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설비기술자
요약
하는일 | 건축구조물의 설비를 구성하기 위한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설계도를 작성한다. |
---|---|
되는길 | 건축설비기술자가 되기 위해서는 건축설비, 기계설비, 전기설비, 환경설비 계통의 대학이나 특성화고등학교, 직업훈련기관 등에서 위생설비, 공기조화설비, 소방 및 전기설비, 건축설비관계법규 등에 대한 이론과 실기(설계, 시공)를 배운 후, 관련 회사로 취업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국가기술자격으로 건축설비기사, 건축설비산업기사가 있다. 『전기공사업법』에 의거하여 전기공사의 규모별 전기기술자의 시공관리 구분을 규정함으로써 전기기술자 이외의 자가 전기공사업무를 수행할 수 없도록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관련 자격증을 취득하면 취업에 유리하다. |
전공 | 건축·설비공학과 건축학과 |
자격 | 건설기계기술사(국가기술) 건설기계산업기사, 기사, 기술사(국가기술) 건설안전산업기사, 기사, 기술사(국가기술) 건설재료시험기능사, 산업기사, 기사(국가기술) 건축설비산업기사,기사(국가기술) 산림토목기술자(국가전문) |
임금 | 조사년도:2021년, 임금 하위(25%) 3613만원, 평균(50%) 4403만원, 상위(25%) 5284만원 |
만족도 | 69.9 |
일자리전망 | 증가(20%) 현상유지(40%) 감소(40%) |
업무수행능력 | 장비 선정(95)/기술 설계(92)/장비의 유지(90)/설치(90)/조직체계의 분석 및 평가(90) |
지식 | 건축 및 설계(100)/공학과 기술(97)/안전과 보안(96)/물리(94)/산수와 수학(93) |
업무환경 | 전화 대화하기(86)/앉아서 근무(79)/결과에 대한 책임(77)/사물, 도구, 조종 장치를 다루기 위해 손사용(76)/반복적인 신체행동, 정신적 활동(72) |
성격 | 독립성(66)/분석적 사고(61)/적응성/융통성(60)/자기통제(57)/리더십(57) |
흥미 | 관습형(Conventional)(95)/현실형(Realistic)(69) |
직업가치관 | 성취(76)/인정(65)/신체활동(59)/애국(59)/타인에 대한 영향(58) |
업무활동 중요도 | 장치, 부품, 장비의 도면 작성, 배치, 지정(98)/장비, 건축물, 자재 검사(97)/업무 계획, 우선순위 결정(95)/전자장비 유지 보수(95)/제품, 사건, 정보의 수치 추정(92) |
업무활동 수준 | 장치, 부품, 장비의 도면 작성, 배치, 지정(99)/제품, 사건, 정보의 수치 추정(96)/장비, 건축물, 자재 검사(96)/사람들의 업무와 활동을 조직, 편성(94)/정보 작성, 기록(94) |
관련직업 | 건축가(건축설계사) 건축구조기술자 건축감리기술자 건축안전·환경기술자 및 건축품질기술자 건축시공기술자 및 견적원 토목구조설계기술자 토목감리기술자 토목안전·환경기술자 및 토목품질기술자 토목시공기술자 및 견적원 조경기술자 도시계획·설계가 교통계획·설계가 교통영향평가원 지적 및 측량기술자 지리정보시스템전문가 건설자재시험원 |
직무개요
- 건축구조물의 설비를 구성하기 위한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설계도를 작성한다.
수행직무
- 건축구조물의 설비설계에 필요한 기후조건, 건물주의 요구사항 등 기초적인 자료를 조사·검토한다.
- 건축, 소방, 설비 등의 관련 법규와 경제성을 검토한다.
- 설비·설계에 대한 개략적인 시스템을 구상하고, 주요 기기의 용량을 산정하여 기본계획을 수립한다.
- 태양열, 환기조건, 전열기, 인체에 미치는 영향, 환경 및 환기부하를 계산하여 각 시스템의 흐름도를 작성하고, 주요 기기의 용량·위치 등을 고려하여 기본설계를 한다.
- 기계설비의 상세설계를 위한 부하와 기기용량을 분석하고, 수치로 산출하여 배관·수송관의 평면도·단면도·상세도 및 공사시방서를 작성한다.
- 시공 시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고 기술을 지원한다.
- 시공 전후에 걸쳐 기계설비에 대해 감독하고 감리한다.
임금
하위(25%) | 평균(50%) | 상위(25%) |
---|---|---|
3613만원 |
4403만원 |
5284 만원 |
직업만족도
- 건축설비기술자에 대한 직업 만족도는 69.9% (백점 기준)입니다.
※ 직업만족도는 해당 직업의 일자리 증가 가능성, 발전가능성 및 고용안정에 대해 재직자가 느끼는 생각을 종합하여 100점 만점으로 환산한 값입니다.
일자리 전망에 대한 재직자 및 전문가의 견해
- 향후 5년간 건축설비기술자의 고용은 다소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 건축설비기술자의 일자리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국내 건설경기 전망이다.
- 장기적으로 가구 수 증가율 감소, 100%가 넘은 주택보급률, 저출산·고령화 등의 요인으로 인해 신규주택 건축시장이 위축될 것이다.
- 민간 건축시장의 위축은 가계부채 증가세 억제를 위한 신규 분양물량 조절, 대출금리 상승 압박이 커지는 국내외 경제환경 변화 등의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 다만, 수도권과 지방 간에 온도 차이는 있을 것으로 보인다.
- 반면에 국내 건설 산업이 2020년을 전후하여 본격적인 성숙 단계에 진입함에 따라 재건축 및 리모델링 공사, 유지관리 업무가 증가할 것이고, 침체된 도심을 되살리는 도시재생 사업도 본격화할 것이다.
- 그 외에 친환경 및 에너지효율 건축에 대한 수요 증가, 정보통신기능이나 실내환경 자동제어시스템을 도입하는 인텔리전트빌딩(intelligent building)에 대한 수요가 증가할 것이다.
- 이상과 같이 건축설비기술자의 고용에 대한 긍정적 요인과 부정적 요인이 공존하지만, 가장 영향력이 큰 신규주택 시장 성장률 감소함에 따른 부정적 전망이 더 크다고 할 수 있다.
일자리 전망률
- 증가
0%
※ 자료 출처 : 고용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