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용소프트웨어개발자
요약
하는일 | 각종 응용분야의 컴퓨터 소프트웨어를 설계하고 개발한다. |
---|---|
되는길 | 응용소프트웨어개발자가 되기 위해서는 전문대학 및 대학교의 컴퓨터공학과, 전산(공학)과 등의 관련 학과를 졸업하는 것이 유리하다. 비전공자는 사설교육기관에서 C언어, 자바, 비주얼스튜디오, 델파이, 파워빌더 등 프로그래밍 언어 등을 배우고 진출한다. 최근에 대학에서는 소프트웨어와 관련한 별도의 학과들이 개설되고 있다. 이들 학과에서는 소프트웨어공학, 프로그램언어, 운영체제, 데이터베이스, 자료구조를 비롯해 실제 응용소프트웨어 개발 실습을 한다. |
전공 | 경영학과 공학교육과 교육학과 물리·과학과 수학과 응용소프트웨어공학과 전자공학과 정보·통신공학과 제어계측공학과 컴퓨터공학과 통계학과 |
자격 | MCSD(외국) MCSE(외국) SCJP(외국) 리눅스마스터(국가공인 민간) 전자계산기조직응용기사, 기술사(국가기술) 전자계산조직응용기사, 기술사(국가기술) 정보처리기능사, 산업기사, 기사(국가기술) |
임금 | 조사년도:2021년, 임금 하위(25%) 3315만원, 평균(50%) 3729.6만원, 상위(25%) 4610만원 |
만족도 | 68.9 |
일자리전망 | 증가(66%) 현상유지(20%) 감소(14%) |
업무수행능력 | 기술 분석(100)/전산(100)/기술 설계(99)/조직체계의 분석 및 평가(98)/추리력(96) |
지식 | 컴퓨터와 전자공학(98)/통신(94)/산수와 수학(93)/영어(86)/공학과 기술(82) |
업무환경 | 앉아서 근무(93)/재택근무(92)/이메일 이용하기(87)/마감시간(79)/반복적인 신체행동, 정신적 활동(77) |
성격 | 꼼꼼함(87)/분석적 사고(78)/혁신(69)/성취/노력(69)/책임과 진취성(67) |
흥미 | 관습형(Conventional)(83)/진취형(Enterprising)(62) |
직업가치관 | 성취(100)/다양성(98)/이타(93)/신체활동(92)/지적 추구(87) |
업무활동 중요도 | 창조적 생각(99)/컴퓨터 업무(99)/새로운 지식의 습득, 활용(89)/의사 결정, 문제점 해결(86)/정보 수집(85) |
업무활동 수준 | 창조적 생각(99)/컴퓨터 업무(96)/새로운 지식의 습득, 활용(93)/조직 외부인과 소통(91)/사람들에게 조언, 상담(91) |
관련직업 | 시스템소프트웨어개발자 가상현실전문가 게임프로그래머 모바일앱개발자 웹개발자 웹기획자 IT테스터 및 IT QA전문가 |
직무개요
- 각종 응용분야의 컴퓨터 소프트웨어를 설계하고 개발한다.
수행직무
- 응용소프트웨어의 개발 범위와 목표를 설정한다.
- 소프트웨어를 개발·완성시키기 위한 전체적인 개발 계획과 자원 조달 계획을 편성한다.
- 응용시스템에 대한 정보보호의 방법과 계획을 설정한다.
- 소프트웨어의 세부적인 기능 및 사양에 관한 상세 설계를 한다.
- 상세 설계에 따라서 단위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개발된 여러 프로그램들을 모아서 응용시스템으로 결합시킨다.
- 해당 컴퓨터시스템에 개발된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기능 및 성능을 종합적으로 평가·분석한다.
- 패키지성의 개발 소프트웨어에 대해서는 체계적인 버전관리를 한다.
- 테스트를 통해 버그를 수정한다.
- 응용소프트웨어에 대한 사용자의 운영 교육과 기술을 지원한다.
임금
하위(25%) | 평균(50%) | 상위(25%) |
---|---|---|
만원 |
만원 |
만원 |
직업만족도
- 응용소프트웨어개발자에 대한 직업 만족도는 68.9% (백점 기준)입니다.
※ 직업만족도는 해당 직업의 일자리 증가 가능성, 발전가능성 및 고용안정에 대해 재직자가 느끼는 생각을 종합하여 100점 만점으로 환산한 값입니다.
일자리 전망에 대한 재직자 및 전문가의 견해
- 향후 5년간 응용소프트웨어개발자의 고용은 다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 「중장기 인력수급 수정전망 2015~2025」(한국고용정보원, 2016)에 따르면, 응용소프트웨어개발자는 2015년 약 155천명에서 2025년 약 202천 명으로 향후 10년간 약 47천 1백 명(연평균 2.7%)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 통계청의 전국사업체조사 자료에 의하면, 2014년 기준으로 응용소프트웨어개발자가 근무할 것으로 예상되는 컴퓨터프로그래밍 서비스업 사업체는 4,658개소로 2008년 1,601개소에 비해 190.9% 증가하였고, 관련 산업의 종사자는 2008년 14,623명에서 2014년 32,582명으로 122.8% 정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 정보통신산업진흥원(2016) 「글로벌 상용 SW 백서」에 따르면, 응용소프트웨어 국내시장의 매출액은 영상처리, CG/VR, 콘텐츠배포, 자연어처리, 음성처리, 기업용SW 등으로 구성되며, 2015년 약 18조 8,499억 원에서 2019년 약 29조 4,831억 원 규모로 56.4%%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 구체적으로, 국내 가상현실 시장은 ’14년 약 5조 3천억 원 수준에서 ’18년에는 약 7조 8천억 원 규모로 커져, 연평균 11.1%의 높은 성장률이 기대되고, 국내 디지털콘텐츠 시장은 영화, 애니메이션, 방송, 게임 분야의 높은 수요에 힘입어 2015년 34조 4,662억 원 규모로 추정되고, 향후 5년간 11.41%의 평균증가율로 2020년 59조 1,509억 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 최근 들어 모바일 환경, 클라우드 서비스, 소셜네트워킹, 빅데이터 분석 기술을 토대로 한 IT 산업의 차세대 플랫폼인 "제3의 플랫폼"(3rd Platform)이 소프트웨어 시장의 성장 동력으로 손꼽히고 있으며, 소프트웨어 업계는 클라우드, 소셜 네트워크, 빅데이터 분석, 모바일 환경에 대한 대비 전략을 확장해나가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 최근 빅데이터, 온라인 광고, M2M, NFC, 소셜커머스, 디지털콘텐츠 제작·유통 등 새로운 IT서비스를 통한 고용 창출의 기회가 열리고 있다.
- 또한, 최근 스마트폰 보급이 대중화되면서 이동 중에 업무를 보는 모바일 오피스, 휴대폰으로 콘텐츠를 실시간으로 주고받는 사회관계망서비스(SNS) 등이 확산되고 있어 향후 모바일 부문을 중심으로 향후 응용소프트웨어기술자의 고용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일자리 전망률
- 증가
13%
※ 자료 출처 : 고용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