등 종이제품을 생산하기 위하여 규정된 형상으로 절단·절곡하는 타발기를 조작한다.
  • [합지기조작원] 각종 종이제품을 제조하기 위하여 각각 특성이 다른 종이 및 기타 재료를 합쳐주는 합지기 및 관련 설비를 조작한다.
  • [화장지가공설비조작원] 각종 형태의 화장지로 제조하기 위하여 가공하는 설비를 조작한다.
임금
임금 정보
하위(25%) 평균(50%) 상위(25%)

만원

만원

만원

직업만족도
  • 종이제품생산기계조작원에 대한 직업 만족도는 61% (백점 기준)입니다.
※ 직업만족도는 해당 직업의 일자리 증가 가능성, 발전가능성 및 고용안정에 대해 재직자가 느끼는 생각을 종합하여 100점 만점으로 환산한 값입니다.

일자리 전망에 대한 재직자 및 전문가의 견해
  • 향후 5년간 종이제품생산기조작원의 고용은 현상태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 중장기 인력수급 수정전망 2015~2025」(한국고용정보원, 2016)에 따르면, 2015년 종이제품생산기조작원은 21천명으로 향후 5년간(2015-2020) 1천명 정도 수준에서, 그리고 그 이후에는(2020-2025) 일자리 증가가 없을 것으로 전망되었다.
  • 판지제지업이 포함된 제지산업은 이미 성숙기에 들어서서 신규 일자리 창출이 쉽지 않다.
  • 온라인 쇼핑 및 택배시장의 확대로 골판지 분야에서 긍정적인 면도 있지만 인건비 상승과 공장 자동화로 인력수요 전망도 밝지 못한 편이다.
  • 중국, 동남아 등 개발도상국들의 저가공세 또한 고용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 단, 개도국의 경우 높은 경제성장이 기대되고 인구대비 종이, 판지 소비수준이 선진국에 비해 낮은 수준이어서 수요확대 여력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일자리 전망률
  • 증가 0%
    다소 증가 0%
    유지 60%
    다소 감소 37%
    감소 3%
※ 자료 출처 : 고용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