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계획·설계가

요약
하는일국토 및 도시의 공간구조, 토지이용, 도시개발, 각종 단지(주거·공업·상업단지), 공원, 도로망에 대한 기획, 계획, 설계, 시공, 유지관리를 포괄하는 도시계획 및 개발 관련 업무를 를 수행한다.
되는길도시계획 및 설계전문가가 되기 위해서는 대학이나 대학원에서 도시공학을 전공한 후 활동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학부 과정에서 건축학이나 조경학, 토목학 등을 전공하면서 도시계획 관련 과목을 이수하거나 도시 및 교통공학 대학원에 진학하는 경우도 있다. 최근 건축, 토목, 환경, 도시 및 교통공학 등을 통합해 하나의 학부제로 운영하는 학교가 증가하고 있다. 관련 자격으로 도시계획기술사/기사, 도로 및 공항기술사(이상 한국산업인력공단) 등이 있다. 주로 정부기관이나 지방자치단체, 공기업, 연구소, 엔지니어링회사, 건설회사에 주로 취업하며, 그 밖에 부동산개발 및 컨설팅업체 등에 취업한다. 석·박사 학위를 취득한 후 연구원이나 대학교수로 활동할 수도 있다.
전공건축·설비공학과
건축학과
도시·지역학과
도시공학과
조경학과
지구과학과
지상교통공학과
토목공학과
환경공학과
자격도시계획기사, 기술사(국가기술)
임금조사년도:2021년, 임금 하위(25%) 3572만원, 평균(50%) 4275.6만원, 상위(25%) 5038만원
만족도70.1
일자리전망증가(30%) 현상유지(43%) 감소(27%)
업무수행능력공간지각력(99)/범주화(98)/논리적 분석(92)/글쓰기(89)/협상(88)
지식지리(100)/건축 및 설계(100)/법(100)/역사(96)/사무(93)
업무환경다른 사람과의 상호작용(92)/앉아서 근무(90)/전화 대화하기(88)/다른 사람들을 조율하거나 이끌기(87)/이미지/평판/재정에 미치는 강도(80)
성격협조(92)/신뢰성(91)/분석적 사고(91)/스트레스 감내성(85)/리더십(79)
흥미관습형(Conventional)(49)/진취형(Enterprising)(35)
직업가치관애국(78)/지적 추구(75)/타인에 대한 영향(69)/신체활동(69)/경제적 보상(57)
업무활동 중요도정보 수집(94)/사람들의 업무와 활동을 조직, 편성(92)/기준에 따른 정보 평가(88)/정보 처리(88)/사람들의 능력 개발, 지도(87)
업무활동 수준컴퓨터 업무(90)/사람들의 능력 개발, 지도(90)/사람들의 업무와 활동을 조직, 편성(89)/협상, 갈등 해결(88)/업무 계획, 우선순위 결정(88)
관련직업건축가(건축설계사)
건축구조기술자
건축설비기술자
건축감리기술자
건축안전·환경·품질·에너지관리기술자
건축시공기술자 및 견적원
토목구조설계기술자
토목감리기술자
토목안전·환경·품질기술자
토목시공기술자 및 견적원
조경기술자
교통계획·설계가
교통영향평가원
지적 및 측량기술자
지리정보시스템전문가
건설자재시험원
직무개요
  • 국토 및 도시의 공간구조, 토지이용, 도시개발, 각종 단지(주거·공업·상업단지), 공원, 도로망에 대한 기획, 계획, 설계, 시공, 유지관리를 포괄하는 도시계획 및 개발 관련 업무를 를 수행한다.
수행직무
  • 도시와 지역의 기상·지형·지세·토지 이용 현황 및 각종 시설에 대하여 조사하고, 지역특성과 경제·사회적 자료 등을 분석하여 토지이용계획을 수립한다.
  • 분석한 자료와 도시계획에 관한 사항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도면을 작성한다.
  • 도시개발의 경제성과 토지이용의 효율성을 감안하여 구체적인 토지이용상황, 교통, 생활환경 등에 대한 세부계획안을 발주자에게 제시한다.
  • 시공에 따라 발생되는 제반 사항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현장점검 및 안전진단업무, 현장 지원업무 및 감리업무를 한다.
임금
행정부고위공무원 임금 정보
하위(25%) 중위 상위(25%)

만원

만원

만원

직업만족도
  • 도시계획·설계가에 대한 직업 만족도는 70.1% (백점 기준)입니다.
※ 직업만족도는 해당 직업의 일자리 증가 가능성, 발전가능성 및 고용안정에 대해 재직자가 느끼는 생각을 종합하여 100점 만점으로 환산한 값입니다.
전문가가 분석한 일자리전망
  • 향후 5년간 도시계획 및 설계전문가의 고용은 현상태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도시계획 및 설계가의 고용은 국토 및 도시 개발에 대한 중앙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의 정책에 영향을 크게 받는다. 주택보급률의 증가, 저출산고령화, 경기침체 등에 따라 신규건축 수요는 다소 감소할 전망이다. 가계부채 증가를 막기 위한 가계대출 억제 및 신규 분양물량 조절의 정부 정책, 대출금리 조정 등으로 민간건축시장은 규제의 범위에 있다. 다만, 저성장, 저출산 고령화 등으로 도심 외곽개발 위주 도시정책이 한계에 봉착하면서 침체된 도심을 되살리는 도시재생이 도시문제 해결과 경쟁력 강화를 위한 국가적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도시재생이 성숙기에 접어든 건설 산업의 새로운 돌파구가 된다면, 도시계획가의 일자리에 긍정적 요인이 될 것이다. 또한 정부는 문화관광 서비스산업 발달로 경관자원의 활용가치가 증가함에 따라 국토 경관개선 및 관리 부문에 대한 투자를 늘릴 예정이다. 각 지방자치단체도 낙후된 지방도시를 재정비하고 도시화를 진행하기 위해 도시계획 수립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것이다. 또한 도시 기능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IT와 결합한 유비쿼터스도시(U-City)에 대한 중요성이 커짐에 따라 도시계획과 IT기술의 융복합 능력을 갖춘 도시계획가에 대한 수요가 지속적으로 발생할 것이다. 최근에는 친환경이면서도 자연재해로부터 안전한 도시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도시환경 및 경관, 도시안전 및 방재에 대한 도시계획 및 컨설팅 업무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 자료 출처 : 한국고용정보원