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시스템운영자
요약
하는일 | 정보 시스템을 안정적으로 관리·운영하고, 시스템의 성능을 최적의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제반 업무를 수행한다. |
---|---|
되는길 | 정보시스템운영자로 일하려면 각종 컴퓨터 운영체제(OS)와 OS에 탑재되는 소프트웨어 설치와 운영, 보안, 데이터베이스 등 시스템운영에 대한 지식과 기술을 기본적으로 갖춰야 한다. 전문대학 이상에서 관련 학문을 전공하거나 사설교육기관에서 관련 교육을 받고 취업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
전공 | 공학교육과 산업공학과 응용소프트웨어공학과 전자공학과 정보·통신공학과 제어계측공학과 컴퓨터공학과 |
자격 | 네트워크관리사(국가공인 민간) 리눅스마스터(국가공인 민간) 전자계산기조직응용기사, 기술사(국가기술) 정보처리기능사, 산업기사, 기사(국가기술) |
임금 | 조사년도:2021년, 임금 하위(25%) 3522만원, 평균(50%) 4300만원, 상위(25%) 5180만원 |
만족도 | 74 |
일자리전망 | 증가(51%) 현상유지(38%) 감소(9%) |
업무수행능력 | 전산(99)/조직체계의 분석 및 평가(98)/조작 및 통제(97)/기술 분석(96)/기술 설계(95) |
지식 | 통신(98)/컴퓨터와 전자공학(94)/안전과 보안(79)/의사소통과 미디어(71)/사무(70) |
업무환경 | 앉아서 근무(86)/자동화 정도(83)/전화 대화하기(80)/재택근무(78)/이메일 이용하기(76) |
성격 | 분석적 사고(71)/신뢰성(64)/꼼꼼함(57)/자기통제(54)/리더십(46) |
흥미 | 관습형(Conventional)(81)/진취형(Enterprising)(59) |
직업가치관 | 개인지향(96)/신체활동(90)/다양성(75)/심신의 안녕(74)/지적 추구(64) |
업무활동 중요도 | 새로운 지식의 습득, 활용(96)/컴퓨터 업무(96)/창조적 생각(94)/정보 작성, 기록(93)/정보의 의미 해석(92) |
업무활동 수준 | 새로운 지식의 습득, 활용(95)/컴퓨터 업무(94)/창조적 생각(93)/전자장비 유지 보수(93)/정보의 의미 해석(90) |
관련직업 | 데이터베이스운영·관리자 데이터분석가(빅데이터분석가) 네트워크시스템개발자 네트워크관리자 IT기술지원전문가 웹운영자 |
직무개요
- 정보 시스템을 안정적으로 관리·운영하고, 시스템의 성능을 최적의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제반 업무를 수행한다.
수행직무
- 정보시스템의 관리와 운영에 대한 지침서를 작성한다.
- 컴퓨터시스템의 구성요소에 대한 유지, 보수 등 관리방안을 마련한다.
- 전산실의 온도, 습도 분진 등을 체크하여 적정 수준을 유지시켜 시스템장비를 보호한다.
- 정보시스템의 사용자를 등록, 관리하고 이들에 대하여 시스템 접근을 관리한다.
- 정보시스템의 자원을 보호하기 위한 관리적·기술적 보안 조치를 마련하고, 이를 관리·통제한다.
- 정보시스템의 안정적인 운영을 위하여 수시로 시스템의 성능 및 기능을 점검하고, 문제를 해결한다.
- 시스템에서 운영되고 있는 실제 데이터를 정기적으로 백업한다.
- 시스템 운영상의 문제점 및 고장이 발생되었을 경우 원인을 파악하여 시스템을 최단 시간 내에 복구한다.
- 정보시스템의 관리 현황을 문서로 기록·관리한다.
- 시스템 성능 향상 시 종합적으로 시스템의 기능 및 성능을 평가한다.
- 사용자의 불편 및 요구 사항을 수시로 점검하고, 개선책을 마련한다.
- 사용자의 기술 관련 문의에 응대하고, 시스템 사용 교육을 실시한다.
- 정보시스템의 가동 및 정지의 권한을 갖고 필요시 시스템을 가동 및 정지시킨다.
-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에 대한 정보기술의 발전 동향과 추세를 분석하여 향후 시스템의 성능 향상 시 반영한다.
임금
하위(25%) | 평균(50%) | 상위(25%) |
---|---|---|
3522만원 |
4300만원 |
5180 만원 |
직업만족도
- 정보시스템운영자에 대한 직업 만족도는 74% (백점 기준)입니다.
※ 직업만족도는 해당 직업의 일자리 증가 가능성, 발전가능성 및 고용안정에 대해 재직자가 느끼는 생각을 종합하여 100점 만점으로 환산한 값입니다.
일자리 전망에 대한 재직자 및 전문가의 견해
- 향후 5년간 정보시스템운영자의 고용은 다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 「중장기 인력수급 수정전망 2015~2025」(한국고용정보원, 2016)에 따르면, 정보시스템운영자는 2015년 약 74천 명에서 2025년 약 83천 명으로 향후 10년간 약 9천 3백 명(연평균 1.2%)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 통계청의 전국사업체조사 자료에 의하면, 2014년 기준으로 정보시스템운영자가 근무할 것으로 예상되는 컴퓨터시설관리업 사업체는 350개소로 2008년 216개소에 비해 62% 증가하였고, 관련 산업의 종사자는 2008년 3,625명에서 2014년 6,206명으로 71.2% 정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 정보시스템운영자는 IT 기반의 사회의 원활히 운영과 문제 해결을 위해 보이지 않는 곳에서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 모바일 통신 기기 확대, 유무선 네트워크 연계, 산업의 IT화 등으로 서버, 네트워크 등 정보시스템을 운영하고 관리하는 인력의 역할은 점점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 인터넷을 중심으로 한 e-비지니스가 확대되고 스마트폰 사용자 확대, SNS 활성화, 각종 기기의 자동화·디지털화로 정보시스템의 규모가 점점 커질 것으로 보인다.
- 이러한 환경에서 정보시스템의 고장이나 장애는 막대한 피해를 가져올 수 있어 각 기관에서는 24시간 정보시스템을 관리하는 등 품질관리에 중점을 두고 있다.
- 이러한 전체적인 흐름은 정보시스템운영자의 고용 증가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 한편 컴퓨터시스템 개발의 발전으로 안정성이 높아지고 있고, 시스템을 쉽게 관리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계속 개발되고 있어 고용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 또한 규모가 큰 기관에서는 자체 인력을 채용하지만 최근 들어 별도의 통합 데이터센터를 통해 시스템을 유지·보수하고 시스템통합(SI)업체에 외부용역을 주거나 관련 업체로부터 인력 파견을 받는 등 전반적으로 근무 조건이 열악해지고 있는 추세이다.
- 최근 인터넷상의 서버를 통하여 데이터를 저장하고, 네트워크, 콘텐츠 사용 등을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에서 일시에 해결하게 된 것은 특정 기관내 상주하는 정보시스템운영 인력의 수요를 감소시키는 요인이 될 것으로 보인다.
일자리 전망률
- 증가
0%
※ 자료 출처 : 고용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