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보안전문가
요약
하는일 | 정보시스템과 정보자산을 보호하기 위해 보안정책을 수립하고, 시스템에 대한 접근 및 운영을 통제하며, 침입 발생시 신속히 탐지하여 즉각적으로 대응·복구한다. |
---|---|
되는길 | 컴퓨터 보안 업무를 하기 위해서는 각종 운영체제(OS)와 H/W는 물론 네트워크, 프로그래밍, 데이터베이스 등 다양한 컴퓨터 관련 지식이 필요하다. 따라서 전문대학이나 대학교의 컴퓨터나 정보보호 관련 학과 등에서 IT 분야 전반에 대한 지식을 쌓은 후 진출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고, 정보보호 관련 동아리 활동 경력이나 각종 보안 관련 대회에서 수상한 경력도 도움이 된다. 또한, 컴퓨터 보안과 관련된 사설교육기관의 교육과정을 이수할 수도 있다. 취직 후에도 업무 분야나 IT 환경 변화에 따라 꾸준한 자기계발이 필수적이다. |
전공 | 수학과 응용소프트웨어공학과 정보·통신공학과 정보보안·보호학과 컴퓨터공학과 통계학과 |
자격 | CISA[국제공인정보시스템 감사사](외국) CISSP[국제공인정보시스템 보안전문가](외국) 정보보안기사, 산업기사(국가기술) 정보보안기사?산업기사(국가기술) 정보보안기사∙산업기사(국가기술) |
임금 | 조사년도:2021년, 임금 하위(25%) 3204만원, 평균(50%) 3800만원, 상위(25%) 4248만원 |
만족도 | 67.1 |
일자리전망 | 증가(56%) 현상유지(33%) 감소(10%) |
업무수행능력 | 가르치기(100)/물적자원 관리(97)/인적자원 관리(97)/공간지각력(97)/조직체계의 분석 및 평가(94) |
지식 | 컴퓨터와 전자공학(98)/통신(89)/사무(87)/공학과 기술(83)/안전과 보안(79) |
업무환경 | 앉아서 근무(84)/자동화 정도(84)/이메일 이용하기(80)/공문, 문서 주고받기(76)/반복적인 신체행동, 정신적 활동(75) |
성격 | 분석적 사고(71)/독립성(63)/리더십(62)/혁신(60)/책임과 진취성(56) |
흥미 | 관습형(Conventional)(77)/현실형(Realistic)(53) |
직업가치관 | 다양성(90)/타인에 대한 영향(83)/개인지향(83)/지적 추구(75)/신체활동(74) |
업무활동 중요도 | 사물, 서비스, 사람의 질 판단(98)/기준에 따른 정보 평가(97)/컴퓨터 업무(97)/인사 업무(96)/정보 처리(95) |
업무활동 수준 | 인사 업무(97)/자원 관리(97)/사물, 서비스, 사람의 질 판단(96)/컴퓨터 업무(95)/기준에 따른 정보 평가(90) |
관련직업 | 해당 데이터가 없습니다. |
직무개요
- 정보시스템과 정보자산을 보호하기 위해 보안정책을 수립하고, 시스템에 대한 접근 및 운영을 통제하며, 침입 발생시 신속히 탐지하여 즉각적으로 대응·복구한다.
수행직무
- 조직의 정보보호 정책, 표준, 기본방침, 절차, 모니터링 방법 등을 분석하여 정보보호 관련 환경수준을 평가한다.
- 네트워크의 위험하고 취약한 요소를 파악하여 대비책을 마련한다.
- 인트라넷, 엑스트라넷, 업무 관련 솔루션 및 제휴업체를 연결하는 정보보호 아키텍쳐를 구현한다.
- 조직의 정보보호 수준을 최상으로 유지하기 위해 정기적으로 정보보호 수준을 평가하고, 새롭게 대두되는 정보보호 방식을 채택한다.
- 인터넷망을 통한 외부로부터의 불법적인 침입을 차단하기 위해 방화벽을 구축한다.
- 외부로부터의 불법적인 침입을 탐지하기 위한 시스템을 개발한다.
- 컴퓨터 시스템에 대한 접근 권한을 부여한다.
- 컴퓨터 바이러스 백신 프로그램을 개발·보급한다.
- 컴퓨터 바이러스에 감염된 데이터를 복구한다.
- 정보보호 관련 소프트웨어 제품을 기획한다.
- 정보보호 업무 전반에 대하여 최고 경영자 및 업무관리자에게 보고하고, 이들을 대상으로 교육한다.
- 정보보호제도 입안 과정에 참여하여 기술 규격 및 표준화 제정에 협력한다.
임금
하위(25%) | 평균(50%) | 상위(25%) |
---|---|---|
3204만원 |
3800만원 |
4248 만원 |
직업만족도
- 정보보안전문가에 대한 직업 만족도는 67.1% (백점 기준)입니다.
※ 직업만족도는 해당 직업의 일자리 증가 가능성, 발전가능성 및 고용안정에 대해 재직자가 느끼는 생각을 종합하여 100점 만점으로 환산한 값입니다.
일자리 전망에 대한 재직자 및 전문가의 견해
- 향후 5년간 정보보안전문가의 고용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 사물인터넷, 클라우드 컴퓨팅, 개인용 서버, 모바일 기기 등의 사용이 보편화되면서 저장된 정보에 대한 보안이 갈수록 중요해지고 있다.
- 개인정보보호 등 정보보안은 우리 생활과도 아주 밀접한 문제이며, 더욱이 국가기반시설에 대한 보안문제는 국가안보 또는 국익과도 직결되기 때문에 전문가를 통한 보안 유지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 특히 사물인터넷과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의 확대, 스마트폰 등 모바일 기기의 확대 등 초연결 사회로의 이행은 필연적으로 컴퓨터 보안의 수요를 강화하고 있다.
- 지능형 사이버 보안이 핵심사이버 방어기술로 예측되고 있으며, 지능형 영상감시 등 물리 보안 세계적으로 국가안보전략기술로 인식되어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일자리 전망률
- 증가
3%
※ 자료 출처 : 고용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